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벽파 僻派
    정조 즉위 후 외척을 배제하고 노론, 소론 및 남인의 청류를 등용한 후 1792년 남인들이 사도세자 문제를 재론하였다. 집권 노론 층은 기왕의 입장을 확인하면서 노론의 정치적 우위를 관철시키고자 했는데, 이를 벽파라 한다. 벽파와는 반대로 타 당파의 정계 진출도 허용하면서 왕의 정책을 지지하던 일부 노론세력을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벽파 僻派
    조선 후기 정조의 탕평정책에 의한 한 정파.|내용 정조가 이른바 청류(淸流)를 앞세우는 준론(峻論 : 강경론자들의 주장) 탕평정책을 통해 기존의 노론 우위의 정국에 변화를 일으켜 왕권을 강화시키고자 했을 때, 반대를 표명한 정파이다. 정조대에 앞서 영조대에 취해진 탕평책은 붕당간의 극단적인 대립을 없애고자...
    시대 :
    조선
    성격 :
    정파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최독견 최상덕(崔象德), 崔獨鵑
    최독견은 일제강점기에 「유린」, 「유모」, 「승방비곡」 등을 발표한 소설가이자 언론인이다. 본명은 최상덕(崔象德)이고, 황해도 신천에서 출생하였다. 중국 상하이(上海) 유학생 출신으로 상하이일일신문에서 교정기사로 활동 중 등단하고, 귀국 후 1920년대 프로문학적 성격의 소설을 다수 발표하였다. 그의 대표작은 1...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문학/현대문학
  • 김정수 벽파, 金晶壽
    독립운동가.|본관은 전주, 호는 벽파(碧波), 본명은 정범(禎範), 별명은 원국(元國). 할아버지 김낙용(金洛用)이 1919년 3·1운동 때 평북 초산에서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다 체포되어 신의주형무소에서 옥사하자 집안 식구들이 독립군과 연락을 취하며 군자금 모금을 하였다. 그러나 이 사실이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이창배 벽파, 李昌培
    경기잡가 〈선소리산타령〉의 명창.|호는 벽파(碧波). 중학교를 졸업하고 조선총독부 측량기사로 일하면서 한편으로 전문적인 음악수업을 받았다. 1923년경 원범산에게서 시조와 가사, 경서도잡가를 3년간 배운 후 최경식 문하에 들어가 시조와 가곡을 배웠고, 이명길에게서는 〈선소리산타령〉을, 이주환에게서는 가...
    출생 :
    1916. 1. 2, 서울
    사망 :
    1983. 1. 5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최영희 벽파(碧波), 崔榮喜
    해방 이후 육군소장, 군단장, 육군참모총장 등을 역임한 군인. 정치인.|개설 1921년 서울 출생으로, 본관은 수성(脩城), 호는 벽파(碧波)이다. 1941년 휘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1944년 일본 센슈대학[專修大學] 법학부를 졸업하였다. 1945년 군사영어학교에 입학하여 1946년 졸업하였으며, 1953년 미...
    시대 :
    현대
    출생 :
    1921년 3월 1일
    사망 :
    2006년 1월 11일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한국전쟁, 국군창설
    직업 :
    군인,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수성(隋城)
  • 벽파 碧坡
    일제 강점기 이후 범어사 어산회에 소속되어 부산에서 불교 의식 활동을 한 범패승.|[활동 사항] 벽파(碧坡)[1893~1960]는 부산 동래에서 태어났다. 속명은 박경문(朴敬文)이며, 또 다른 이름으로 박경원(朴敬元)이라고도 불렸다. 1910년 무렵 범어사에서 출가하여 계속 큰 절에 머물면서 수행과 불교 의식 활동을 하...
    분야 :
    종교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 벽파 僻派
    다른 뜻벽파(僻派)는 조선 정조 시기 정조의 탕평책을 반대한 세력이다. 사도세자로 널리 알려진 장헌세자는 영조의 둘째 아들로 효장세자가 사망하자 세자에 책봉되었다. 영조와의 갈등으로 정신병을 앓고 비행을 저지르다 폐위된 뒤 뒤주에 갇혀 사망한다. 이후 조선의 조정은 장헌세자의 죽음에 대해 안타까운 죽음이...
    도서 위키백과
  • 김우종 벽파, 金宇鍾
    1905년 10월 21일 강원도 홍천군(洪川郡) 서면(西面) 모곡리(毛谷里)에서 김기호(金基鎬)와 이인자(李仁慈)의 5남 1녀 중 4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호는 벽파(碧波)이다. 7세부터 고향의 서당에서 한문수학을 하였고, 1923년 3월 사립 모곡학교[일명 보리울학교]를 졸업하였다. 이 학교는 1919년 9월 낙...
    출생 :
    1905년 10월 21일, 강원도 홍천(洪川)
    사망 :
    1993년 10월 29일
    관련 사건 :
    조선민족혁명당 사건
    본관 :
    안동(安東)
    주요활동 :
    1928년 기독청년학생구락부 조직, 1932년 동민학교 설립, 1934년 임시정부 주최 3・1절 기념식에 참가, 1935년 조선민족혁명당 참여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기독청년학생구락부(기독동우회), 대한민국임시정부, 조선민족혁명당
  • 벽판 壁板, wallboard
    건식공법은 모르타르와 석회의 사용 없이 하는 벽작업을 말한다. 벽판에 사용되는 재료에는 합판, 목재 펄프, 석면 시멘트, 석고 등이 있다. 목질섬유와 목재 펄프는 점성을 지닌 목재의 층이나 알갱이들에 압력을 가해 만드는데, 이것들은 나무결이나 다양한 표면 효과를 가진 제품이 되며 방음과 단열에 이용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축양식
  • 이창배 벽파(碧波), 李昌培
    내용 호는 벽파(碧波). 서울 출생. 중학교를 졸업한 뒤 최경식(崔景植)으로부터 경기좌창과 시조 및 민요를 배웠고, 이명길(李命吉)로부터 「선소리산타령」을 배웠다. 1944년 조선가무단원으로 전국을 순회공연하였고, 1951년 국립국악원 국악사로 봉직하였다. 1960년 국악예술학교 교사로 있었고, 청구성악학원(靑丘...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거관 벽파(碧波), 巨寬
    개설 율승(律僧). 진양강씨(晉陽姜氏). 호는 벽파(碧波), 거관은 법명이다. 강원도 양양 출생. 생애 및 활동사항 13세에 설악산 신흥사(神興寺)로 출가하여 정업(淨業)에게서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평생을 계율에 입각하여 몸을 다스렸고 선과 교학을 정밀히 수련하였으며, 널리 사람을 포용하고 사랑하였으므로...
    시대 :
    조선
    출생 :
    1762년
    사망 :
    1827년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성별 :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