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신론 無神論, atheism
    신의 실재를 단언하고 그 존재를 증명하려고 하는 유신론과 반대되며 무신론은 신의 부재를 기정사실로 보기 때문에 불가지론과도 다르다.|신의 실재(實在)를 단언하고 그 존재를 증명하려고 하는 유신론과 반대된다. 무신론은 불가지론(不可知論)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불가지론은 신의 존재 여부에 관한 질문을 답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무신론 Atheism, 無神論
    무신론 위키낱말사전 무신론(無神論, Theism is used here in its most general sense, that is belief in one or more deities. This would then define atheism as the rejection of belief that any deities exist, regardless of whether the further conclusion is drawn that deities do not exist. 백과사전 인용...
    도서 위키백과
  • 무신론 無神論, Atheism
    1. 무신론의 어의 : 우리말의 무신론이란 낱말은 서구어 즉 라틴어의 atheismus를 번역한 낱말이며 라틴어의 atheismus는 그리스어의 atheos로부터 유래한다. 2. 개념 및 구분 : 무신론은 유신론 즉 신의 존재를 인정치 않는 학설과 생활 태도를 총칭한다. 그러나 서구 사조에 있어서의 무신론은 특히 근세에 와서 명백...
  • 무신론 無神論
    내용이 없습니다|내용이 없습니다
  • 드니 디드로 Pantophile Diderot, Denis Diderot
    되려고 했으나 신학교에 들어간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디드로의 저작을 보면 그가 종교적 위기를 겪고 아주 서서히 가톨릭교에서 이신론(理神論)과 무신론으로 돌아섰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혼란스러운 삶은 유고(遺稿)로 출판된 소설 〈라모의 조카 Le Neveu de Rameau〉에서도 분명히 드러난다. 레장스·프로코프...
    출생 :
    1713. 10. 5, 프랑스 랑그르
    사망 :
    1784. 7. 31,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무신론의 역사 History of atheism, 無神論の歴史
    무신론 무신론이라는 단어는 16세기에 '신이 없음'을 의미하는 지닌 고대 그리스어 ἄθεος에서 기원하였다. 적극적인 무신론은 최소 18세기 후반에 시작되었으며 무신론 사상과 무신론자들의 정치력이 강화됨에 따라 역사의 폭이 넓어졌다. 아마도 신이 없을 것이라는 자연적인 명제는 유신론 만큼이나 오래된 논리...
    도서 위키백과
  • 국가 무신론 State atheism, 国家無神論
    무신론 국가 무신론(國家無神論, state atheism)이란 무신론의 관점에서 모든 종교활동을 부정하는 국가 정책을 말한다. 역사상 정책적으로 무신론주의를 국가 이념으로 선포한 곳은 엔베르 호자 정권 하의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뿐이었으나, 많은 공산주의 국가들이 호자가 취했던 정책과 맥을 같이 하는 종교...
    도서 위키백과
  • 기독교 무신론 Christian atheism, キリスト教無神論
    무신론 사이드바기독교 무신론은 신이 세계에 존재함에 찬성하지만 초월자 또는 개입자 신은 거부하거나 없다는 믿음 (토마스 J. J. 알티저) 또는 신이 없는 세계의 예수를 따르는 (윌리엄 해밀턴) 신학적 위치이다. 해밀턴의 기독교 무신주의는 예수주의와 유사하다. Div col 아시모프의 성경으로의 안내 기독교...
    도서 위키백과
  • 무신론과 종교 Atheism and religion
    무신론 무신론과 종교 전통적인 일신교 또는 다신교 내의 일부 운동이나 종파들은 신에 대한 믿음 없이 종교적인 믿음, 영적인 믿음, 그리고 신에 대한 집착을 실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한다. 초자연적인 지배력에 대한 종교적 또는 정신적 믿음으로 간주될 만한 것을 가진 사람들은 어떤 종교에 대한 추종자...
    도서 위키백과
  • State atheism 국가 무신론, 国家无神论
    State atheism was an official policy of anti-clericalism in the Soviet Union and other Marxist-Leninist states. It should not be confused with the policy of state secularism, which is the areligion of government. The Soviet Union used the term gosateizm, a syllabic abbreviation of "state...
  • 앤터니 플루 Antony Flew
    전도사였으며, 그는 기독교계 기숙학교를 다녔다. 청소년기에 선한 신이라는 전통적인 기독교 개념이 세상 속의 악의 존재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무신론을 받아들였다. 플루는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영국 공군에서 복무했고, 그 후 옥스퍼드대학교의 세인트존스칼리지에서 철학을 전공했다. 대학시절 그의 지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 범진 范縝, Fan Chen
    경릉왕 소자량(蕭子良)과 논쟁을 벌인 것이다. 이때 소자량이 궁지에 몰리자 관직으로 범진을 유혹했으나 "주장을 팔아 관직을 취할 수 없다"고 분명하게 밝히며 무신론적 입장을 고수했다. 그후 양 무제(武帝) 소연(蕭衍)이 조정대신·귀족·명승 64명을 동원해 범진의 〈신멸론 神滅論〉을 반박하는 75편의 글을...
    출생 :
    450(?)
    사망 :
    515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철학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카를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