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물리해양학 Physical oceanography, 海洋物理学
    물리해양학은 바다에서 발생하는 물리적인 조건과 현상, 특히 해수의 운동과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는 해양학의 한 분야이다. 지구에 있는 물의 97%는 해수이고, 해수는 수증기 순환을 통해 지구에 비나 눈이 내리게 한다.Pinet, Paul R. 부피 (106km3) 평균 수심 (m) 최대 수심 (m) 태평양 165.2 707.6 4282 -110...
    도서 위키백과
  • 해양학 海洋學, Oceanography
    그리고 이들 각 분야의 학문을 바다와 그 주위에 적용할 공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분야를 포함한다. 해양학의 세부학문으로는 해양지질학(海洋地質學), 물리해양학(物理海洋學), 해양생물학(海洋生物學), 화학해양학(化學海洋學), 해양공학(海洋工學) 등이 있다. 해양지질학은 지구 내부의 성분, 지각의 변동, 해저퇴적물...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과학기술
  • 해양학 海洋學, oceanography
    가속화하였고, 마침내 1940년대 중반부터는 해양조사방법과 장비들이 발달하여 해양의 여러 현상들을 보다 쉽고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물리해양학 분야에서는 파랑, 해류, 조류와 같은 해수의 움직임이나, 해양 대기 간 상호작용 등을 연구, 수행하고, 화학해양학 분야는 해양 표층수 있는 용존 물질...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대한민국의 해양학
    대한민국의 해양학은 해방 전인 1912년 수산해양학물리해양학의 관측조사시작으로 연안 정점 해양관측이 시작된 것이 최초의 해양물리조사이며, 수산시험장(현재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주관하였으며, 수산자원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그 후로 1926~1940년까지 정선해양물리관측이 계속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해양학 海洋學, oceanography
    전통적으로 해양학은 해양물리학·해양화학·해양지질학·해양생태학 등 개별적이지만 서로 연관되어 있는 4개의 분야로 구분된다. 해양물리학은 온도·밀도·압력 등과 같은 해수의 성질, 파도·해류·조석 등과 같은 해수의 운동, 해수와 대기 사이의 상호작용 등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해양화학은 해수의 조성과 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학문
  • 해양학 Oceanography, 海洋学
    그리고 이들 각 분야의 학문을 바다와 그 주위에 적용할 공학을 비롯한 여러 학문분야를 포함한다. 해양학의 세부학문으로는 해양지질학(海洋地質學), 물리해양학(物理海洋學), 해양생물학(海洋生物學), 화학해양학(化學海洋學), 해양공학(海洋工學) 등이 있다. 해양지질학은 지구 내부의 성분, 지각의 변동, 해저퇴적물...
    도서 위키백과
  • 해양화학 Marine chemistry, 海洋化学
    최우선 과제라는 데 동의했으며, 이 목표를 향한 노력은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14의 일부로 추적된다. 해양의 상호 연관성으로 인해 화학 해양학자는 물리해양학, 지질학 및 지구화학, 생물학 및 생화학, 대기과학과 관련된 문제를 자주 연구한다. 그들 중 다수는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을 조사하고 있으며, 특히 해양...
    도서 위키백과
  • 수문과학 연구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해양학 대양(大洋)과 소해(小海)를 다루는 과학분야이다. 해양학은 연구대상에 따라 물리해양학·화학해양학·해양지질학·생물해양학의 4개의 전문분야로 나누어진다. 물리해양학은 해수의 성질, 해빙(解氷), 해수의 운동 및 대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화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학문
  • 국제지구물리관측년 IGY, 國際地球物理觀測年
    기상학, 해양학, 지진학, 태양활동 등을 포함하고 있다. IGY 기간은 태양 플레어와 그밖에 변동이 심할 때인 태양흑점수의 극대기와 일치되도록 했기 때문에 태양에 관한 연구가 특히 중요했다. 1932~33년에 있었던 제2차 국제지구극관측년 이후, 발전된 장비와 로켓 공학 및 정보처리 분야를 이용하여 국제적인 과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한국해양학회 韓國海洋學會
    정보교환과 토론의 장으로서 연 2회 춘계와 추계에 정기학술발표회를 개최하며 아울러 발표회 초록집을 발간하고 있다. 또한 물리해양학분과·화학해양학분과·생물해양학분과·지질해양학분과의 기본 4개 분과와 해양환경보전분과의 특별분과에서 연 1∼2회의 분과별 세미나를 개최하여 심도있는 논의의 장을 열고 있다...
    시대 :
    현대
    설립 :
    1966년
    성격 :
    학술단체
    유형 :
    단체
    설립자 :
    이병돈(李秉暾), 최상(崔相), 이석우(李錫祐), 김종수(金鍾洙), 허형택(許亨澤), 박주석(朴周錫)
    분야 :
    과학/과학기술
  • 한국해양학회 韓國海洋學會, The Oceanological Society of Korea
    배포하고 있으며, 학문의 정보교환 및 토론의 장인 정기학술발표회를 춘계와 추계에 나누어 연 2회 개최하며 아울러 발표회 초록집을 발간하고 있다. 또한 물리해양학분과·화학해양학분과·생물해양학분과·지질해양학분과의 기본 4개 분과와 특별분과인 해양환경보전분과에서 연 1~2회의 분과별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부경대학교해양과학공동연구소 釜慶大學校海洋科學共同硏究所
    등 본격적인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1979년 5월 문교부로부터 해양·수산분야 특성화 기초연구소로 지정되어 5개년간 기초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물리해양학 및 생물해양학의 특성화 연구소로 지정되었다. 1983년 12월부터는 환경청 환경영향평가 대행자로 지정되었다. 1986년 정부가 약 60억원의 예산으로 전국 대학교...
    시대 :
    현대
    위치 :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3동 599-1
    설립 :
    1966년 10월
    성격 :
    부설연구소
    유형 :
    단체
    분야 :
    교육/교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