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배랑뱅이본 뜻 ‘배랑’은 ‘배낭(背囊)’이 변한 말인 것으로 보아, 배랑뱅이는 배낭을 짊어진 사람을 일컫는 말이었을 것 같다. 비렁뱅이는 큰말이다. 바뀐 뜻 ‘거지’를 얕잡아 이르는 말이다. 보기글 ㆍ그렇게 돈을 물 쓰듯 하다가는 쪽박 찬 비렁뱅이 되기 십상이지. ㆍ배랑뱅이가 하늘을 불쌍히 여긴다고, 자기 처지 모르...
- 유형 :
- 순우리말
-
뒤웅박 두뱅이내용 뒤웅박의 옛 이름은 ‘드’로 『훈민정음』(해례본)에서는 호(瓠)를 이렇게 풀이하였다. 방언으로는 ○박·두뱅이·주룸박·두룸박 등으로 부른다. 일반적인 형태는 바가지처럼 둥글지만, 호리병처럼 위가 좁고 밑이 넓은 박으로 만들기도 한다. 터지거나 깨지지 않도록 대오리로 그물처럼 만들어 덧싸기도...
- 성격 :
- 생활용품, 조리도구, 식기
- 유형 :
- 물품
- 재질 :
- 박, 대오리, 오짓물, 짚
- 용도 :
- 조리용, 생활용, 보관용
- 분야 :
- 생활/식생활
-
퉁가리 Liobagrus andersoni있거나 전혀 없고, 가슴지느러미의 가시는 안쪽에 1~3개의 톱니(鋸齒)가 있다. 기름지느러미는 꼬리지느러미와 연결되어 있다. 몸은 주황색으로 등쪽은 짙고 배쪽은 황색이며, 가슴지느러미·등지느러미·꼬리지느러미의 바깥쪽 가장 자리는 색이 엷고 안쪽은 색이 짙다. 생태 물이 맑은 하천의 중상류에서 자갈과 암석...
- 분류 :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메기목 > 퉁가리과
- 원산지 :
- 아시아 (대한민국)
- 서식지 :
- 하천
- 크기 :
- 약 10cm ~ 13cm
- 학명 :
- Liobagrus andersoni
- 식성 :
- 육식
-
손돌 설화 孫乭 說話뒤 배에 있는 박을 물에 띄우고 그것을 따라가면 몽고군을 피하며 험한 물길을 벗어날 수 있다는 말을 남기고 죽었다. 손돌을 죽이자 적이 뒤따라오므로 왕과 그 일행은 손돌의 말대로 박을 띄워 무사히 강화로 피할 수 있었다. 왕은 손돌의 충성에 감복해 그의 무덤을 만들고 제사를 지내 그 영혼을 위로하였다. 손돌이...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쏠배감펭 Pterois lunulata뜻하는 ‘뱅이’가 한데 합쳐져 ‘쏠배감펭’이라는 이름이 되었다고 추측된다. 형태 크기는 약 25~30cm이다. 몸은 방추형으로 약간 측편되어 있다. 머리는 원뿔 모양에 가까우며 그 꼭대기가 편평하지 않다. 두 눈 사이는 깊게 패어 있고 2줄의 낮은 액골 융기선이 있다. 위·아래 턱은 길이가 같고, 아래턱 봉합부에는...
- 분류 :
- 척추동물 > 조기어강 > 쏨뱅이목 > 양볼락과
- 원산지 :
- 인도양, 태평양
- 서식지 :
- 바다
- 먹이 :
- 새우
- 크기 :
- 약 25cm ~ 30cm
- 학명 :
- Pterois lunulata
- 식성 :
- 육식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