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서 번분수(繁分數, llang)는 분수의 분자 또는 분모 또는 둘 다가 분수인 경우를 뜻한다.서적 인용rp서적 인용웹 인용웹 인용 모든 번분수는 일반적인 꼴의 분수로 고쳐 쓸 수 있다. 이는 추상적인 관점에서 분수체의 분수체는 자기 자신이기 때문이다. 분자와 분모가 분수인 번분수 \frac{\,\dfrac ab\,}\dfrac c...
부분, 나머지를 분자, 원래의 분모를 새로운 분모로 취하면 된다. 예를 들어, 가분수 나머지가 3이므로, 이 가분수는 대분수 sfrac과 같다. 번분수(繁分數, 다음은 모두 번분수다. \frac{\,\dfrac12\,}\dfrac13,\;\frac{12\dfrac34}{26} 번분수를 보통의 분수 꼴로 바꿔 나타내려면, 분수의 나눗셈을 사용하면 된다. 위...
e^{c-1}= \lim_{n\to\infty} \alpha (n)= 0.80939 40205 ....(OEIS A085291) e는 극한값 e c는 뤼로스 상수 \alpha (n)는 알라디-그린스테드 상수 수학 상수 킨친 상수 번분수 Alladi, K. and Grinstead, C. "On the Decomposition of n! into Prime Powers." J. Number Th. 9, 452-458, 1977 http://mathworld.wolf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