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카페벼리
    주전 해안가에 있는 카페벼리는 오션뷰에 루프탑까지 갖춘 베이커리 카페이다. 건물 뒤에 전용 주차장이 구비되어 편하게 주차할 수 있으며 편안한 분위기의 카페벼리는 디저트 맛집으로 유명하다. 시그니처 메뉴인 크루아상은 플레인, 요플레 망고, 블루베리, 인절미 등 다양한 종류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카페벼리...
    위치 :
    울산광역시 동구 물목길 20
  • 좽이 投網
    물속에 들어서서 던지는 것이 손투망이고, 배를 타고 조금 깊은 곳에 들어가 던지는 것이 배투망이다. 위는 좁고 아래는 넓게 퍼지도록 꿰맸으며 위쪽에 긴 벼리를 꿰고 아랫도리에 납이나 쇠로 만든 발돌을 달아 놓아 던지면 넓게 퍼지면서 물속으로 가라앉는다. 그물을 들어낼 때에는 벼리를 당겨 자락을 모으며 땅위...
    시대 :
    현대
    성격 :
    어구
    유형 :
    물품
    재질 :
    납, 쇠
    용도 :
    어업
    분야 :
    경제·산업/산업
  • 곰보타령
    노래하고, 첫째 도막은 중이 얽은 모양을 당시의 인물과 물건 따위에 비유하고, 둘째와 세째 도막은 "벼슬을 한" 갖가지 물고기들이 얽은 중을 그물의 벼리로 알고 도망간다고 과장해서 그리고 있다. 이 노래는 〈청구영언〉이나 〈가곡원류〉에 〈바독바독가〉라는 제목으로 실린 노래와 비슷한 데가 많은데, 그것에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정간보 井間譜
    따라서는 중요한 시가(時價)의 기준이 되고 있는데 〈양금신보 梁琴新譜〉 등은 정간이 없고 대강만 3·2·3·3·2·3의 구분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6개의 벼리[綱]로 구분한 이유는 음악의 첫 시작이 몇 번째 벼리에서 시작하느냐에 따라서 그 음악의 속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정간보는 음의 시가만을 적는 기보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국어풀이씨가름: 표해식국어문법 國語用言分類: 表解式國語文法
    교재로 활용되기에 충분하며 국어 통일의 지침이 되기를 기약한다고 하였다. 『국어 풀이씨 가름』은 저자 머리말, 일러두는 말, 국어 풀이씨 가름 벼리 및 가름표 벼리,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문 내용을 서술한 부분은 국한문혼용 및 국한문병용이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1933년(단기 4266년) 6월에 적어 두었던 옛...
    시대 :
    현대
    저작자 :
    유재헌(柳在軒)
    창작/발표시기 :
    1947년 7월 25일
    성격 :
    문법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국학사(國學社)
    분야 :
    언어/언어·문자
  • 정선조선어문법 精選朝鮮語文法
    것으로 보아 이 책 또한 강매의 저술일 가능성이 크다. 1932년의 『정선조선어문법』에서는 이 책의 권두에 있는 ‘조선말글법의 법’이 ‘둘재쟝 본의 벼리’라는 제목으로 본론에 흡수되었고 이 책의 ‘둘재쟝 소리의 갈래’와 ‘셋재장 소리의 바꾸임’이 삭제되어 총 9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내용은 권두에...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저작자 :
    조선어연구회(朝鮮語硏究會)
    창작/발표시기 :
    1930년
    성격 :
    학술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박문서관(博文書館)
    분야 :
    언어/언어·문자
  • 가위 scissors
    가위의 날이 되는 부분은 보통 뜨겁게 달구어진 강철막대기를 망치가 빠른 속도로 내려치는 틀에서 벼려 만든다. 또 어떤 것은 뜨거운 불에 달구지 않고 벼리기도 하는데, 이것도 질이 우수한 편이다. 강철은 약 0.55~1.03%의 탄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가위를 만드는 강철에 탄소함량이 많을수록 더 단단한 제품을 만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반상식
  • 목침 木枕
    길이 6치, 폭 4치 정도의 장방형으로 만든 간단한 것으로 특히 여름철에 하류층 또는 농가에서 많이 쓰였다. 상류층에서 사용되던 목침은 목세공 혹은 후벼리 구멍을 뚫은 것 등 뛰어난 예술작품이 많다. 베개 마구리의 문양에 따라 구봉침(九鳳枕)·학침(鶴枕)·호침(虎枕)·모란침(牧丹枕)·연화침(蓮花枕)·수복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칼파수트라 Kalpa-sutra
    각 학파의 희생의식(슈라우타수트라)·가정의식(가정경)·생활규범(다르마수트라)에 관한 각각의 절차를 설명한다. 이들은 경(sutra : 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벼리')이라는 짧은 경구 형식으로 씌어져 있기 때문에 쉽게 기억할 수 있다. 칼파는 베당가(vedanga : 베다의 부속물)라는 6가지 학문 분야의 하나이다. 이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15조에는 “「만횡」은 오늘날 「엇롱」이라 하고, 속칭 「반지기」라 한다.”라고 하여, 「만횡」의 또 다른 이름은 「엇롱(旕弄)」이라 하였고, 그 곡조 벼리의 설명에 “「만횡」(속칭 「엇롱」)이란 「삼수대엽」과 머리를 같이하여 농이 되었다(俗稱旕弄者與三數大葉 同頭而爲弄也).”라는 내용이 있어 그 곡풍...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문법변화 文法變化
    용법 이외에 '새마·새와' 등에서와 같이 곡용어간으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가 현대국어로 넘어오면서 곡용어간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된 것이나, '하마벼리 눈 까 디니가다'(하늘의 별이 눈과 같이 떨어집니다)에서의 '까'와 같이 현대국어에서와는 달리 동사의 어간이 곧바로 부사로 사용되었던 것은 문법변화를 보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중등 새 말본
    서지적 사항 1책, 사륙판, 반양장, 머리말과 벼리 등 6쪽, 본문 118쪽, 총 124쪽. 1947년 12월 1일 서울 교재연구사에서 발행. 표지 하단에는 ‘중등신국문법(中等新國文法)’이 인쇄되어 있다. 내용 『중등 새 말본』은 장하일이 국어 문법에 관하여 지은 첫 번째 문법서이다. 이 책의 체계는 대체로 정열모(鄭烈模...
    시대 :
    현대
    저작자 :
    장하일
    창작/발표시기 :
    1947년
    성격 :
    교과서, 문법교과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교재연구사
    분야 :
    언어/언어·문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