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판소리打令) · 잡가(雜歌) · 극가(劇歌) · 창가(倡歌)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나, 20세기 중반 이후로는 ‘판소리’라는 용어로 정착되었다. 판소리 다섯바탕 판소리는 현재 전승되는 다섯 바탕 외에도 18~19세기 인물인 송만재의 『관우희(觀優戱)』에는 「춘향가」 · 「심청가」 · 「흥보가」 · 「수궁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창작판소리 創作─이르러 박동진과 정철호에 의해 새로운 판소리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박동진은 「변강쇠타령」·「숙영낭자전」과 같이 전승이 단절된 12바탕 판소리를 복원하였고, 「예수가」와 「이순신전」등을 새로 만들어 부르기도 하였다. 정철호는 박동실의 열사가를 다시 작창하여 불렀고 「녹두장군 전봉준」, 「권율...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판소리계 소설 판소리 독서물(讀書物), 판소리系 小說불세출의 충신으로 묘사된다. 이에 비하여 토끼는 단순한 책사(策士)로 전락하여 왕과 대신을 기만하는 존재가 된다. 완판본 「화용도」는 판소리 「적벽가」를 바탕으로 하여 형성된 소설이다. 그리고 「적벽가」는 「삼국지연의」의 ‘적벽대전’ 대목을 판소리화한 것이다. 「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판소리의 문학적 성격판소리의 한 부분이었던 '사랑가'·'쑥대머리'·'십장가'·'노정기' 같은 노래들이 독립 작품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연극에서는 판소리를 바탕으로 한 창극이 나오게 되었다. 문학과 판소리와의 관계는 다른 분야에 비해 특히 긴밀하게 나타난다. 판소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설로 이는 판소리의 성패를 좌우하기도...
-
-
김구 일대기의 매력, 판소리로 거듭나다역정'은 왕기석 명창이, 2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왕기철 명창이 3부 '해방시대'는 1980년대 암울한 상황에서 '똥바다' 같은 창작 판소리를 불러 유명해진 임진택 '창작판소리 열두바탕 추진위원회' 예술총감독이 소리를 했습니다. 앞으로 이 판소리는 계속 공연할 예정입니다. 이날 자리를 메운 청중 300여 명은 시종...
-
장월중선 張月中仙있는 대표적인 호남 예인의 집안에서 출생하였다. 큰아버지가 송만갑의 제자인 장판개이고, 아버지 동생 장수향도 판소리와 가야금에 뛰어났다. 장월중선은 장판개에게 단가와 판소리 다섯 바탕을 부분적으로 배웠고, 10대에는 박동실에게 심청가 전 바탕과 춘향가를 배웠다. 가야금 풍류와 산조는 김종기의 제자인 고모...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박동진 판소리전수관보유자)은 공주 무릉동 출신으로, 천신만고의 역경을 딛고 한평생 예술혼을 불태운 불사조이다. 출생지인 무릉동에 판소리 전수관을 건립, 후진 양성과 판소리의 맥을 이어 주기 위하여 판소리 5 바탕(적벽가, 춘향가, 수궁가, 심청가, 흥부가), 성서 판소리, 단가, 남도민요 등을 가르칠 교육의 장을 열어 놓고 있다...
- 위치 :
- 충청남도 공주시 무릉중말길 22-14
-
창극 구연극, 唱劇소도구 등을 갖추었고, 대사와 성격에 맞는 연기를 지향했고, 설명에 해당하는 부분을 맡아하는 도창자의 배치 등이 고려되었다. 전승 판소리를 바탕으로 한 작품 외에도, 실전 판소리로 알려진 <숙영낭자전>, <배비장전>, <옹고집전> 등을 레퍼토리로 개발했고, <유충열전>을 연쇄 창극으로 공연했다. 송만갑, 이동백...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
남도판소리 南道판소리다듬은 판소리의 한 대목)를 이루고 있으면서도 분위기 · 장면 · 가사에 따라 <심청가>에서 예를 들면 범패중류나 심청이 · 심봉사의 직접화법이 아닌 가사 등엔 동편제를 섞어 불러 더욱 맛이 난다는 평을 받는다. 박녹주는 경북 선산 출생으로 박기홍(朴基洪) · 송만갑(宋萬甲) · 정정렬(丁貞烈) · 김정문...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판소리내용 판소리 유파 중 동편제로 노래하는 흥보가. 1996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1996년 10월에 지정되었다. 동편제 흥보가는 송흥록...동편제와 서편제의 접목을 시도하여 뛰어난 음악성과 기량을 바탕으로 동편제 소리를 개혁한 송만갑은 송만갑제 흥보가를 박봉래(朴奉來)와 김정문...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