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교육사 朝鮮敎育史위하여 이원성의 해소, 생산교육, 애국사상 함양, 민주주의 교육, 문화재건 교육, 예술 교육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유물론적 사관을 수용하여 비판적...인식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남·북한이 공통으로 한국교육사의 고전이라고 인식할 정도로 기념비적인 저작으로 평가되고 있는 있는 반면에...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이만규
- 창작/발표시기 :
- 1947(상), 1949(하)
- 성격 :
- 학술서, 교육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 간행/발행 :
- 을유문화사, 거름(1988년에 재발행)
- 분야 :
- 교육/교육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Korea Arts & Culture Ed..교육 전문인력들이 학습할 수 있도록 연수콘텐츠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전문성과 교육자로서 자질을 겸비한 인력에게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을 교부하고 있다. 이 밖에도 문화예술교육 평가·통계분석과 기초·정책연구 및 연구 활용·확산을 위해 새로운 정책 방향을 제안하고 컨퍼런스와 토론회 등을 개최...
- 설립 :
- 2005년 2월
- 소재지 :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76
- 사이트 :
- https://www.arte.or.kr
-
정순목 丁淳睦길을 시도하였다. 한편, 퇴계사상과의 관계에서 서원교육제도(書院敎育制度)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구명을 계속해 왔다. 주요저서로는『예술교육론』을 비롯하여『한국교육사』·『한국 문화와 교육』·『교육의 역사적 기초』·『퇴계교학사상연구(退溪敎學思想硏究)』·『한국 서원교육제도연구(韓國書院敎育制度硏究...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36년
- 사망 :
- 1993년
- 경력 :
- 한국교육사연구회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교육사학자
- 대표작 :
- 한국교육사, 예술교육론
- 성별 :
- 남
- 분야 :
- 교육/교육
-
교육과정 敎育課程예술과 문화 및 스포츠 활동을 위한 교육에도 힘을 쏟는다. 제도화된 학교교육은 다음세대가 만들어갈 문명의 방향을 제시한다. 교육과정은 시대문명과 방향에 대한 가치판단을 반영하므로 우주관, 자연관, 생명관 및 역사관, 국가(사회)관, 인간관에 대한 일정한 견해를 기초로 한다. 이 점에서 교육과정은 교육 발전의...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수성구 壽城區우리 교육사에서 빛과 어둠의 두 자취를 남겨 놓았다. 초창기 서원은 선비정신이 충만한 학문의 도장(道場)으로 성인(聖人)을 향한 구도(求道)의 장으로 양반 관료제 사회를 지탱하는 지식인 관료집단의 양성기관이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서원의 난립으로 권력화 된 정치집단으로 변질되어 정쟁(政爭)의...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종교교육 宗敎敎育한국교육사에서 불교가 지닌 위와 같은 역할 또는 기능이 한국인에게 준 중요한 영향은 다음의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국인의 공통된 윤리의식의 형성이다. 삼국에 불교가 전래되어 널리 전파됨으로써 삼국의 상하를 불문하고 한국인 대부분이 불교를 신봉함에 따라 불교의 5계나 10선법(善法)을 지키게...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교육 敎育우리 교육사를 장식하는 찬연한 장이라고 하겠다. 수복 후 교육계가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과제는 새로운 교육관의 확립이었다. 여기서 우리 교육사상에 가장 큰 혼미를 가져온 것은 민주주의와 민족주의의 조화에 관한 문제였다. 그리고 광복 후 한국교육의 고심은 서구의 새로운 교육사조를 과감히 받아들여 구교육을...
- 유형 :
- 개념
- 분야 :
- 교육
-
환경디자인과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조경기능사, 컬러리스트산업기사,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관련직업 가구디자이너, 건축산업기사, 도시계획가, 무대디자이너, 문화예술교육사, 인테리어디자이너, 조경원, 조명디자이너, 컬러리스트기사 졸업 후 진출 분야 기업 및 산업체 건축 설계 회사, 도시 설계 회사, 조경 회사...
- 분류 :
- 대학교 > 예체능계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