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신 수문장신, 門神
    대문을 지켜 집안의 모든 일을 수호한다는 가신(家神). 수문장신|내용 ‘수문장신’이라고도 한다. 특히, 제주도에서는 중요한 신 중의 하나로 ‘문전(門前)’이라고 한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신라시대에 처용의 얼굴을 문에 붙여서 역신을 쫓는 풍습이 시작되었고, 고려 예종 때는 도교가 들어와 문신상을 세웠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문신 문안신(文安信), 文信
    해방 이후 「자화상」, 「서대문풍경」, 「알타미라의 인상」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조각가.|개설 본관은 남평(南平). 경상남도 마산 출생. 광복 전 동경의 일본미술학교에서 수학하였다. 활동사항 1947년부터 서울과 부산 · 마산 등지에서 지속적으로 유화 개인전을 가지며 양화계에 진출했다. 1950년대까지는 인...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예술·체육/조각
  • 문신 화악(華岳), 文信
    조선후기 승려로 소요파 취여 삼우(醉如三愚)의 제자이며 대둔사 13대 종사의 하나.|내용 대둔사(大芚寺: 현재 대흥사) 13대 종사(宗師) 중 4대 종사이다. 성은 김씨(金氏), 호는 화악(華岳). 전라남도 해남 화산(華山) 출신. 어렸을 때 출가하여 대둔사 고권(顧權)의 제자가 되었다. 그러나 배운 것이 없어서 경전을 ...
    시대 :
    조선
    출생 :
    1629년
    사망 :
    1707년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성별 :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문신 자문(刺文), 文身
    살갗을 바늘로 찔러 물감이나 먹물로 글씨·그림·무늬를 새기는 풍습. 자문·입묵·자청|내용 자문(刺文)·입묵(入墨)·자청(刺靑)이라고도 한다. 문신은 그 역사가 오래되어 서기전 12세기경 주공단(周公旦)의 두 아들이 형만(荊蠻)의 풍속을 따라 머리를 깎고 전신에 회색칠을 하는 문신을 하였다고 한다. 우리 나...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생활/의생활
  • 문신, 종교인가 패션인가?
    신체에 상처를 내어 장식하는 방법의 하나로, 피부 밑으로 염료를 넣어 영구히 무늬를 새겨 넣는 문신이 있다. 기원전 4000년경부터 이집트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그 기술은 중국, 일본, 필리핀, 보르네오, 그리고 태평양의 여러 섬까지 퍼져 갔으며 미학적으로도 크게 발전하였다. 이 중 뉴질랜드에 전파된 스타일은...
  • 문신 입묵, 文身
    피부 조직에 물감을 넣어 그림이나 글씨를 새기는 일.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질병이나 재앙으로부터 보호해 준다는 이유, 사람들의 지위·신분·소속을 나타내려는 목적, 장식을 위한 방법으로 문신이 활용되었다. 한국에서는 <삼국지> 위지동이전에 문신에 대한 기록이 있다. 현대에 들어 자기 표현의 한 방법으로 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반상식
  • 문신 門神, Men Shen
    중국 신화에서 문을 지키는 2명의 신. (병). Men Shen. (웨). Men Shen.|악귀가 집에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험상궂은 문신들의 초상을 2짝의 대문에 각각 1개씩 붙여놓는다. 전설에 따르면, 당 태종이 중병에 걸려 누워 있을 때 악귀들에게 몹시 시달리자, 두 장군이 황제 처소의 대문 앞에서 보초를 섰다고 한다.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문신 문안신, 文信
    문신은 조각을 통해 생명의 본질을 탐구하고자 했으다. 추상 조각가로서 국제적 명성을 얻었으며, 한국 미술·조각의 세계 진출을 주도했다. 일본으로 밀항해, 니혼미술학교 양화과에서 공부했다. 광복 후 귀국헤 마산·부산·서울 등지에서 10여 차례 개인전을 갖는 등 활발하게 활동했다. 주로 회화에 물두했었으나, ...
    출생 :
    1922. 1. 16, 일본 규슈[九州]
    사망 :
    1995. 5. 24, 경남 마산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문신 文身
    피부 밑으로 색채를 넣어 영구히 무늬를 새겨 넣는 신체 장식의 방법을 말한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문신 (그림) Process of tattooing, 入れ墨
    다른 뜻 넘어옴 문신(文身) 또는 타투(Tattoo)는 사람의 피부나 피하조직에 상처를 내고 색깔이 있는 잉크를 진피 속에 집어넣는 것으로 글자나 무늬 또는 그림을 새겨 넣는 것을 말한다. 동양에서의 문신은 먹을 사용한다고 해서 입묵(入墨), 또는 글자나 문양을 새겨 넣는다고해서 자문(刺文)이라 하였다. 타투라는...
    도서 위키백과
  • 피어싱, 가학적인 장식의 역사 (동의어 문신)
    패션의 역사는 인간이 지닌 장식 본능이 시각적으로 표현, 발전되어온 과정이다. 시즌마다 바뀌는 형형색색의 예쁜 옷을 입는 것 외에도 보다 직접적이고 영구적인 장식본능의 발현을 찾아볼 수 있다. 몸에 상처를 내어 흉터를 만드는 상흔(傷痕), 바늘 끝으로 색소를 피부 밑에 침착시키는 문신(tatto), 신체의 일부에 ...
  • 문신 (불교)
    불교 문신(文身, ,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4번째 위 가운데 하나이다.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4번째 위 가운데 하나이다. 불상응행법 또는 심불상응행법 중 언어와 관련된 3가지 법인 명신 가운데 하나이다. 문신(文身)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0건

문신
문신
문신
닭장 / 문신
문신미술관
문신(1923~1995) 동상
문신을 한 타이티 인
문신, 〈개미〉
문신 지우기
헤나 문신
문신미술관 입구
문신강제절목
문신강제절목
문신강제절목 / 김종수
문신강제절목 / 김종수
문신강제절목 / 김종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