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본영 本影, umbra
    주어진 광원에서 나오는 모든 빛이 차단된 그림자 영역의 부분.|점광원으로 생기는 그림자는 본질적으로 모두 본영이지만, 태양처럼 어느 정도 크기를 가진 광원 때문에 생기는 그림자는 작은 본영과 이보다 훨씬 넓은 반영이라고 하는 부분영으로 나뉜다. 따라서 일식의 경우 본영에서는 개기일식이, 반영에서는 부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구세군대한본영 救世軍大韓本營
    한국 선교는 1908년 10월 영국 선교사 로버트 허가드(Robert Hoggard) 사관일행이 일본을 거쳐 서울에 도착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서대문구 평동에 본영을 설치하고 서대문 영문(제1영)을 세워 복음전도와 사회봉사 활동을 펼쳤다. 1909년에 창간호를 낸 『구세신문』(지금의 『구세공보』)은 여성교육, 구습타파, 계몽...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구세군대한본영 救世軍大韓本營
    1909년에는 〈구세신문 救世新聞〉을 창간하고, 1910년에는 사관양성을 위한 성경대학(지금의 구세군사관학교)을 설립했다. 또 1915년에는 종로구 신문로에 본영을 세웠으며, 1916년에는 일종의 통신교육제도인 영학생(營學生)제도를 도입했고, 1917년에는 사관부인과 전도부인 양성제도를 마련했다. 이후 걸인구제사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옹진고성 옹천성, 甕津古城
    자연지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역사적 변천 옹진고성은 황해남도 옹진군 옹진읍에서 약 10㎞ 떨어진 본영리에 있다. 본영리는 조선시대에 황해도 수군의 본영이 있었던 데서 유래된 이름이며, 당시에는 세 면(북쪽, 서쪽, 남쪽)이 바다와 강으로 막혀 있어 하나의 작은 반도로 되어 있었다. 성의 축조 방식과 성안에서...
    시대 :
    고대/삼국/고구려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고대사
  • 상영산 본영산, 上靈山
    내용 「영산회상」의 첫번째 곡. 「현악 영산회상」과 「관악 영산회상」, 「평조회상」등 세 가지의 상영산이 있다. 이 중에서 「현악 영산회상」과 「평조회상」은 같은 곡을 조옮김[移調:현악 영산회상을 4도 아래(Bb―F)로 조를 옮김]한 것이 평조회상이다. 관악기의 경우는 음역의 제한으로 말미암아 F의 8...
    성격 :
    영산회상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호위본영 현판 扈衛本營 懸板
    유물설명 경복궁 호위청(扈衛廳)의 본영에 걸었던 현판으로 추정된다. 현판에 인장 ‘민형식인(閔衡植印)’이 새겨져 있어 민형식(閔衡植, 1875~1947)이 쓴 글씨라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그는 1891년(고종 28)에 관직생활을 시작하였으므로 이 현판은 그 후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일기청개수등록(日記廳改修謄錄...
    분류 :
    유물 > 현판
    크기 :
    가로: 254cmcm, 세로: 90cmcm
    재질 :
    나무 / 잣나무
  • 구세군 대한본영
    구세군 대한본영(救世軍大韓本營)은 개신교 교파인 구세군의 대한민국 지부를 말한다. 1907년에, 감리교 목사 출신이자 구세군의 창시자인 윌리엄 부스 대장의 일본 순회집회 때 참석했던 조선계 유학생의 요청에 따라, 1908년 10월 정령 허가두 사관이 들어와 선교한 일로부터 시작된다. 일제강점기 아래, 구세군교회는...
    도서 위키백과
  • 일식은 어떻게 생기는가?
    달의 그림자가 드리우는 지역에서 일식을 볼 수 있다. 지구의 그림자와 마찬가지로, 달의 그림자도 두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어두운 중심 지역을 본영(umbra)이라 하고 본영 주변의 밝은 지역을 반영(penumbra)이라고 한다. 반영인 지역에서 부분 일식이 일어나고, 본영인 곳에선 개기 일식 혹은 금환식(annular...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강영준 강본영준, 姜永俊
    1925년 10월 19일 전라북도 정읍군(井邑郡, 현 정읍시) 옹동면(瓮東面) 비봉리(飛鳳里)에서 중농(中農) 계층 집안의 아들로 태어났다. 창씨개명에 의해 성을 강(姜)에서 강본(姜本)으로 바꾸었다. 전북 정읍군 칠보(七寶)공립국민학교를 1939년에 졸업하고 곧바로 서울의 숭례(崇禮)공립국민학교 고등과에 입학하였다...
    출생 :
    1925년 10월 19일, 전라북도 정읍(井邑)
    사망 :
    1985년 1월 15일
    주요활동 :
    1943년 서울 경성인문중등학원 재학 중 일제 공출정책 비판
    포상훈격 :
    2017년 대통령표창
  • 구 목포 일본영사관
    문화재 정보 구 목포 일본영사관(舊 木浦 日本領事館)은 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 영산로에 있는 건축물이다. 1981년 9월 2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89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광무4년(1900)에 건립되어 1907년까지 일본 영사관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1914년부터 목포부청사, 1974년부터 목포시립도서관, 1990...
    도서 위키백과
  • 구세군 救世軍, Salvation Army
    대장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다. 구세군에서 제명되자 그들은 곧 아메리카 구세군을 창설했지만 얼마 뒤 세력이 약화되었다. 1896년 미국 구세군의 대장이자 본영 사령관으로 있던 볼링턴 부스는 구세군에서 탈퇴하여 미국 독지군(Volunteers of America)을 창설했다. 이 독지군은 꾸준히 지속되어 뉴욕에 본부를 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총위영절목 總衛營節目
    일찍 3품 이하를 지낸 이로 의차함. 훈국의 마병 1초, 별대 1초 각 119명 및 보군 중 좌우부 중사에서 각 3초, 매초 123명 도합 738명, 양사 표하군 62명을 본영에 옮겨줌. 궐내 직숙은 숭지문·빈양문 2처소에서 수를 정하고 번갈아 입직하고, 건양문은 입직군을 전처럼 하며, 패장 2인을 본영에서 보내 파수를 검칙함...
    시대 :
    조선후기
    저작자 :
    비변사
    창작/발표시기 :
    1846년
    성격 :
    문서, 조목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7개 항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본영
춘천의병 본영
춘천의병 본영
호위본영 현판
호위본영 현판
춘천의병 본영
호위본영 현판
옹진 본영 수항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