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애기민머리먼지벌레특징 체색은 흑색이며, 윤기가 흐르긴 하나 암컷의 시초에는 광택이 나지 않는다. 상순과 소악은 붉은검은색이며, 두부의 뒷쪽 부분은 볼록한 형상을 띠고 있다. 눈은 적당히 볼록한 형상이며, 전흉은 확연히 돌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시초는 볼록한 형태이다. 이들은 한국, 일본, 북중국, 몽고, 동시베리아 등지...
- 분류 :
- 딱정벌레목 > 딱정벌레과 > 어리자루맵시벌속
- 학명 :
- Harpalus bungii Chaudoir, 1844
- 분포지역 :
- 한국, 일본, 북중국, 몽골, 동시베리아
-
Alepocephalidae 민머리치과, セキトリイワシ科Slickheads or nakedheads are a family, Alepocephalidae, of marine smelts. They are deep-water fishes most common below . They get their name from the lack of scales on the head. It has nineteen genera.Tony Ayling & Geoffrey Cox, Collins Guide to the Sea Fishes of New Zealand, (William Collins...출처 영어 위키백과
-
목포 달성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木浦達聖寺木造地藏菩薩三尊像─十王像一括시왕 개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내용 목조지장보살반가상은 투각대좌에 오른쪽 다리를 밑으로 내리고 왼쪽 다리를 대좌 위에 놓은 자세를 취하고 있다. 민머리의 성문비구형으로, 둥근 얼굴에 이목구비와 자연스러운 삼도(三道)가 표현되었다. 바깥에 걸친 두꺼운 대의는 오른쪽 어깨에서 대의자락이 가슴까지 내려와...
- 시대 :
- 조선전기
- 문화재 지정 :
- 보물 제2011호
- 건립시기 :
- 1565년(명종 20)
- 성격 :
- 불상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
-
용장사 석불 좌상 龍藏寺 石佛 坐像보수되었으며 광배 일부도 떨어져 나가 원형을 잃었다. 본존불좌상만 국가유산으로 지정되었고 입상인 협시불들은 제외되었다. 본존불은 지장보살처럼 민머리를 하고 있고 얼굴은 둥글며 원만하나 약간 둔중하게 보인다. 귀는 형식화되어 어깨까지 내려오고 목에는 삼도가 돌려져 있다. 법의는 통견이며, 옷 주름은 U...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정읍 보화리 석조 이불입상 井邑 普化里 石造 二佛立像조형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큰 불상은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하여 가슴 위에 놓고 오른손은 옷자락을 잡듯이 늘어뜨렸다. 신체의 굴곡은 적은 편이며 민머리에 볼록 솟은 동그란 육계, 살이 오른 통통한 얼굴, 편단우견식 대의 그리고 자연스러운 옷주름이 특징이다. 편단우견의 대의는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팔목으로...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榮州 新岩里 磨崖如來三尊像오른손을 가슴 위로 들었고 왼손은 무릎 위에 놓아 손바닥을 보이는 시무외·여원인의 수인을 하고 결가부좌로 앉아 있다. 몸에 비해 큰 머리는 나발이 없는 민머리이며, 높이 솟은 둥근 육계에 마모로 갸름한 얼굴형에 긴 귀만 확인된다. 유난히 좁은 어깨에 어린 아이 같은 신체비례 등 간격을 이루는 옷주름 등 간결...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초선대 마애여래좌상즐겼다고 기록되어 있어, 마애불은 거등왕의 초상이라고 전해지기도 한다. 초선대 마애여래좌상은 연꽃 받침에 양손을 모으고 다리를 포개어 앉은 자세로, 민머리에 나지막한 육계(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상투 모양이 된 것)가 있다. 눈은 가늘고 길며, 작은 코에 두툼한 입술은 토속적인 인상이 강하다. 귀는...
- 위치 :
-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대로2580번길 21
- 문화재 지정 :
- [초선대마애석불]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78호(1974.02.16 지정)
도서 대한민국 구석구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