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서리를 맞다 서리 맞다
    된서리는 늦가을에 물기가 아주 적게 내리는 심한 서리를 말한다. 다른 말로 ‘강서리’, ‘숙상(肅霜)’, ‘엄상(嚴霜)’이라고도 하고, 반대말은 ‘무서리’이다. 늦가을에 처음으로 묽게 내리는 서리가 ‘무서리’이다. ‘(농작물 따위가) 늦가을에 내린 된서리에 피해를 당하다’, ‘한동안 활동하기 곤란할 정도로...
  • 국화 옆에서 菊花 옆에서
    국화꽃’이 피어날 때까지 겪을 수밖에 없는 여러 수난과 고통, 인고의 면면에 초점을 맞췄다. 봄의 ‘솥작새’, 여름의 ‘천둥’과 ‘먹구름’, 가을의 ‘무서리’는 ‘국화꽃’의 피어남을 방해하는 자연 사물로, 이것들은 인간 존재가 일상 현실 속에서 마주치는 숱한 장애와 상처를 초래하는 부정적 사태를 뜻한다...
    시대 :
    근대
    유형 :
    작품/문학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서리
    부유하는 과냉각된 물방울이 빙점보다 훨씬 낮은 물체에 접촉하여 승화되는 경우 바늘모양 또는 새털모양의 결정형 서리를 만든다. 처음 내리는 묽은 서리를 무서리, 아주 되게 많이 내린 서리를 된서리라고 말하기도 한다. 서리는 일반적으로 남쪽지방보다는 북쪽지방일수록, 낮은 지대보다는 높은 지대일수록 종상일...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서리를 맞다 서리 맞다
    물체 표면에 닿아 하얀 얼음 가루를 형성한 것이다. 이는 물이 얼어서 된 눈이나 얼음과는 결정 형태가 사뭇 다르다. 늦가을에 처음 묽게 내리는 서리를 ‘무서리’, 되게 내리는 서리를 ‘된서리’라 한다. 서리는 농작물의 성장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데, 왜냐하면 보통 봄에 마지막 된서리가 내린 날부터 가을에 첫...
  • 국화 옆에서 菊花 옆에서
    발표되었으며 1956년 발간된 『서정주 시선』에 실렸다. 국화는 9, 10월이 개화 시기로, 이 시는 국화가 피어나는 과정을 1연의 소쩍새, 2연의 천둥, 4연의 무서리 등을 계절에 따라 나열하며 나타냈다. 또한 오랜 방황과 번민을 한 지난날의 반성을 거울과 마주한 누님으로 표현하여 강인한 생명력을 가진 인격체가...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현대음악
    분야 :
    예술·체육/현대음악
  • 안개, 서리와 관련한 순우리말
    무서리:늦가을에 처음 내리는 묽은 서리 ▷상고대:나무나 풀에 내려 눈처럼 된서리 ▷서리꽃:유리창 따위에 서린 김이 얼어서 꽃처럼 엉긴 무늬 ▷성에:영하의 기온일 때 유리나 벽 등에 수증기가 얼어붙어 생긴 서릿발 ▷성에 가시:성에의 뾰족뾰족한 것을 가시에 비유하여 이르는말 ▷해미:바다 위에 낀 아주...
  • 눈과 관련된 우리말, 서리꽃
    쇠붙이 따위에 예쁜 서리꽃을 피웁니다. 서리꽃은 차가운 꽃이랍니다. 따뜻한 입김만 닿아도 금방 녹아서 사라지고 말지요. 그해 처음 내리는 묽은 서리는 무서리, 추운 날 되게 내리는 서리는 된서리지요. 무나 배추 따위 냄새가 된서리를 맞으면 시들해집니다. 사람이 큰 재앙이나 엄한 일을 당하면 '된서리 맞았다...
  • 내무부 (조선)
    局) 정1품, 총리내무부사(總理內務府事) 1품, 독판 2품, 협판 3품 당상관, 참의, 내무부참의사(內務府參議事) 6품 이상 당하관, 주사 6품 이하 당하관, 부주사(副主事) 기타 서리(書吏), 장무서리(掌務書吏), 대청직(大廳直), 도례(徒隷), 문서직(文書直), 군사(軍士) 등 의정부 내무아문 통리군국사무아문 통리기무아문
    도서 위키백과
  • 오창초등학교
    제31대 유미 학교장 취임 2024. 01. 08. 제103회 졸업식 28명(총 11,532명) 2024. 03. 01. 2024학년도 13(특수학급1포함)학급 편제 교화 - 국화 : 늦가을 무서리에도 향기를 잃지 않는 국화처럼 끊임없는 인내와 노력으로 꿈을 가꾸어가는 오창 어린이를 상징 교목 - 은행나무 : 1000년의 긴 세월을 살며 위엄있는 모습...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