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병서 竝書한글에서 초성, 중성, 종성 중 둘 또는 세 글자를 나란히 배치해 표기하는 방법. 내용 『훈민정음』에서 사용된 술어이다. 「언해」에서는 ‘ᄀᆞᆯᄫᅡ쓰다’로 되어 있으며 연서(連書) 즉, ‘니ᅀᅥ쓰다’에 대립된다. 『훈민정음』 해례(解例)는, 같은 글자를 둘 나란히 쓰는 각자병서(各自並書)와 서로 다른 둘 또는 세 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화엄일승법계도주병서 華嚴一乘法界圖註幷書내용 1562년(명종 17)의 간기(刊記)를 보면, ‘청한비추설잠주병서(淸寒比蒭雪岑註幷序)’라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 당시의 간본은 전하지 않고, 『서물동호회회보(書物同好會會報)』 제21호에 가미오(神尾)에 의해서 소개된 책이 있다. 가미오의 소개에 따르면, 전체 분량이 18장, 한 면에 9행 16자의 소책자로서...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대화엄종불국사비로자나문수보현상찬병서 大華嚴宗佛國寺毘盧遮那文殊普賢像讚幷序개설 최치원의 찬과 서문 1편으로 『불국사사적(佛國寺事蹟)』에 인용되어 있다. 화엄종의 주존불인 비로자나불과 협시보살인 문수·보현보살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신라 제49대 헌강왕의 후궁인 권씨가 승하한 선왕을 추복(追福)하기 위하여 불국사 광학장(光學藏) 강당 왼쪽 벽에 비로자나불상을, 그리고 그 좌우로...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저작자 :
- 최치원(崔致遠, 857∼?)
- 성격 :
- 불교서, 찬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편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탐라지도 및 지도병서 耽羅地圖 및 地圖竝序이를 증명하듯 비교적 여러 점이 전하고 있다. 이후의 제주 지도들이 이 지도를 바탕으로 다수 제작되었던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탐라지도병서≫는 규장각 등 다른 여러 곳에도 소장되어 있는데, 제주도민속자연사박물관 소장본은 후대의 판각본으로 보인다. 특히 설명 부분에 많은 오자(誤字), 탈자(脫字)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김해병서 金海兵書金海)는 연개소문의 자(字)라고 한다. 이 책은 신라의 아찬(阿飡) 설수진(薛秀眞)이 지었다는 『육진병법(六陣兵法)』과 더불어 오늘날 전하지 않는 고대 병서의 하나이다. 내용 『고려사』에 1040년(정종6년) 서북로병마사가 왕에게 아뢰기를 “『김해병서』는 무략(武略)의 요결(要訣)이오니 청컨대 연변의 주진(州鎭...
- 시대 :
- 고대/삼국
- 저작자 :
- 연개소문(추정)
- 창작/발표시기 :
- 고구려시대
- 성격 :
- 군서, 병서
- 유형 :
- 문헌
- 분야 :
- 정치·법제/국방
-
병서문집 幷棲文集내용 4권 2책. 석인본. 1965년 현손 두채(斗採)와 홍재경(洪在敬)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홍재경과 두채의 발문이 있다.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부(賦) 1편, 시·만사 94수, 권2에 서(書) 27편, 잡저 6편, 제(題) 1편, 권3에 서(序) 5편, 기(記) 7편, 지(識) 8...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남석하
- 창작/발표시기 :
- 1965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남두채, 홍재경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계명대학교 도서관
-
흑치준묘지명 대당고우금오위수익부중랑장상주국흑치부군묘지명병서(大唐故右金吾衛守翊府中郞將上柱國..52㎝로 정방형에 가깝다. 명문은 가로와 세로로 선을 그어 구획을 만들고, 그 안에 한자씩 새겼다. 제목이 「대당고우금오위수익부중랑장상주국흑치부군묘지명병서(大唐故右金吾衛守翊府中郞將上柱國黑齒府君墓誌銘幷序)」이다. 총 26행으로 1행당 보통 26자씩 새겨져 있고, 도합 642자이다. 찬자(撰者)와 서자(書者)는...
- 시대 :
- 고대/삼국
- 성격 :
- 묘지명
- 유형 :
- 유물
- 크기 :
- 세로 53㎝, 가로 52㎝
- 재질 :
- 돌
- 제작시기 :
- 706년(당 중종 신룡 2)
- 분야 :
- 역사/고대사
- 소장/전승 :
- 남경박물원(南京博物院)
-
대숭복사비 신라국 초월산 대숭복사 비명 병서, 大崇福寺碑찬술 과정 최치원(崔致遠, 857~?)이 당에서 귀국한 뒤 서서원(瑞書院) 학사(學士)로 재임하면서 왕명을 받아 사산비명(四山碑銘)을 찬술하였다. 비명(碑銘) 찬술 왕명은 885년(헌강왕11) 3월에 「봉암사 지증대사적조탑비명」, 886년 7월에 「쌍계사 진감선사대공탑비명」, 890년에 「성주사 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명」의 순서...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적/탑·비
- 분야 :
- 역사/고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