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무예이십사기 무예24반, 武藝二十四技개설 『무예도보통지』의 24가지 무예를 현대 무예인들이 무예24기 또는 무예24반이라 칭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1592년 임진왜란을 계기로 무예서의 편찬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1594년(선조 26) 훈련원이 만들어지면서 선조의 명을 받아 한교의 무예 6기인 『무예제보』(곤방, 등패, 낭선, 장창, 당파, 상수도)가 완성...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
장창 長槍아래 투겁의 길이와 직경도 이와 동일하다. 석환(錫環)의 직경은 1촌 4푼이고, 내경은 1촌이며 미철(尾鐵)의 길이는 4촌이다. 사용 방법 및 특징 장창은 무예24기의 첫머리 실릴 만큼 그 쓰임과 위력이 큰 무예이다. 장창의 자세는 대적, 기만, 방어, 공격세로 구성되어 있다. 날카롭고 빠른 왜구를 제압하는데 탁월한...
- 유형 :
- 물품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협도곤 미첨도, 협도, 夾刀棍眉尖刀)라 불렸고, 영조시대까지 협도곤으로 불리다가 정조시대에 협도라는 이름으로 정착되었다. 적의 진을 부수는데 효과적이어서 파도(破刀)라 불렸다. 무예24기 중 가장 무거운 병기이다. 연원 및 변천 협도곤은 곤봉에 10cm정도의 작은 날을 댄 무기로 실제 전장에서 사용되진 않았다. 때문에 날이 짧은 협도곤보다...
- 유형 :
- 물품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천시받은 조선의 무인 武人정조가 직접 서문을 내린 조선 무예서의 결정판인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가 완성되기에 이른다.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무예24기’는 지상 무예 열여덟 가지, 마상무예 여섯 가지로 조선의 ‘국기(國技)’로 평가할 만큼 의미 있는 무예이다. 이처럼 조선의 국왕들까지 무인이나 무예에 대해 결코 폄하...
-
무예도보통지 武藝圖譜通志요도와 표창을 분리하여 24기로 보는 것이다. 책 끝에 있는 관복도설은 무기에 필요한 옷의 그림과 설명을 한 것이고, 고이표는 영(營)에 따라 다른 기법의 비교...것들인 데 비해 24기의 전투기술을 중심으로 한 실전 훈련서로, 당시의 무예와 병기에 관하여 종합적인 조감을 할 수 있는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덕무, 박제가, 백동수
- 창작/발표시기 :
- 1790년(정조14)
- 성격 :
- 군서, 무예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4책
- 간행/발행 :
- 한국체육사연구회(영인)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