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반야 般若
    신돈 집의 여종으로 공민왕과 내통하여 우왕을 낳은 생모이다. 공민왕이 신돈의 집에 자주 드나들 때 그 집 여종인 반야와 내통해 뒤의 우왕에 오르는 모니노를 낳았다고 했으나, <고려사>에는 반야가 신돈의 비첩으로 모니노가 공민왕의 자식이 아니라 신돈의 자식이라고 했다. 이는 공민왕이 모니노의 출생을 비밀에 ...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고려,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반야 般若
    고려후기 제32대 우왕의 어머니인 왕족.|생애 및 활동사항 공민왕(恭愍王)이 신돈(辛旽)의 집에 행차하였을 때, 신돈의 사비(私婢)로 왕을 모신 뒤 우왕을 낳았다. 『고려사(高麗史)』에는 신돈의 첩이며, 우왕은 공민왕의 소생이 아니라 신돈과의 관계에서 태어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공양왕(恭讓...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신돈의 사비
    유형 :
    인물
    직업 :
    왕족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반야 프라즈나(prajna), 般若
    반야는 주객의 대립을 전제한 분별지가 아니라 현상을 있는 그대로 아는 무분별의 지혜를 이르는 말이다. 반야의 내용은 선정의 체험을 통하여 현상을 있는 그대로 자각하는 것이며 모든 현상이 공하다는 것이다. 반야를 통해서 깨달음은 성취되며, 현실 세계에서는 반야가 자비로써 작용한다. 동아시아 불교계에서는 ...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반야 (작곡가) BanYa
    반야(BanYa)는 대한민국의 게임 개발사 안다미로에 소속된 게임 음악 작곡팀이다. 펌프 잇 업의 오리지널 곡 작곡을 하면서 화제가 되었다. 제로 출시 이전까지는 안다미로 소속의 음악 전담팀이었으나 제로 출시 이후 반야 소속 작곡가들이 다 퇴사하면서 Yahpp은 개인 뮤지션으로 독립, 남은 뮤지션들은 반야 프로덕션...
    도서 위키백과
  • 반야 Prajñā (Buddhism), 般若
    다른 뜻불교 반야. 《아비달마구사론》 제25권: 그리고 8도지 중의 정견은 바로 도(道)이자 역시 도지(道支)이지만, 그 밖의 나머지는 도지일 뿐 도는 아니다. 또한 7각지 중 택법은 바로 각(覺)이자 역시 각지(覺支)이지만, 그 밖의 나머지는 각지일 뿐 각은 아니다.81) 비바사사(毘婆沙師)의 설은 이상과 같다. 81) 즉...
    도서 위키백과
  • 반야 (고려) Banya (Goryeo), 般若 (高麗)
    왕족 정보 반야(般若, ? ~ 1376년 음력 3월)는 고려 공민왕의 후궁으로, 우왕(모니노)의 생모이다. 신돈의 노비 출신으로 정확한 가계는 알 수 없으며, 그녀가 신돈의 노비였던 것을 걱정한 공민왕은 그녀의 아들 모니노의 혈통 시비를 예상하여 모니노를 궁인 한씨의 자식이라고 선언하였다. 그러나 우왕 즉위 후 반야...
    도서 위키백과
  • 반야선인장 반야, Monk’s Hood
    특성 줄기는 구형에서 성숙하면 원기둥 모양이 되며, 높이 1m, 지름 30cm 가량, 재배종은 크게 자라지 못한다. 등줄기는 8개, 곧고, 약간 나선형으로 휘며, 은빛이 나는 비늘이 완만하게 구부러진 모양으로 표면을 덮는다. 엽맥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가시는 5~11개, 곧고 날카로우며, 노란색 또는 갈색, 길이가 ...
    분류 :
    Astrophytum 속
    원산지 :
    멕시코 이달고 주, 케레타로 주
    꽃색 :
    노란색
    크기 :
    1m
    학명 :
    Astrophytum ornatum Britton & Rose
    용도 :
    관상용
    번식 :
    종자 번식
    도서 선인장 다육식물 | 태그 식물
  • 금강경, 부처님과 보살의 행은 집착이 없다 (관련어 반야)
    부처님 말씀 <금강경> 중에서 부처님과 보살의 행은 집착이 없다. 해설 금강이란 일반적으로 다이아몬드를 뜻한다. 다이아몬드는 금강불괴(金剛不壞)라고 하여 이 세상에서 가장 단단하여 결코 어떠한 물질에도 깨어지지 않으며 그 어떤 변화 속에서도 결코 파괴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것은 아주 희고 투...
  • 반야사상 般若思想
    인도 반야사상은 공(空)의 사상을 철학적으로 확립시키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반야사상을 천명한 중관학파(中觀學派)가 성립되기 이전부터 일체개공설(一切皆空說)은 이미 대승불교 초기에 성립되어 있었다. 공이란 존재물 그 자체에 실체인 아(我)가 없음을 뜻한다. 이것은 이미 석가모니 당시의 원시불교에서, “모든...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
    것이 가장 널리 유통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바탕으로 한 각종 논소가 1백여 종에 이른다. 현재 보물로 지정된 판본은 아래와 같다. (1) 금강반야바라밀경(보물, 1981-1년 지정) 목판본. 1첩. 서울 조병순 소장. 1363년 전라남도 남원에서 지남원부사 설사덕(薛師德)과 판관 김영기(金英起)의 주관 아래 신지...
    시대 :
    고려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경천노해(金剛經川老解), 金剛般若波羅蜜經
    주해본의 일종이다. 금강경은 2세기 무렵에 인도에서 결집된 이후 동아시아에 널리 유포되어 대승사상을 크게 현양한 경전이다. 결집 당시에 인도에서는 반야운동이 점차 확산되어 지혜의 사상을 결집한 금강경이 성립되는 계기가 되었다. 당시 불자 사이에는 금강경을 매일 수지독송(受持讀誦)하게 되면, 누구나 동일한...
    시대 :
    고려
    문화재 지정 :
    보물 제974호
    창작/발표시기 :
    1387년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금사사(金沙寺)
    분야 :
    종교·철학/불교
    소장/전승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
  • 반야바라밀다심경집해 반야심경집해(般若心經輯解), 般若波羅蜜多心經輯解
    저자 및 편자 『반야바라밀다심경집해』는 부훤당 소부가 유 · 불 · 도 삼가(三家)의 입장에서 『반야심경』에 집해(輯解)를 붙인 것을 저본으로 하여 1568년(선조 1) 평안도 양덕현(陽德縣)의 백운사에서 간선 일웅(一雄)이 주관하여 개판한 목판본 1책이다. ‘반야심경’이란 의미는 ‘지혜의 빛에 의해서 열반의...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21건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