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의 병충해와 방제
    많이 발병하는 것을 냉도열병이라고 한다. 또한 질소질비료를 많이 쓰면 도열병에 걸리기 쉬우며, 논이 물 없이 마른 상태이거나 비바람에 의해 에 상처가 생겼을 도 감염이 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 도열병에 대해 내성이 강한 품종인 통일벼를 품종개량하여 이 병해를 막을 수도 있다. 그러나 볍씨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곤충 , 식물 , 질병
  • 수차와 농사 책상머리 맡에서 만들어진 수차, 그 숱한 노력과 실패의 역사
    강 델타 유역이며, 한반도는 중국 황하 유역과 함께 밭농사 적합 지역에 속한다. 1년 강우량 총합이 부족한 것은 아니지만 강우 대부분이 장마 집중되기 때문에 실제로는 농사하기에 물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건조 지역인 까닭이다. 이는 역사적으로도 드러나는데, 조선시대에 논은 전체 농지 중 20퍼센트 정도...
  • 농사 벼農事
    확보하기 위해 대규모의 저수지인 벽골지(碧骨池)를 축조한 것으로 보아 4세기경에는 남쪽에도 농사가 상당히 보편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통일신라 농사 작부방식(作付方式)은 지력 유지로나 호당 경지규모로 보아 대체로 1년 또는 2년 만에 재배되는 휴한농법(休閑農法)이 관행되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떨어지지 않게 줄기를 감싼다. 꽃 7~8월에 줄기의 끝에서 나온 이삭 위에 희고 작은 꽃들이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이삭은 꽃이 필 는 곧게 서지만 가 익을 는 밑으로 처지는데 많은 작은 이삭들이 이삭 가지에 어긋나게 달린다. 벼꽃을 영화(穎花)라 하며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로 되어 있다. 열매...
    학명 :
    Oryza sativa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논과 밭에 재배
    번식 :
    약효 부위 :
    볏짚
    생약명 :
    나도근수(糯稻根須)
    키 :
    50~100cm
    과 :
    볏과(화본과)
    생활사 :
    한해살이풀
    채취기간 :
    7~10월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따뜻하며,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볏짚 5~8g
    주의사항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베기
    호남지방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 같은 곳에서는 한가위 무렵에 날을 따로 받아 조상에 바칠 벼를 미리 베는데 이를 ‘올기심리’라고 한다. 만약 가 다 여물지 않았을 에는 이를 그대로 베어 솥에 삶았다가 말려서 밥을 짓는다. 제상 밑에는 역시 햇짚을 깔며 의례를 마친 뒤 잘 묶어서 시렁 위에 얹어두었다가 삼신...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산업
  • 의 생육과 수량
    생육 는 씨에서 발아해 성숙할 까지 120~180일이 소요되고 이 기간은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로 나눌 수 있다. 영양생장기는 씨가 싹틀 부터 어린이삭이 분화될 까지의 기간으로 잎의 수가 늘어나고, 잎의 면적이 넓어지며, 곁가지치기와 뿌리생육이 왕성한 시기이다. 생식생장기는 어린이삭의 분화 이후부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곡식
  • 의 품종
    과정과 지리적인 전파경로, 환경변동에 따른 식물체의 적응, 그리고 인간에 의한 의도적인 선발과 육종행위로 인해 많은 품종이 생겨나게 되었다. 품종을 분류할 는 지리적 품종군·생태종·생태형으로 나누기도 하고 재배적 특성 또는 용도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세계 여러 지역에서 수집한 품종들은 품종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곡식
  • 안정적 수량을 보여 중북부 중간지 및 중산간지대에서 두루 재배되는 품종이다. 또한 밥맛이 뛰어나 특산품(철원 오대쌀)으로 유명하나 비료를 많이 주었을 도복과 미질 저하가 우려되며 도열병을 제외한 기타 병충해에 저항성이 없어 적기 방제가 필요하다. (6)운봉(운봉1호):조생종으로 도복과 냉해에 강하며...
    분류 :
    벼과
    성격 :
    식물, 작물
    유형 :
    동식물
    학명 :
    Oryza sativa L.
    분야 :
    과학/식물
  • 의 이용과 저장
    거적 및 가축의 조사료, 펄프 원료, 민속공예품 제조 등에도 사용된다. 저장 의 곡실은 1년에 1번씩 일시에 생산되지만 소비는 1년 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품질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피해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저온 및 건조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좋고 장기간 저장할 는 조곡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곡식
  • 의 재배
    물관리는 물대기[灌水]와 물빼기[排水]를 말하는데 모내기 직후 새 뿌리가 나올 와 감수분열기에서 출수기까지는 물을 깊이 대주어야 하며, 그 이외의 시기에는 물을 깊게 대줄 필요가 없고 출수 후 30~35일이 지나면 물을 빼주어야 한다. 의 이삭이 나온 후 40~45일이 지나면 대부분의 벼알과 이삭줄기가 황색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곡식
  • 베는 소리 나락베는소리
    바로 볏단을 묶어 세우면서 하는 소리도 베는소리로 분류한다. 연원 및 변천 베기 작업은 논에 물이 고여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일의 순서가 달라진다. 마른...늘어놓고 며칠 동안 말린 다음에 볏단을 묶지만, 논에 물이 고여 있을 에는 벼를 바닥에 늘어놓을 수 없기 때문에 를 베자마자 그 자리에서 한 단씩...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부여 농사짓기 소리 타작 소리
    타작이란 나 보리를 거두어다 말리어서 도리깨질이나 '개상질'로 알곡을 떨구는 일을 말한다. 따라서 타자 소리에는 도리깨질 소리와 개상질 소리가 있는데...무엇을 쳐서 잘게 만드는 것을 뜻한다. 부여 지방에서는 보리나 벼를 거둘 에 여러 농군들이 마당에 절구통을 여러 개 놓고 늘어서서 마른 볏단이나 보리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