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개똥추임록 긔ᄯᅩᆼ추임록이라, 개똥추임錄화선과 헤어진 운선은 문득 거센 바람에 밀려 별당 방에서 사지를 뻗고 죽는다. 그러나 옥황의 구환으로 깨어난 운선은 자신의 신분과 처지를 밝히고 둘은 백년가약을 맺는다. 곧 해시가 되자, 들이닥친 귀신의 작태를 옥황이 물리친다. 운선은 옥황으로부터 나머지의 화를 예방할 방도와 과거에 장원할 글제를 받고...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
-
춘향가 春香歌다른 바디보다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춘향가>는 바디마다 짜임새가 얼마쯤 다르게 되어 있으나 흔히 ‘초앞’·‘광한루 경치’·‘책방독서’·‘백년가약’·‘이별가’·‘신연(新延)맞이’·‘기생점고(妓生點考)’·‘십장가(十杖歌)’·‘옥중가’·‘과거장(科擧場)’·‘어사행장(御史行裝)’·‘춘향...
- 성격 :
- 판소리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박연폭포 朴淵瀑布명칭 유래 박연이라는 명칭의 유래는 옛날에 박진사(朴進士)가 이 폭포에 놀러왔다가 아름다운 경치에 도취되어 폭포 밑 못 속에 사는 용녀(龍女)에게 홀려 백년가약을 맺었다. 진사의 어머니는 아들이 돌아오지 않자 이 폭포에서 아들이 떨어져 죽었다고 생각하고 비탄에 빠져 자신도 폭포 밑 담에 떨어져 죽었다...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388호
- 성격 :
- 폭포
- 유형 :
- 지명
- 면적 :
- 높이 37m, 너비 1.5m
- 소재지 :
- 개성시 박연리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박달재 朴達재청년 박달도령이 서울로 과거보러 가는 길에 이 고개를 넘어 아랫마을 금봉이 처녀를 만나 사랑을 나눴는데, 박달은 과거급제하면 돌아와서 금봉이와 백년가약을 맺겠다고 언약하고 상경하고, 금봉이는 도토리묵을 장만하여 낭군이 될 박달도령 허리춤에 매달아주고 먼길에 요기하도록 배려했다. 낙방한 박달이 슬픔에...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과부청산가 寡婦靑山歌과부가(寡婦歌)」의 일종이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모두 313구이며, 4·4조가 기본이다. 내용 및 평가 내용은 작자인 도춘서라는 여인이 16세에 혼인, 백년가약을 맺었으나 낭군은 유복자를 두고 세상을 떠나버려, 청춘과부가 된 비통한 심정과 가신 임에 대한 애절한 사모의 정을 구구절절이 노래한 것이다. 그러나...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도춘서
- 성격 :
- 규방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판소리 동편제(춘향가) 판소리 東便制(春香歌)갇힌 것을 이몽룡이 어사가 되어 구한다는 내용이다. 「춘향가」는 부르는 사람마다 조금씩 짜임새가 다르나 보통은 초앞 · 광한루경치 · 책방독서 · 백년가약 · 이별가 · 신연(新延)맞이 · 기생점고(妓生點考) · 십장가(十杖歌) · 옥중가 · 과거장 · 어사행장 · 춘향편지 · 옥중상봉 · 어사출도 · 뒤풀이...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화가 花歌위하여 지은 작품이다.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42행이다. 내용 내용은 김찰방의 부인 대화댁(大化宅)을 별종화(別種花)에 비유하여 그들의 백년가약과 만세동락을 축원한 것이다. “꽃아 꽃아 별종화야 대화꽃은 뉘 꽃인고 양양 북분(北盆) 돌아들어 김찰방의 꽃이로라.”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전편에 비유...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미상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가사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무릉도원 武陵桃源있는 무기(武冀)를 만나 누이 자랑을 하면서 누이의 장래를 부탁하겠다는 언약을 한다. 정서는 과거를 보기 위하여 상경하다가 양순무의 딸 국영을 만나 백년가약을 맺는다. 정서와 남장한 난영이 과거에 장원과 부장원을 하니, 황제가 정서를 벽옥공주의 부마로, 난영을 진왕의 딸 금란군주의 군마로 간택하려고 한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고전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