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서울특별시어린이병원 ─特別市─病院소외되어 뇌성마비, 정신박약, 경련성질환 등을 앓고 있는 복합 중증 장애아동으로 보호자 없이 이들을 돌볼 수 있도록 보모를 두고 있으며, 이곳에 입원한 무연고 아동은 진료 후 병원 자체에서 실시하는 사회적응을 위한 특수교육을 거쳐 장애인 복지시설로 옮겨져 보호를 받게 된다. 일반 장애아동도 입원하면 부모가...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서초구 헌릉로 260(내곡동)
- 설립 :
- 1948년 12월
- 성격 :
- 병원
- 유형 :
- 단체
- 분야 :
- 과학/의약학
-
오산 구성이씨·여흥이씨 묘 출토복식 구성이씨, 烏山 駒城李氏·驪興李氏 墓 出土服飾李氏)와 여흥이씨(驪興李氏) 묘 출토복식(出土服飾)은 2010년 5월 경기도 오산시 가장지구 문화재 발굴 조사 과정에서 16세기 중후반 시기로 추정되는 2기의 무연고 회격묘(灰隔墓)가 발견되어 복식 전문가가 참여하여 염습 과정을 기록하며 총 96건 124점 반가(班家) 여인의 복식 유물과 미라가 출토한 사례이다. 각각...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의복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형법 각칙, 분묘 발굴죄 이장하지 않으면 무연고 분묘로 간주하겠음건설하던 이 회사는 그 임야 한가운데 아무도 돌보는 이 없는 분묘가 발견되자 난처한 지경에 빠지게 되었다. 그래서 신문에 '1개월 안에 이장하지 않으면 무연고 분묘로 간주하고 당사 임의로 이장하겠음'이라고 공고했다. 공고 후 1개월이 지나도 연고자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회사에서는 분묘를 발굴해 유골은 화장을...
-
성북동 산성 대전성북동산성, 城北洞 山城형태조차 알아 볼 수 없는 정도이다. 성 안에는 건물터로 보이는 대지와 우물터가 남아 있으며, 백제시대 토기편들을 용이하게 수습할 수 있다. 성 안에는 무연고 묘지가 조성되어 있어 성의 파괴가 심하다. 이 산성은 산장산성(産長山城)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두량이성(豆良伊城)에 비정되기도 하는데, 대전-연산 방면...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나 라(羅), 羅시대에 들어서는 사용이 급격히 감소하여 유물의 수도 현저히 적다. 조선시대의 나 유물로는 파평윤씨(?~1566) 묘, 여흥민씨(1586~1656) 묘, 인천 석남동 무연고 묘에서 출토된 여성 쓰개인 너울과 1562년에 개금(改金) 중수(重修)한 서울 수국사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및 복장유물에서 발견된 보자기 등에서 4경교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의생활
-
동성원 動星院영·유아 보육법」에 의한 아동의 보호와 「사회 복지 사업법」에 의한 지역 사회 주민의 복지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1951년 12월 1일 6·25 전쟁으로 발생한 무연고 아동 232명을 보호·양육하면서 동성 보육원으로 건립하였다. [변천] 1953년 금정구 구서동에서 동성 보육원 아동 복지 시설을 인가받았고, 1957년 동성...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애덕의 집 장애인 공동생활 가정 애덕의 집 障礙人 共同生活 家庭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시각 장애라는 특수 장애로 일반 지체 장애와 어울림이 힘들거나 가족들에게 버림받아 힘겹게 살아가고 있는 무연고 여성 시각 장애 노인들의 안락한 여생을 위하여 1984년 10월 설립된 부산가톨릭맹인선교회[현 사회복지법인 큰빛]가 1994년 5월 맹인 양로원 애덕의 집으로...
- 분야 :
- 정치·경제·사회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