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민정부 김영삼 정부, 文民政府
    군인이 아닌 민간인 출신 대통령이 이끄는 정부. 대개 김영삼 정부를 이르는 말로 쓰인다.|군인이 아닌 민간인 출신 대통령이 이끄는 정부를 말한다. 흔히 김영삼 정부(1993~1998)를 일컫는다. 문민정부의 반대는 군사정부(軍事政府)다. 군인이 통치권을 장악한 체제로 군사정권이라고도 한다. 한국은 1961년부터 32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 , 시사용어 , 선거
  • 문민정부 文民政府
    문민정부는 1992년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된 김영삼 정부가 출범하면서 명명된 정부 명칭이다. 군부 출신 대통령 시대를 끝내고 민간 정치인이 집권한 정부를 의미한다. 문민정부는 군부에 대한 문민 통제를 확립해 독재로 회귀할 가능성을 없앴고, 일제 잔재 청산을 위한 역사바로세우기 사업을 추진했으며, 금융...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개념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김영삼 정부 (관련어 문민 정부)
    행정부 정보 김영삼 정부(金泳三 政府, 1993년 ~ 1998년)는 대한민국의 제6공화국의 두 번째 정부이다. 별칭은 문민정부(文民政府)로, 군인 출신이 아닌 일반 국민이 수립한 정부라는 뜻으로 이전의 군사 출신 정권과의 차별성을 부각시키고자 했다. 김영삼 정부는 1990년대의 시대상을 대표하는 정권으로, 국내에서는 ...
    도서 위키백과
  • 문민정부의 출범
    김영삼 대통령이 취임했다. 이로써 5 ・ 16쿠데타 이후 32년간 이어진 군사 정권 시대가 막을 내렸다. 김영삼 정부는 이 점을 강조하며 스스로 문민(文民)정부라고 칭했다. 김영삼은 취임 초기에 개혁 정책을 실시했다. 김영삼은 12 ・ 12쿠데타의 주역인 하나회(12 ・ 12쿠데타 발생 참조)를 해체해 군사 쿠데타가 재발...
    시대 :
    1993년 2월 25일
    국가/대륙 :
    한국
  • 김영삼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金泳三
    득표하여 김대중을 약 194만 표 차이로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됐고, 이듬해 2월 25일 제14대 대통령에 취임했다. 대통령 재임 시기 김영삼은 자신의 정부를 '문민 정부'라고 명명하고, 취임한 당일 청와대 앞길과 인왕산을 개방했다. 이어 공직자 재산 공개, 하나회 척결, 금융실명제 도입 등 잇단 개혁 조치를 시행...
    출생 :
    1929. 1.14, 경남 거제(호적상에는 1927. 12.20)
    사망 :
    2015. 11. 22, 서울
    국적 :
    한국
    직업 :
    정치인,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호 :
    거산(巨山)
  • 문민통제 Civil control of the military, 文民統制
    후반부부터는 국방부차관마저도 군인 출신이 임명되기 시작하더니 전두환과 노태우 때는 국방부차관도 전부 군인 출신들이 차지했다. 이후 노태우 정부가 들어서자 유신 사무관 제도를 폐지하고 행정고시의 급을 3급에서 5급으로 낮추어 민간인 관료를 대거 등용하는 등 문민통제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도서 위키백과
  • 국익에 좋다면 국책 드라마는 필요한가
    1993년 김영삼 정권의 출범은 드라마 제작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가져 왔다. 가장 눈에 띠는 것은 소재의 확장이었다. 문민정부 출범을 앞두고 방송사의 드라마 소재에 대한 금기 타파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돼 드라마 소재로 채택되기 어려웠던 운동권 대학생들의 이야기가 극화되는 일도 잦아졌는데, 그런 흐름에 대해...
  • 문민독재 Civilian dictatorship
    당하게 돼 대체로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된다. 이승만 정권은 장기집권을 시도하다 결국 4·19 혁명으로 붕괴되어 불명예스럽게 결말이 났다. 이명박 정부도 때때로 의회를 무시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에 대해 문민독재라는 비판을 받았다. 다른 나라의 경우 필리핀의 마르코스 정권과 싱가포르의 리콴유 정권을 대표...
    도서 위키백과
  • 역사바로세우기 歷史바로세우기
    내용 1993년 김영삼 대통령은 문민정부가 출범하자 최우선 과제로 ‘역사바로세우기’를 천명하였다. 김 대통령은 제48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문민정부는 독립운동과 민주화 운동 정신을 이어받아 ‘신한국 창조’와 ‘민족사 복원’을 하는 ‘제2의 광복 운동’을 하겠다고 선언하였다. 따라서 ‘역사바로세우기’는...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개념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이명박 정부 Cabinet of Lee Myung-bak, 李明博政権
    전 대통령 임기 종료 및 이명박의 취임과 함께 출범하였으며 2013년 2월 24일에 임기가 만료 되었다. 이전 정부까지는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등 각 정부마다 추구하는 핵심 가치를 담아 정부의 이름을 사용하였으나, 과거의 패턴을 반복하는 것은 구태 의연한데다가 '실용'이라는 표현이 밋밋하고 의미도...
    도서 위키백과
  • 노무현 정부 盧武鉉政府
    등 진보 세력들은 이라크 전쟁 파병, 한미FTA 추진, 흐지부지한 4대 개혁 입법 등을 비판하였다. 한편 노동운동계에서는 참여정부에서 구속되거나 희생당한 노동자 수가 문민정부의 두 배라며 비판하였다.웹아카이브 참세상 2007년12월03일자 일부 노동단체는 노무현 정권에게 인권을 유린당했다고 주장하였으며 20여명...
    도서 위키백과
  • 아바차 Sani Abacha
    치르고 나이지리아를 문민통치로 복귀시키겠다고 약속했으나 제대로 이행하지 않다가, 1998년 7월 심장병으로 갑자기 사망했다. 그후 나이지리아에는 문민정부가 들어섰다. 아바차는 사망할 때까지 국고에서 최대 30억 달러에 이르는 자금을 외국 여러나라로 빼돌린 의혹을 받았다. 2003년과 2004년 스위스 은행들에...
    출생 :
    1943. 9. 20, 나이지리아 카노
    사망 :
    1998. 6. 8, 아부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1993년 제14대 대통령 취임식이 열린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광장 전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