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신 수문장신, 門神대문을 지켜 집안의 모든 일을 수호한다는 가신(家神). 수문장신 내용 ‘수문장신’이라고도 한다. 특히, 제주도에서는 중요한 신 중의 하나로 ‘문전(門前)’이라고 한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신라시대에 처용의 얼굴을 문에 붙여서 역신을 쫓는 풍습이 시작되었고, 고려 예종 때는 도교가 들어와 문신상을 세웠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문신 문안신(文安信), 文信해방 이후 「자화상」, 「서대문풍경」, 「알타미라의 인상」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조각가. 개설 본관은 남평(南平). 경상남도 마산 출생. 광복 전 동경의 일본미술학교에서 수학하였다. 활동사항 1947년부터 서울과 부산 · 마산 등지에서 지속적으로 유화 개인전을 가지며 양화계에 진출했다. 1950년대까지는 인...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문신 화악(華岳), 文信조선후기 승려로 소요파 취여 삼우(醉如三愚)의 제자이며 대둔사 13대 종사의 하나. 내용 대둔사(大芚寺: 현재 대흥사) 13대 종사(宗師) 중 4대 종사이다. 성은 김씨(金氏), 호는 화악(華岳). 전라남도 해남 화산(華山) 출신. 어렸을 때 출가하여 대둔사 고권(顧權)의 제자가 되었다. 그러나 배운 것이 없어서 경전을 ...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29년
- 사망 :
- 1707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승려
- 성별 :
- 남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문신 자문(刺文), 文身살갗을 바늘로 찔러 물감이나 먹물로 글씨·그림·무늬를 새기는 풍습. 자문·입묵·자청 내용 자문(刺文)·입묵(入墨)·자청(刺靑)이라고도 한다. 문신은 그 역사가 오래되어 서기전 12세기경 주공단(周公旦)의 두 아들이 형만(荊蠻)의 풍속을 따라 머리를 깎고 전신에 회색칠을 하는 문신을 하였다고 한다. 우리 나...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의생활
-
문신, 종교인가 패션인가?신체에 상처를 내어 장식하는 방법의 하나로, 피부 밑으로 염료를 넣어 영구히 무늬를 새겨 넣는 문신이 있다. 기원전 4000년경부터 이집트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그 기술은 중국, 일본, 필리핀, 보르네오, 그리고 태평양의 여러 섬까지 퍼져 갔으며 미학적으로도 크게 발전하였다. 이 중 뉴질랜드에 전파된 스타일은...
-
-
-
피어싱, 가학적인 장식의 역사 (동의어 문신)패션의 역사는 인간이 지닌 장식 본능이 시각적으로 표현, 발전되어온 과정이다. 시즌마다 바뀌는 형형색색의 예쁜 옷을 입는 것 외에도 보다 직접적이고 영구적인 장식본능의 발현을 찾아볼 수 있다. 몸에 상처를 내어 흉터를 만드는 상흔(傷痕), 바늘 끝으로 색소를 피부 밑에 침착시키는 문신(tatto), 신체의 일부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