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朴鍾哲拷問致死事件
    1987년 경찰에 의해 불법 연행된 박종철이 수사과정에서 고문으로 인해 죽은 사건. 1987년 1월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를 받던 중 경찰의 고문으로 사망했다. 공안당국은 이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하려 했으나, 1987년 5월 17일 광주민주화운동 7주기 추모미사에서 김승훈 신부의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현대 , 사건/사고
  • 박종철고문치사사건 (동의어 박종철 고문치..) 박종철사망사건, 朴鍾哲拷問..
    서울대학교 학생 박종철이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를 받던 중 경찰의 고문으로 사망한 사건.|개설 전두환정권 말기인 1987년 1월 14일, 경찰은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학생 박종철을 불법 체포하여 고문하다가 사망케 했다. 이 사건은 공안당국의 조직적인 은폐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 진상이 폭로되어 1987년...
    시대 :
    현대
    발생 :
    1987년 1월 14일
    성격 :
    고문치사사건
    유형 :
    사건
    종결 :
    1987년 1월 14일
    분야 :
    역사/현대사
    관련 인물/단체 :
    박종철, 강민창, 박처원, 김승훈,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관련 장소 :
    서울시 용산구 남영동 치안본부 대공분실 509호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관련어 박종철 고..)
    사건 정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朴鍾哲 拷問致死 事件)은 1987년 1월 14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경찰 수사관들이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학생 박종철을 심문하던 중 물고문으로 요절에 이르게 한 사건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성공회 서울주교좌대성당에서 집회가 시작되었고, 6월 항...
    도서 위키백과
  • 전두환 (관련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 全斗煥
    대한민국의 제11·12대 대통령. 경남 합천 출신으로, 12.12 군사반란을 통해 권력을 장악했으며, 1980년 대통령 최규하가 하야하자, 장충체육관에서 간접 선거로 단독 출마해 제11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취임 이후 개헌을 실시하고 체육관 선거를 통해 제12대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며, 재임 기간 동안 사회 유화책을 적...
    출생 :
    1931. 1. 18, 경남 합천
    사망 :
    2021. 11. 23, 서울
    국적 :
    한국
    직업 :
    군인, 정치인, 제 11·12대 대통령
    호 :
    일해(日海)
  • 박종철 (관련어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朴鍾哲
    부산 출신의 시민운동가.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재학 중이던 1987년 경찰에게 불법 체포되어 수사를 받다가 경찰의 고문으로 사망했다. 경찰의 은폐 시도에도 불구하고 사건이 폭로되면서 6월 민주 항쟁의 계기가 되었다.|초기 생애 1965년 4월 1일 부산 서구 아미동에서 아버지 박정기, 어머니 정차순의 2남 1녀 중 막...
    출생 :
    1965년 4월 1일
    사망 :
    1987년 1월 14일
  • 김승훈 金勝勳
    보도지침-권력과 언론의 음모'를 통해 이를 세상에 알렸다. 1987년 5월 18일 명동성당에서 열린 5·18 추모미사에서 정의구현사제단 대표로 "박종철고문치사사건은 조작되었다."는 성명을 발표하여 6·10 민주화운동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 김승훈은 박종철기념사업회 회장을 역임했고, 김재규 장군 명예회복추진...
    출생 :
    1939. 7. 6, 평남 진남포
    사망 :
    2003. 9. 2, 서울
    국적 :
    한국
    업적 :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진상규명,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진상규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6월 민주 항쟁 전두환 독재를 반대한 반독재 민주화 외침
    더욱 확산되었다. 광주 민주화 운동 7주년 기념일인 5월 18일, 전국적으로 광주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행사가 열린 가운데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은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의 진상이 조작된 것이라는 유인물을 발표했다. 그 직후인 27일, 야당과 재야 세력, 종교 단체 등이 봇물처럼 터져 나오는 민주화 요구를 결집하고...
    시대 :
    1987년
  • 6월 민주항쟁 6・10 민주항쟁
    독재 ・ 민주화 운동이다. 1987년 4월 전두환이 후임 대통령을 간접선거로 선출하겠다고 선언한 4・13 호헌조치로 전 국민의 여론이 거세진 가운데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기폭제로 6월 10일 국민 대회에서 학생과 시민들이 대통령 직선제와 민주화를 위한 헌법 개정을 요구했다. 제5공화국은 노태우 민정당 총재의...
  • 고문 拷問
    기울이지 않아 고문방지를 규정한 「헌법」이나 「형사소송법」은 한낱 종이조작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1987년 ‘고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은 고문의 폐해에 대한 국민적 각성을 초래하였고, 2002년 속칭 ‘서울지검 피의자 사망 및 고문치사 사건’의 발생은 수사기관과 재판기관에 종사하는...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민주화추진위원회사건 민추위사건, 民主化推進委員會事件
    민추위 산하 서울대 민투 조직책 박종운(朴鍾雲)이 있었는데, 이후 1년 반이 넘도록 박종운을 추적하던 경찰은 1987년 1월 박종운의 소재를 파악하기 위해 그의 후배 박종철(朴鍾哲)을 연행해 물고문을 자행하였다. 결국 박종철은 사망했고,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은 1987년 6월 항쟁의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발생 :
    1984년 10월
    성격 :
    학생운동사건
    유형 :
    사건
    종결 :
    1985년 10월 29일
    분야 :
    역사/현대사
    관련 인물/단체 :
    민주화추진위원회, 민주화투쟁위원회, 문용식, 김근태, 박종철
  • 박종철 Park Jong-chul, 朴鍾哲
    동문과 대학문화연구회 회원들의 모금으로 로 되었으며, 박종철인권상을 제정하고 매년 수상자를 선정하는 등 여러 가지 기념사업을 하고 있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바탕으로 만든 영화 《1987》이 2017년 12월 27일에 개봉하였다. 2018년 1월 13일, 모교인 서울대학교 근처에 있는 신림동 대학5길에 박종철거리가...
    도서 위키백과
  • 공안검사 公安檢事
    정보부 5국장을 지낸 인물로 초원복집 사건 등에 연루됐다. 또 이명박 정부에서 대검 공안부장을 지낸 박한철 씨는 헌법재판소장에 임명됐다.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수사검사였던 박상옥 씨는 2015년 5월 대법관이 됐다. 부림사건의 수사검사로 유명한 공안통 고영주 씨도 2015년 8월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박종철 고문치사사건
박종철고문치사사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