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창범 文昌範
    1870년 함경북도 경원군(慶源郡) 유덕면(有德面) 죽기동(竹基洞)에서 태어났다. 1877년경 아버지와 함께 러시아 연해주 푸틸롭카 마을(한국명 육성촌)로 이주하였다. 장성한 후 니콜스크-우수리스크에서 러시아 군대의 납품업자로 큰 재산을 모았다. 러시아 연해주의 원호인(元戶人, 귀화 한인) 재력가로 교육과 언론 활...
    출생 :
    1870년, 함북 경원(慶源)
    사망 :
    1934년 10월 10일
    관련 사건 :
    「대한독립선언서」 발표, 연해주 3・1운동, 대한민국임시정부 통합 운동, 국민대표회의
    주요활동 :
    권업회 우수리스크지회 의원 및 교육부장, 전로한족회 중앙 총회 회장, 1919년 2월 「대한독립선언서(일명 무오독립선언서)」에 서명, 대한국민의회 의장, 1919년 3월 17일 연해주 3・1운동 주도, 임시정부 통합 운동을 주도하여 통합 대한민국임시정부 교통총장에 선임, 승인 ・ 개조 분쟁으로 교통총장에 취임하지 않고 대한국민의회 복설, 아무르주에서 민족 운동 주도, 국민대표회의에서 창조파로 활동
    포상훈격 :
    1990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권업회, 전로한족회중앙총회, 대한국민의회,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민대표회의 창조파
  • 문창범 文昌範
    일제강점기 대한국민의회 의장, 대한민국임시정부 교통총장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생애 및 활동사항 함경북도 경원 출신. 일찍이 노령(露領)으로 망명하여 노서아학교(露西亞學校)를 졸업하였으며 러시아어에 능통하였다. 1910년 이후 이상설(李相卨)·유인석(柳麟錫) 등과 항일 구국 운동을 전개하였고, 1918년 6...
    시대 :
    근대
    출생 :
    1870년(고종 7)
    사망 :
    1934년
    경력 :
    건국훈장 대통령장(1990년)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문창범 文昌範
    독립운동가.|일찍이 러시아로 망명해 러시아 학교를 졸업했다. 1910년 이후 반일단체 활동을 하던 이상설·이동휘 등과 함께 활동했다. 1917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한족회·대한교육청년연합회·권업회 등 각종 조직과 여러 계열의 단체 활동가들을 총망라해 조직된 러시아령 한인사회의 대표기관인 전로한인중앙총회...
    출생 :
    1870, 함북 경원
    사망 :
    1934. 10. 10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문창범
    문창범(文昌範, 1870년 ~ 1938년 10월 10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함북 경원 출신. 1919년 2월 1일 만주 길림에서 발표된 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에 서명자 39인 중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다. 1919년 4월 상하이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교통부 총장에 피선되었다. 함북 경원군 유덕면 죽기동(慶源...
    도서 위키백과
  • 박용만 우성, 朴容萬
    않는다고 비판하자, 3월 29일 상하이에 도착 후 4월 초순 외무총장직을 사임하였다. 임시정부는 4월 19일 국무원 회의를 열고 의원면직시켰다. 4월 중순, 문창범(文昌範)을 만나 군사단체 통일과 항일무장투쟁 전개 방안을 협의하였다. 이때 대동단 상무부장 나창헌(羅昌憲)도 러시아로 가서 활동할 것을 권유하자, 5월...
    출생 :
    1881년 7월 2일, 강원 철원
    사망 :
    1928년 10월 17일
    관련 사건 :
    상동청년학원, 한인소년병학교, 대한인국민회, 대조선국민군단, 군사통일회, 갈리히연합회, 대조선독립단 하와이지부, 대한민국임시정부, 군사통일촉성회, 군사통일회, 조선공화국, 보합단, 흥화실업은행, 대륙농간공사
    본관 :
    밀성(密城)
    주요활동 :
    1903~1904년 상동청년학원 다정국장 ・ 통신국장, 1908년 7월 애국동지대표회 개최, 1909년 6월 한인소년병학교 창립, 1911년 신한민보 주필, 1912년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외교원 ・ 헌장수정위원, 1913년 신한국보 주필, 국민보 사장, 1914년 6월 대조선국민군단 ・ 대조선국민군단사관학교 설립, 1917년 대동단결선언 서명, 제1차 소약국동맹회 참석, 1918년 갈리히연합회 조직, 태평양시사 창간, 1919년 대조선독립단 하와이지부 조직, 임시정부 외무총장 선임, 대한국민군 총참모, 1920년 대동단 무정부장, 연합선전부 부부장, 군사통일촉성회 개최, 1921년 군사통일회의 개최, 조선공화국 수립, 제2차 보합단 단장, 1922년 흥화실업은행 설립, 1926년 대륙농간공사 설립
    포상훈격 :
    1995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상동청년학원, 한인소년병학교, 대한인국민회, 대조선국민군단, 군사통일회, 갈리히연합회, 대조선독립단 하와이지부, 대한민국임시정부, 군사통일촉성회, 군사통일회, 조선공화국, 보합단, 흥화실업은행, 대륙농간공사
  • 대한국민의회 大韓國民議會
    간부진에 대해서는 3개설이 있다. ① 회장 한군명(韓君明), 군사부장 오영선(吳永善), 재무부장 김영학(金永學), 외교부장 한명서(韓明瑞)라는 설, ② 회장 문창범(文昌範), 간부 김립(金立)·윤해(尹海)라는 설, ③ 이동휘가 조직하였다는 설 등이다. 대회의 결의사항은, 첫째 한인에 대한 러시아정부의 동화정책 반대...
