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반란 Rebellion, 反乱
    모반(謀反, 정부수반, 정치지도자, 금융기관, 어떤 책임자 등의 권위를 파괴하거나 그 자리를 대신 차지하기 위한 여러 행동들에 대하여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개념이다. 시민 불복종이나 시민 저항, 비폭력 저항처럼 폭력을 배제한 반란행동도 있을 수 있다. 물론 폭력적인 행위 역시 반란의 범주에 포함되며, 특히 반란...
    도서 위키백과
  • 반란 (음반)
    반란》(反亂)은 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 이승환의 세 번째 라이브 앨범이다. 집계된 판매량은 7,304장이다. CD1의 1~7번 트랙은 2004년에서 2005년 사이에 열었던 "이승환의 난 亂李" 실황, 9~11번 트랙은 2003년 5월 17일 전쟁기념관에서 열린 "끝장" 실황, CD2의 전곡은 2005년 열린 "제2회 이승환이 꿈꾸는 음악회...
    도서 위키백과
  • 북위의 분열, 육진의 난 (동의어 반란)
    효문제의 낙양 천도 후 훈공에 따라 관료로 진출할 수 있는 특혜가 없어진 군진들은 봉기를 일으키고 반란을 획책한다. 이에 북위 조정은 포로를 강제 이주시키는 등 반란군 진압에 나섰으며, 기주에서 또다시 반란이 일었으나 추장 이주영이 진압함으로써 육진의 난은 평정되었다. 그 후 반란 진압을 계기로 군권을 손...
    시대 :
    523년
  • 원나라 시대, 홍건군의 반란
    월병(仲秋月餠)을 이용하였다. 이 월병 속에 모월 모일 모시에 어느 장소로 모이라는 등 그들의 비밀 연락 사항을 써넣어 저항 운동을 확대하였다. 한인들의 반란은 순제 즉위 15년경부터 양자강 유역에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이 반란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고 매우 끈질겼다. 한 곳의 반란을 진압하면 곧바로 다른 곳...
  • 명나라 시대, 이자성의 반란
    명나라에서 반란이 일어나기 시작한 것은 명의 천계 7년(1627)으로 태종 홍타시가 조선에 출병하여 정묘호란을 일으켰던 해부터였다. 명나라는 청나라와의 계속되는 싸움으로 막대한 군사비를 감당해야 했고 세금을 과중하게 징수하지 않을 수 없었다. 과중한 세금 부담은 일반 백성들의 생활을 압박하였고 세금을 내지...
  • 장보고 반란 신라 해상 무역의 발달
    맞아 피살된다. 신라 46대 문성왕(文聖王, 재위 839~857) 8년인 846년에 일어난 일이다. 당시 문성왕은 장보고가 자기 딸을 왕비로 맞지 않는 것을 원망하여 반란을 일으키자, 전전긍긍하던 끝에 장보고를 직접 죽이겠다고 나선 염장을 청해진으로 보냈고, 염장은 거짓으로 투항한 척하며 장보고를 암살했다. 《삼국사기...
    시대 :
    846년
  • 논공에 불만을 품은 이괄의 반란
    50여 명의 공을 기록하여 정사(靖社)라 하였다. 논공의 불공평으로 서인 간에는 마침내 내부적인 모순과 균열이 일어 이것이 인조 2년(1624)에 이괄(李适)의 반란으로 표출되었다. 이괄은 용맹한 사람으로서 반정 때에는 군사를 지휘하여 큰 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당연히 공이 일등으로 병조판서는 그에게 돌아와야...
  • 하층 카스트의 위대한 반란
    거의 다섯 명에 한 명 꼴이라고 보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점점 커지는 하층민의 목소리와 변화의 조짐 이렇게 어마어마한 인구가 중심이 되어 인도 사회에 반란(?)을 꾀하고 있는데, 그것은 정치 분야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었다. 최근까지 우타르프라데시 주의 주수상은 마야와티라는 여성이었는데, 달리트 출신으로서...
  • 12·12 군사반란 十二十二 軍事叛亂
    세력이 당시 대통령이었던 최규하(崔圭夏)의 재가도 없이 휘하 부대 병력을 동원하여 정승화(鄭昇和) 육군참모총장을 강제로 연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군사반란 사건이다. 유혈충돌이 수반된 하극상 사건이었다. 12·12군사반란, 12·12하극상, 12·12쿠데타, 12·12쿠데타적사건 등이라고도 한다. 신군부 세력은 이...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사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동진 ∙ 오호십육국 시대, 왕돈의 반란
    왕돈은 왕도의 사촌이고 무제 사마염의 딸을 아내로 맞이한 명문출신이었다. 일찍이 낙양에서 석숭·왕개·왕제 등의 무리가 사치와 부의 경쟁을 벌이고 있을 때의 일이다. 그때 석숭의 집에서는 화장실에 화사한 옷차림을 한 아름다운 시녀 10여 명이 늘어서서 향을 피우고 손님에게는 새로운 옷을 갈아입히는 시중을...
  • 12·12군사반란 12·12사태, 十二十二軍事叛亂
    개요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 등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가 정승화 육군 참모 총장 등을 불법적으로 강제 연행하고 군권을 장악하면서 시작된 군사 반란 사건이다. 신군부는 12월 13일 군본부와 국방부, 중앙청, 경복궁 등 핵심 거점을 점령하고 방송국과 신문사를 통제했다. 당시 대통령이었던 최규하를 협박해...
    날짜 :
    1979년 12월 12일
  • 농민반란 農民叛亂, peasants' revolt
    역사용어로서 농민반란은 농민혁명, 농민전쟁과는 구분되는 용어이다. 근대사회를 성립시킨 시민혁명과 연계하여 발생한 농민봉기를 농민혁명, 봉건사회 해체기에 일어나 혁명에까지는 이르지 못한 농민봉기를 농민전쟁이라 부르고, 농민반란은 전근대사회의 발달과정에서 발생한 농민운동을 가리킨다. 그런데 유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사건/사고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6건

크론슈타트 반란
푸카초프의 반란
크론슈타트 반란
농민 반란
반란세력
데카브리스트의 반란
불라빈의 반란
농민의 반란
케인호의 반란
낭인의 반란
도조 반란(Dozsa Rebellion)
진승·오광의 반란
바운티호의 반란
바운티호의 반란
로마 동맹 도시의 반란
여순반란사건 신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