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승가일용시묵언작법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僧家日用食時默言作法), 僧家日用時默言作法
    개설 『승가일용시묵언작법(僧家日用時默言作法)』은 사찰 대중이 묵언으로 발우 공양을 할 때의 묵언작법(默言作法)과 식당작법(食堂作法)의 절차를 싣고 있다. 정식 명칭은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僧家日用食時默言作法)’이다. 편찬/발간 경위 『승가일용시묵언작법』은 1666년(현종 7) 설악산(E0029053) 신흥사...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간당 묵언작법, 看堂
    후삼통(後三統)을 치고 나와서 세 번 절하고 죽비를 세 번 치면 입승도 죽비를 세 번 치게 된다. 그렇게 하여 입선에 들게 되면 그때부터 좌선하는 대중들은 묵언 속에서 좌선을 하거나 경(經)을 본다. 얼마 뒤 방선의 시간이 되면 입승이 죽비를 세 번 치며, 사미승이 나와 간당살을 들어 삼통을 치고, 또 죽비를 세 번...
    성격 :
    용어, 묵언작법의식
    유형 :
    의식행사
    주관처 :
    선원(禪院)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불가일용집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僧家日用食時黙言作法), 佛家日用集
    전통을 계승하는 데 관심이 컸음을 알 수 있다. 서지사항 1권 1책. 목판본.ㄹ 1666년(현종 7) 설악산 신흥사(新興寺)에서 영서(靈瑞)가 판각한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僧家日用食時默言作法)』은 묵언(默言)으로 발우공양을 할 때의 묵언 작법과 식당(食堂) 작법 등 승가의 일상 생활 규정 및 절차를 모은 책으로 본서...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광주 문빈정사 소장 전적 光州 文彬精舍 所藏 典籍
    없고, 2단(段)으로 되어 있으며, 상단(上段)은 그림이 있다. 체제는 6행 7자이다. 어미가 없으며, 전체 크기는 세로 26.0㎝, 가로 15.6㎝이다.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僧家日用食時默言作法)』은 목판본이며, 불분권 1책(47장)이다. 사주단변이며, 반곽의 크기는 세로 15.8㎝, 가로 13.2㎝이다. 계선이 없으며, 체제는...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숫타니파타, 함부로 하는 말은 도끼로 자신을 찍고 만다
    말이 없다면 사람 사이의 교감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그 말이 천 냥 빚도 갚게 하고 사람을 죽이게도 하는 원인이 된다. 그래서 불가에서는 묵언수행(黙言修行)이라는 것이 있다. 보통 안거기간(3개월) 동안 많이 하지만 몇 년씩 하는 스님도 있다. ‘달마야 서울 가자’라는 영화를 보면, 한 스님이 묵언수행 중...
  • 훈몽요초 訓蒙要鈔
    선조 9) 월정사에서 간행된 울산 양덕사 소장본에는 『장로화상종선인연지도(長老和尙種善因緣之圖)』, 『백장화상청규법(白丈和尙淸規法)』,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僧家日用食時黙言作法)』이 합철되어 있다. 『장로화상종선인연지도』에는 장로화상(長老和尙)이 생각하는 인연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백...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원효사(의정부)
    대사의 동상을 세웠다. 이와 나란히 송담 정은(1927~ ) 대선사의 동상도 함께 세워져 있다. (송담 정은은 평생 은둔 수행자로 살면서 10년 묵언수행으로 깨달음을 얻어 일명 묵언선사라 불리운다.) 또 그 옆에는 7층 석탑이 있는데 일제 강점기 대마도 번주였던 소요시토시(1558~1615) 가문이 1910년대에 전북 서남부...
    위치 :
    경기도 의정부시 망월로28번길 356 (호원동)
  • 마토 곰파 미래를 예언하는 오라클을 만날 수 있는 곳
    의복들이 보관되어 있다. 조용한 사원이 가장 북적거리는 시기는 매년 2~3월에 열리는 나그랑 축제(Nagrang Festival) 기간이다. 축제 기간에는 한 달간의 묵언 수행을 마친 두 명의 오라클(Oracle)이 미래를 예언한다. 두 눈을 가린 채 사원의 지붕 위를 횡단하거나 30m 높이의 바위에서 뛰어내리는 형태의 종교 의식은...
    요금 :
    ₹ 50
    가는 법 :
    레에서 남동쪽으로 26km
    이용 시간 :
    06:00~13:00, 13:30~18:00
  • 탄허 呑虛
    입문하기 전에 기호학파의 최익현 계통에서 한학을 수학했으며, 도학에서도 상당한 경지를 이루었다. 1934년 22세에 오대산 상원사로 출가했다. 이후 3년간 묵언 참선의 용맹정진으로 수행했으며, 15년간 오대산 동구 밖을 나오지 않았다. 월정사 조실, 오대산연수원 원장으로서 승려들을 지도했고, 1964~71년 동국...
    출생 :
    1913, 전북 김제
    사망 :
    1983, 강원 월정사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인
  • 빤디따라마 명상 센터 Panditarama Meditation Center
    센터는 전 세계에서 온 수행자들로 항상 붐빈다. 빤디따라마 센터는 타 수행 센터보다 수행이 엄격하기로 유명하다. 수행 센터 내에서는 누구든지 절대적으로 묵언을 해야 하며 숲으로 둘러싸여 있는 수행처는 수행에 전념할 수 있는 충분한 조건을 제공한다. 우 빤디따 큰스님이 전 세계를 다니며 수행 지도를 한 경험...
  • 신흥사 경판 神興寺 經板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 『수설수륙대회소』 · 『제반문(諸般文)』 · 『승가일용식시묵언작법(僧家日用食時默言作法)』 · 『식당작법(食堂作法)』등의 불교의식관계 문헌, 『광본대세경』 · 『조왕경』 등의 위경(僞經), 『진언집(眞言...
    시대 :
    고대/삼국/신라
    유형 :
    유물
    분야 :
    언론·출판/출판
  • 도량석 道場釋
    게송(偈頌)을 염송하기도 한다. 사찰의 하루 일과 중 도량 최초의식으로서 도량을 맑게 하고, 모든 잡귀를 몰아낸다는 뜻이 담겨 있다. 일반적으로 새벽 3시에 도량석을 마친 뒤에 법당에서의 아침예불로 사찰의 하루 일과가 시작된다. 그리고 도량석과 아침예불을 마치기 전까지는 사찰 내에서 묵언을 해야 한다. 참고문헌
    성격 :
    불교의식
    유형 :
    의식행사
    행사시기 :
    매일 새벽3시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승가일용시묵언작법
승가일용시묵언작법
승가일용시묵언작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