    시대 :
    근대
    위치 :
    극동공화국 흑룡강주(黑龍江州) 블라고베시첸스크(黑河市)
    설립 :
    1919년 3월 17일
    성격 :
    독립운동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20년
    설립자 :
    한군명(제1설), 문창범(제2설), 이동휘(제3설)
    분야 :
    역사/근대사
  • 대한국민의회 大韓國民議會
    제1차 세계대전의 종결, 파리강화회의 개최, 러시아 내란 등 국제정세의 격동 속에서 한인의 자주적 정부를 가져야겠다는 목적으로 대한국민의회로 개칭하고 문창범을 의장으로, 김만겸(金萬謙)을 부의장으로 선출하여 해외의 유일한 임시정부임을 자처했다. 독립을 선포하고 일본제국주의에 대해 혈전(血戰)을 선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대한독립선언서 大韓獨立宣言書
    趙鏞殷)·신규식(申圭植)·정재관(鄭在寬)·여준(呂準)·이범윤(李範允)·박은식·박찬익(朴贊翊)·이시영(李始榮)·이상룡(李相龍)·윤세복(尹世復)·문창범·이동녕(李東寧)·신채호(申采浩)·허혁(許爀)·이세영(李世永)·유동열(柳東說)·이광(李光)·안정근(安定根)·김좌진(金佐鎭)·김학만(金學滿)·이대위(李大...
  • 대한독립군단 大韓獨立軍團
    있었으며, 총병력은 3,500여명이었다. 밀산에서 월동한 대한독립군단은 1921년 3월 부대별로 이동을 시작하여 노령 연해주와 흑룡강일대에서 활동중이던 문창범·한창해 등의 도움을 받아 만·소국경 하천인 우수리 강을 넘어 이만(Iman)에 도착했지만, 대한독립군단 모두가 러시아로 이동하지 않았다. 밀산에서 서일은...
  • 대한민간정부 大韓民間政府
    학무부장관 안창호(安昌浩), 재정부장관 권동진(權東鎭), 군무부장관 노백린(盧伯麟), 법제부장관 이시영(李始榮), 교통부장관 박용만(朴容萬), 노동부장관 문창범(文昌範), 의정부장관 김규식(金奎植), 총무부장관 최린(崔麟) 등이 선임되었고, 차관은 여론에 따라 선임하지 않았으며, 임시 연락사무소는 천도교...
    시대 :
    근대
    성격 :
    독립운동, 임시정부
    유형 :
    제도
    시행일 :
    1919년 4월 1일
    분야 :
    역사/근대사
  • 대한독립선언서 무오독립선언서, 大韓獨立宣言書
    申圭植) · 정재관(鄭在寬) · 여준(呂準) · 이범윤(李範允) · 박은식(朴殷植) · 박찬익(朴贊翼) · 이시영(李始榮) · 이상룡(李相龍) · 윤세복(尹世復) · 문창범(文昌範) · 이동녕(李東寧) · 신채호(申采浩) · 허혁(許𮓊) · 이세영(李世永) · 유동열(柳東說) · 이광(李光) · 안정근(安定根) · 김좌진...
    시대 :
    근대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근대사
  • 대한민간정부 大韓民間政府
    학무부장관 안창호(安昌浩), 재정부장관 권동진(權東鎭), 군사부장관 노백린(盧伯麟), 법제부장관 이시영(李始榮), 교통부장관 박용만(朴容萬), 노동부장관 문창범(文昌範), 의정부장관 김규식(金奎植), 총무부장관 최린(崔麟) 등이다. 이 정부의 특색은 첫째, 주도체는 천도교로서 동학정신을 계승 발전하여 보국안민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0건

문창범
문창범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
하와이 대한민국민회 지방총회에서 발행한 대한독립선언서(1919. 4)
『동아일보』에 실린 신한촌 전경(1920년 4월 12일)
『독립신문』에 게재된 한민학교(1920년 6월 24일)
연해주 우수리스크 푸틸롭카 마을 입구
대한독립선언서(무오독립선언서)
전로한족회 중앙총회 개최지
대한국민의회 독립선언서
이갑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