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협 화백, 鄭恊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검열·정자를 지냈다. 1589년 아버지가 정여립(鄭汝立)의 모역사건에 연루되어 남해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은 뒤로는 미관말직으로 전전하다가 1599년 아버지가 신원(伸寃: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줌.)되자, 검상에 기용되었다. 이 때부터 보덕·수찬·헌납·장령·사인·판교·사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61년(명종 16)
- 사망 :
- 1611년(광해군 3)
- 경력 :
- 이조참판, 대사헌, 예조참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동래(東萊)
-
임정주 치공(穉恭), 任靖周1776년 정조가 즉위한 뒤 홍국영(洪國榮)의 세도정치에 밀려나 전생서주부(典牲署主簿)·송화현감·사옹원주부·온릉령(溫陵令)·청산현감 등의 미관말직만 역임하였다. 청산현감 때 선정이 보고되어 왕의 특명으로 가자(加資)되고 중추(中樞)의 직함을 받았다. 평생 동안 영리에 마음쓰지 않고 오직 위기(爲己)의 학문...
- 시대 :
- 조선
- 출생 :
- 1727년(영조 2)
- 사망 :
- 1796년(정조 20)
- 경력 :
- 송화현감, 청산현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학자
- 대표작 :
- 운호집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본관 :
- 풍천(豊川: 지금의 황해도 송화)
-
이향견문록 里鄕見聞錄인물의 행적을 적고 있다. 조선시대 하층계급출신의 인물연구에 도움이 되는 귀중 자료이나 인용서 중 양반층의 기록이 많고, 하천한 인물이 특은을 입어 미관말직이라도 얻은 것을 칭송하는 등 양반 중심의 사회윤리가 눈에 띈다. 그러나 많은 문헌을 섭렵하고 유서(類書)를 집성해 하층민의 인물행적을 다수 기록한 공...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유재건(劉在建)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후기
- 성격 :
- 인명록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0권 3책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수직왜인 受職倭人두목이나 특수한 기술을 가진 자 또는 왜구의 토벌에 공이 있는 자에게 관직을 수여하였다. 수직인은 그 공로나 신분에 따라서 사정(司正)·사과(司果) 등 미관말직에서부터 당상관에 이르기까지 여러 계층이 있었으며, 이들에게는 관직에 상응하는 예우와 관복을 하사하였다. 국내에 거주하는 수직왜인은 각지에 분산...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진수해범 進修楷範열거, 반성하게 하고 물질적 욕구·욕망을 자제하는 수양책을 제시하였다. 「근언(謹言)」에서는 말 한마디의 실수로 패가망신하고 대사를 그르치는 사례를 ‘언패이출 역패이입(言悖而出 亦悖而入)’의 문구를 들어 강조하였다. 권3의 수직편에서는 삼공(三公) 이하 미관말직에 이르기까지 공직자로서의 수칙을 논술...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유운
- 성격 :
-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2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임유정 林惟正했던 집안의 3형제 가운데에 둘째로 태어났다. 비상한 기억력과 시재로 이름을 떨쳤다. 그는 급제하고 늦게서 벼슬길에 올랐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미관말직을 전전했다. 양계(兩界: 고려·조선 시대에 군사적으로 중시되던 동계(東界)와 서계(西界)를 아울러 이르던 말)에서 녹사(錄事: 고려 시대에, 각급 관아에...
- 시대 :
- 고려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문신
- 대표작 :
- 임좨주백가의시집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한문학
-
조선과환보 朝鮮科宦譜염려해 위로 선계(璿系)의 봉작(封爵)으로부터 아래로는 사서인의 관직에 이르기까지 지난날 삼보의 명현을 뽑고 근대의 인물까지 수록해 비록 희성 벽관과 미관말직이라도 빠뜨리지 않고 모두 수록하였다. 책이름은 비록 조선과환보라 했으나 그 넓은 범위는 바로 만성보(萬姓譜)에 해당하고 세계(世系)의 자세함은 한...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남주원(南㴤元)
- 창작/발표시기 :
- 1914년
- 성격 :
- 유서(類書)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8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소장/전승 :
- 서울대학교 규장각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