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예24기 무예24반, 武藝二十四技
    무예24기는 조선 정조 때의 관군이 익혔던 24가지 궁중 무술을 일컫는 것이며 각 기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당시 발간된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1790)』에 그림과 함께 실려 있어 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고 있다. 무예24기는 총 1026개의 다양한 동작과 무기를 갖추고 있어 무예 운용의 변화가 무쌍하며 크고 간...
  • 무예24기
    문화재 정보 무예24기는 조선 정조(1776~1800) 때에 장용영에서 펴낸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24가지 무예이다. 2007년 6월 3일 수원시의 향토유적 제21호로 지정되었다. 경당 출신이었던 김영호 전 대표와 이경석,배국진,김광식,최형국 등이 수원화성과 연계하여 세운 단체로서, 정치적인 문제에 관여하기 싫어한 경당...
    도서 위키백과
  • 무예도보통지 (관련어 무예 24기) Muyedobotongji, 武芸図譜通志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는 규장각 검서관인 이덕무, 박제가와 장용영 장교인 백동수 등이 정조의 명으로 1790년(정조 14년)에 편찬한 훈련용 병서이다. 임금의 명으로 만들어졌다 하여 《어제무예도보통지》(御製武藝圖譜通志) 또는 《어정무예도보통지》(御定武藝圖譜通志)라고도 불린다. 2017년, 조선민주주의...
    도서 위키백과
  • 무예이십사기 무예24반, 武藝二十四技
    개설 『무예도보통지』의 24가지 무예를 현대 무예인들이 무예24기 또는 무예24반이라 칭하고 있다. 연원 및 변천 1592년 임진왜란을 계기로 무예서의 편찬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1594년(선조 26) 훈련원이 만들어지면서 선조의 명을 받아 한교의 무예 6기인 『무예제보』(곤방, 등패, 낭선, 장창, 당파, 상수도)가 완성...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체육
  • 무예도보통지 무예통지, 武藝圖譜通志
    명으로 1598년 〈무예제보〉가 간행되었으며, 1759년 죽장창(竹長槍) 등 12기(技)를 더하여 18기에 관한 도보인 〈무예신보〉가 간행되었다. 〈무예제보〉와 〈무예신보〉에 기예 6기를 더하여 24기를 만들고 도보를 붙여 〈무예도보통지〉라고 이름했다. 장졸(將卒)들이 손쉽게 기예를 익혀서 국방에 만전을 기하려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전통무예원류적통자
    학습한 정보를 다시 기억해 내는 일) ※용어참고※ 바른용어 쓰임새 무예도보통지재현단체 무예24기재현단체 무예18기재현단체 24기재현무예=18기재현무예 24반재현무예=18반재현무예 전승재현무예. 전통재현무예. 전통무예 재현자 마상육기재현=마상기예재현=마상재재현=마보무예재현 복원용어쓰임새 ※문장 한예시...
    도서 위키백과
  • 십팔기 Sib Pal Gi, 十八技
    라고도 한다. 참고로 오늘날 십팔기를 수련하는 대한십팔기협회, 십팔기보존회에서는 마상육기와 왜검을 제외한 나머지만을 보급하고 있다. 임동규의 경당 무예24기보존회 중국에는 십팔기란 말이 없다 중국에서는 여러 가지 무기를 사용하는 기술을 전통적으로 십팔반무예라 불렀다. 대한민국에는 공산 정권 수립 후...
    도서 위키백과
  • 장창 長槍
    아래 투겁의 길이와 직경도 이와 동일하다. 석환(錫環)의 직경은 1촌 4푼이고, 내경은 1촌이며 미철(尾鐵)의 길이는 4촌이다. 사용 방법 및 특징 장창은 무예24기의 첫머리 실릴 만큼 그 쓰임과 위력이 큰 무예이다. 장창의 자세는 대적, 기만, 방어, 공격세로 구성되어 있다. 날카롭고 빠른 왜구를 제압하는데 탁월한...
    유형 :
    물품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장용영 조선 최고의 특수부대
    마상월도 등 실전에서 적의 예봉을 꺾는 기예를 훈련했다. 이러한 훈련은 대부분 정조의 어명으로 편찬된 개인 전투무예서인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무예24기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특히 한자를 모르는 병사들을 위하여 언해본을 따로 만들어 보급했기에 당시엔 누구나 『무예도보통지』를 옆구리에 끼고 수련했을...
    도서 조선무사 | 태그 한국사 , 조선
  • 협도곤 미첨도, 협도, 夾刀棍
    眉尖刀)라 불렸고, 영조시대까지 협도곤으로 불리다가 정조시대에 협도라는 이름으로 정착되었다. 적의 진을 부수는데 효과적이어서 파도(破刀)라 불렸다. 무예24기 중 가장 무거운 병기이다. 연원 및 변천 협도곤은 곤봉에 10cm정도의 작은 날을 댄 무기로 실제 전장에서 사용되진 않았다. 때문에 날이 짧은 협도곤보다...
    유형 :
    물품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천시받은 조선의 무인 武人
    정조가 직접 서문을 내린 조선 무예서의 결정판인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가 완성되기에 이른다.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무예24기’는 지상 무예 열여덟 가지, 마상무예 여섯 가지로 조선의 ‘국기(國技)’로 평가할 만큼 의미 있는 무예이다. 이처럼 조선의 국왕들까지 무인이나 무예에 대해 결코 폄하...
    도서 조선무사 | 태그 한국사 , 조선
  • 무예도보통지 武藝圖譜通志
    요도와 표창을 분리하여 24기로 보는 것이다. 책 끝에 있는 관복도설은 무기에 필요한 옷의 그림과 설명을 한 것이고, 고이표는 영(營)에 따라 다른 기법의 비교...것들인 데 비해 24기의 전투기술을 중심으로 한 실전 훈련서로, 당시의 무예와 병기에 관하여 종합적인 조감을 할 수 있는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덕무, 박제가, 백동수
    창작/발표시기 :
    1790년(정조14)
    성격 :
    군서, 무예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4책
    간행/발행 :
    한국체육사연구회(영인)
    분야 :
    예술·체육/체육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무예24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