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래지신밟기」 東萊地神밟기
    금년 해분 ◯◯년에/ 이동네 가가호호/ 나갈때는 반짐지고/ 들어올때 온짐지소/ 울리소 울리소/ 천만년을 울리소/ 잡귀잡신은 물알로/ 만복은 주산으로/ [합창]잡귀 잡신은 물알로/ 만복은 주산으로. 2. 당신 지신풀이 지신지신 지신아/ 당산지신을 울리자/ 동방에 청제당산/ 남방에 적제당산/ 금년해분 ◯◯년/ 정월초...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 달거리
    유포되어 있다. "정월 이월 드는 액은 삼월 사월에 막고/삼월 사월에 드는 액은 오월 단오에 다 막아낸다/일년하고도 열두달 만복은 백성에게/잡귀잡신은 물알로 만대유전을 비옵니다" 같은 식으로 매월마다의 절기를 불러내며 후렴을 받아 "에헤루 액이야 어기여차 다 막아낸다" 하는 식으로 끝을 맺는다. 12차농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해파리
    12곳 북의 바다에는 지방명으로 해파리라는 것이 있는데 모양이 물거품 같고 파도 위를 떠다닌다.……”라 하였다. 『전어지(佃魚志)』에는 수모(水母)를 ‘물알’이라 하고, 설명하면서 바닷사람들이 ‘ᄒᆡ파리〔海蠅魚〕’라 한다고 하였다. 오늘날에는 식용 해파리가 있어 흔히 해파리냉채를 만들어 먹는다. 바다에서...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민챙이 Korean mud snail
    건조를 피하는 생존전략을 갖고 있다. 썰물 때 해변에 일시적으로 만들어지는 조수웅덩이에서도 흔히 발견된다. 봄~여름에 걸쳐 이들이 산란한 메추리 알 크기의 둥그런 알덩이들이 해변 곳곳에서 발견되며, 서해안에서는 이 알덩이를 ‘물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분포 제주도를 포함하여 우리나라 전 연안에 살고...
    분류 :
    연체동물문>복족강>두순목>민챙이과
    학명 :
    Bullacta exarata (Philippi)
  • 「일광면 용천 지신풀이」 日光面 龍天 地神풀이
    이 자리 좌정하소/ 축원하자 축원하자 동네방네 축원하소/ 당산님네 신력받아 이 동네 안과태평/ 부귀영화 재수대통/ 만대유전을 하옵소서/ 잡구 잡신은 물알로/ 만복은 이리로. 2. 대문 들어갈 때 : 주인 주인 문여소 나그네 손님 드간다. 나갈 때 : 어 헐싸 지신아 허 헐싸 대문아/ 울리자 울리자 대문 지신을 울리자...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 객귀에 걸렸을 때의 민간요법 客鬼에 걸렸을 때의 民間療法
    밥, 된장 등을 넣어 물밥을 만든 뒤 칼로 물밥을 찍어 환자에게 뿌리면서 “이 놈의 구신아 썩 물러가라. 물밥은 묵고 가고 된밥은 싸서 가라!” 혹은 “잡신은 물알로 가고 좋은 사람은 우리 집에 오고!”라 외치면서 ‘워쎄!’라고 소리를 치며 잡귀를 물린다. 그러고 나서 물밥을 먹인 칼을 마당에 던져 칼끝이 밖...
    분야 :
    생활·민속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 「성주풀이」
    국회 의원 매련하고/ 딸애기 놓거들랑/ 고이고이 길러내여/ 정결부인을 매련하고/ 막아주자 막아주자/ 화재수도 막아주자/ 손재수도 막아주자/ 발크고 손큰놈은/ 물알로 회송하고/ 명질고 복진양반/ 이집가중을 다스려서/ 여루여루성주야/ 철년이나 울리소/ 말년이나 울리소/ 여어여어 성주여.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