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희 (배우) Moon Hee, ムン・ヒ
    영화인 정보 문희(文姬, 1946년 7월 16일~)는 대한민국의 은퇴한 영화 배우 출신의 재단 관련 기업인이다. 1965년에 데뷔한 1960년대 중후반의 여자 영화 배우로 상당히 이름을 날렸었으며, 1971년 장강재 한국일보 부사장과 결혼한 후 1973년에 영화배우를 비롯한 연기 분야에서 모두 은퇴하였다. 현재는 《백상재단...
    도서 위키백과
  • 더덕 (동의어 문희)
    초롱꽃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식물.|내용 사삼(沙蔘)이라고도 한다. 더덕의 어원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나 1431년에 간행된 ≪향약채취월령 鄕藥採取月令≫이나 ≪향약집성방 鄕藥集成方≫에는 가덕(加德)이라 표기되어 있다. 가는 ‘더할 가’이니 ‘더’라 읽어야 하고 덕은 ‘덕’이라 읽어야 하니 더덕이 이두식 ...
    분류 :
    초롱꽃과
    성격 :
    식물
    유형 :
    동식물
    학명 :
    Codonopsis lanceolata (S. et Z.) TRAUTV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8∼10월
  • 문희 (드라마) 文熙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정보 《문희》는 MBC에서 2007년 2월 24일부터 2007년 8월 12일까지 방영된 주말 드라마이다. 故 강수연 : 하문희 역 - 아이몰 백화점 문형철 회장의 서녀 박상면 : 김영철 역 - 포목점 통주상회 아들 조연우 : 유진 역 - 가정의학과 전문의, 거산병원 후계자 김해숙 : 장한나 역 - 포목점 통...
    도서 위키백과
  • 유창 (동의어 문희) 劉敞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본관은 강릉. 초명은 경(敬). 자는 맹의(孟義), 호는 선암(仙庵). 아버지는 지군사(知郡事) 천봉(天鳳)이다. 1371년(공민왕 20)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학유(成均學諭)·박사·문하주서 등을 지냈다. 우왕 때 통례문지후(通禮門祗侯)·전공좌랑(典工佐郞)·예의정랑(禮儀正郞)·군부정랑(軍簿正郞...
    출생 :
    미상
    사망 :
    1421(세종 3)
    국적 :
    고려·조선, 한국
  • 문희 (1936년)
    인물 정보 문희(文姬, 1936년 4월 8일~)는 대한민국의 약사 출신 정치인이다. 전라남도 광주시(현재의 광주광역시) 출신이며 본관은 남평이다. 제17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졸업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현재의 약학대학) 약학 석사 학위 취득 (논문 《셀프메디케이션과 약사의 역할》) 아주...
    도서 위키백과
  • 문희
    문희는 다음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문희(文姬)는 신라 태종무열왕의 왕후인 문명왕후의 이름이다. 문희(文姬, 1936년 ~ )는 약사 출신으로 제17대 비례대표 국회의원(한나라당)을 지냈다. 문희(文姬, 1947년 ~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문희(1997년 ~ )는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약속 (2000년 드라마)의 등장인물 녹색...
    도서 위키백과
  • 문희 (가수) 崔玟熙
    음악가 정보 문희는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가수이다.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졸업) 연도 제목 역할 비고 2017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패널(판정단) 2018 드림아이돌 팔로우 미 10 2023 옥탑방의 문제아들 222회 게스트 연도 방송 제목 역할 비고 2019 JTBC 김슬기 천재 김연섭 10부작 2020 TV조선 어쩌다 가족 문희...
    도서 위키백과
  • 나야, 문희
    영화 정보 "나야, 문희”는 2024년 12월 24일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SF 영화이다. 나, 문희! AI로 새롭게 데뷔했문희! '거침없이 하이킥', '아이 캔 스피크', '소풍' 등 셀 수 없이 많은 작품으로 엄청난 사랑을 받고 있는 '국민 배우' 나문희. 여기에 최신 밈을 이끄는 트렌드세터, 틱톡커로 완벽히 변신한 한계 없는...
    도서 위키백과
  • 문희 聞喜郡
    경상북도 문경시의 고려시대 초기의 이름.→ 문경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문희매몽설화
    꾼 사람보다 산 사람이 국모(國母)가 된다는 설화이다. 고려 건국 설화 가운데 보육(寶育)이 곡령(鵠嶺)에 올라가 오줌을 누니 삼한의 산천이 은해(銀海)로 변하는 꿈을 꾸었다는 내용 역시 이 설화의 영향이다. 「문희매몽설화」가 왕권과 관계되기 때문에 심리적·신화적 측면에서 보다 깊은 검토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시대 :
    고대/삼국
    저작자 :
    미상
    성격 :
    설화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구비문학
  • 문희매몽설화 文姬買夢說話
    捨溺夢〉·〈선유몽 旋流夢〉 설화라고도 한다(→ 선유몽설화). 보희는 서악에 올라가 오줌을 누자 장안이 가득 차는 꿈을 꾸었다. 다음날 꿈이야기를 들은 문희는 보희에게 비단치마를 한 벌 주고 그 꿈을 샀다. 며칠 뒤 김유신은 집 앞에서 김춘추와 함께 공을 차다가 일부러 그의 옷을 밟아 옷끈을 떨어뜨리고, 자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화/전설
  • 이호민 효언(孝彦), 李好閔
    서울을 삼도의 군사가 연합해 공격한다는 소식을 듣고 지은 시 「용만행재하삼도병진공한성(龍灣行在下三道兵進攻漢城)」은 절창으로 널리 애송됐다. 저서로는 『오봉집(五峰集)』 15권 8책이 있다. 상훈과 추모 죽은 뒤에 청백리에 올랐으며 지례(知禮)의 도동향사(道東鄕祠)에 제향됐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문학/한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 {여진족의 모습}(‘문희귀한도(文姬歸漢圖)’의 일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