항목
-
이른봄밤나방특징 성충의 앞날개 길이는 25mm 정도이고 회갈색으로 검은 무늬가 있다. 유충 노숙 유충의 체장은 약 55 mm이고 머리는 등갈색으로 광택이 있으며 몸은 기문선(氣門線)부터 등편은 암갈색이고 기문선은 백색으로 가늘다. 가슴등판에는 큰 검은 무늬가 있다. 생태 연 1회 발생한다. 늦가을에 성충이 우화하여 성충으로...
- 분류 :
- 나비목 > 밤나방과
- 학명 :
- Xylena formosa (Butler, 1878)
- 출현시기 :
- 5월, 6월
-
이른봄밤나방 Xylena formosa (Butler)날개편길이 50mm 내외. 남한 전역에 분포하나 울릉도에서의 기록은 없다. 국외에는 일본, 중국, 대만, 러시아 극동지역에 분포한다. 성충은 늦가을인 10~11월에 나타나 활동하다가 그대로 월동하여 이듬해 봄 3~5월에 다시 나타나 활동한다. 연 1회 발생하는 보통종이며 당밀에 잘 모인다. 수컷의 더듬이는 섬모상이다...
- 분류 :
- 나비목>밤나방상과>밤나방과
- 크기 :
- 날개편길이 50mm 내외
- 학명 :
- Xylena formosa (Butler)
- 분포지역 :
- 남한 전역, 일본, 중국, 대만, 러시아 극동지역
-
-
여성 女性이석훈(李石薰)의 <사엽(四葉) 클로버의 꿈>이 있다. 또 연재소설로 함대훈(咸大勳)의 <빈사(瀕死)의 백조>, 꽁트에 김유정(金裕貞)의 <봄밤>, 안회남(安懷南)의 <봄밤>이 있으며, 수필에 김문집(金文輯)의 <월광곡>, 이태준(李泰俊)의 <달래>가 있다. 그밖에도 ‘내 남편을 말함’이라는 기획주제로 여러...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계용묵(桂鎔默), 윤석중(尹石重), 노천명(盧天命)
- 창작/발표시기 :
- 1936년 4월(창간), 1940년 12월(종간)
- 성격 :
- 잡지, 여성지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조선일보사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진달래꽃체재는 전체를 16부로 나누어 총 127편의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내용 1부 ‘님에게’에 「먼 후일(後日)」 · 「풀따기」 · 「바다」 등 10편, 2부 ‘봄밤’에 「봄밤」 · 「밤」 · 「꿈꾼 그 옛날」 등 4편, 3부 ‘두 사람’에 「자주(紫朱) 구름」 · 「두 사람」 · 「닭소리」 · 「못잊어」 · 「예전(前)엔...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백공작 白孔雀58면. 작자의 제3시집으로, 1938년에 미모사서점에서 출간되었다. 자서나 발문은 없고, 「여름밤」·「할미꽃」·「진달래」·「갈매기」·「설야(雪夜)」·「봄밤」·「설봉산계곡(雪峰山溪谷)」·「코쓰모쓰」·「조선의 노래」·「안압지」·「인생」 등 총 35편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이 시집의 시편들에서는...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노자영
- 창작/발표시기 :
- 1938년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미모사서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마포를 대표하는 시인 권필봄밤에 가랑비 지붕과 처마에 울리니, 이 늙은이 평생에 이 소리를 좋아하지. 허름한 옷 입고 등잔 돋우며 잠 못 이루고, 아내와 마주 앉아 거푸 두세 잔을 들이켠다. 권필의 <비 내리는 밤에 드는 온갖 상념(夜雨雜詠)>이란 시다. 적막한 봄밤, 비는 처마에 떨어지고 그 소리가 왜 그렇게 큰지 외로운 시인은 벌떡...
- 관련 장소 :
- 마포
-
리더크라이스 Op.39 로베르트 슈만, Liederkreis Op.39새로운 화자의 등장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곡 전체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된 감7화음이 불길한 느낌을 강조하고 있다. 전체 연가곡의 집약 - 12곡 ‘봄밤’ 12곡 ‘봄밤’은 이제까지 사용된 음악적 요소들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악곡이다. 전반적으로 16분음표로 진행되는 빠른 피아노 반주와 흥분된 감정의 선율은...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 > 성악곡 > 가곡
- 제작시기 :
- 1840년 5~6월
- 작곡가 :
-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 1810~1856)
- 출판 :
- 1842년
- 가사 :
- 요제프 아이헨도르프의 시
- 편성 :
- 독창, 피아노
-
양귀비 양옥환(楊玉環), 楊玉環맞이한 후부터 정사는 돌보지 않고 방탕한 생활을 하기 시작했다. 백거이(白居易)는 〈장한가(長恨歌)〉에서 “연꽃 방장이 드리운 포근한 봄밤을 함께 지새웠으며, 봄밤이 짧아 안타깝게 아침 해가 떠오르면 조례를 빠지게 되었다.”라며 양귀비에 대한 현종의 사랑을 노래했다. 《구당서(舊唐書)》 〈양귀비전〉에는...
- 출생 :
- 719년
- 사망 :
- 75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