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교조주의 독단주의, 敎條主義
    무비판적인 '독단주의'의 다른 표현이다. 전승된 신념·학설·교의로부터 출발하여 그 진리내용과 인식가치를 구체적으로 주어진 새로운 인식과 실천적인 경험에 비추어 재고하지 않는 무비판적이고 비역사적이며 형이상학적인 사고방식을 의미한다. 교조주의는 모든 종교와 종교적인 교설의 근본적인 특징으로 생각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독단론 교조주의, dogmatism
    독단론은 모든 종교의 근본적 특징이다. 철학적으로는 과거에 얻은 지식에 무비판적으로 집착해 그 지식을 도식적으로 적용할 뿐 상황 자체를 분석·이론화하지 못하는 비변증법적·형이상학적 사유방식을 일컫는다. 역사적으로 볼 때 독단론의 전형적인 모습은 중세의 스콜라 철학에서 찾아볼 수 있다. 헤겔은 독단론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민족주의사학 民族主義史學
    사학을 유심론사학으로 명명하기도 한다. 한말의 계몽주의적 역사서술은 비록 근대적 체재와 서술방식을 갖추었으나,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왜곡된 한국사상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민족적 측면에 많은 한계를 드러내었다. 민족진영에서는 이러한 위기의 시기에 역사학에서 위기 극복의 방책을 찾으려고 하였다...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근본주의는 교조주의나 정통주의와 어떻게 다른가?, 근본주의 fundamentalism
    민주주의 시민으로서 우리가 내릴 그 어떤 정책 결정보다 사상과 문화의 전파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지식에 대한 소유권’ 개념을 워낙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탓에 우리는 지식이 없어 죽어가는 사람들에게 지식을 주기를 거부하는 것이 얼마나 터무니없는 행위인지를 알아차리지도 못한다. 그리고 ‘문화...
  • 가라오케 <일>からオケ
    이러한 가라오케의 유행에 대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함께 만들어 파는 일본 문화산업의 시장 침투를 경계해야 할 필요성과 함께 일본의 저급문화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발생할 왜색 문화의 범람 등을 이유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으나, 노래를 좋아하는 한국인의 정서에 맞고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노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취미
  • 홀린즈헤드 Raphael Holinshed
    아일랜드의 연대기 Chronicles of England, Scotlande, and Irelande〉(2권, 1577)로 출간되었다. 〈연대기〉는 신빙성 정도가 다양한 많은 자료를 무비판적으로 수집·편찬한 책이었다. 제1·2판(1587)은 추밀원의 명령에 의해 내용이 삭제·수정되었다. 제2판에서 삭제된 내용은 1723년 별도로 출판되었고 1587년 완본...
    출생 :
    미상
    사망 :
    1580경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조작주의 조작화, 操作主義
    의미를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한 '길이'라는 개념도 어떻게 조작을 하느냐에 따라 개념의 의미가 상대적이다. 브리지먼의 조작주의는 과학에서 용어가 무비판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그런 경우 과학의 용어들이 세계 안의 사물과 사건에 대한 정확한 의미를 줄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던 것이다. 그는 이러한...
  • 이조 李朝
    한 지방군처럼 격하시키기 위해 ‘조선’을 ‘이씨 왕조’라고 했던 것이다. 바뀐 뜻 일본이 ‘조선’을 비하시키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썼던 이 명칭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쓰기 시작하면서, 오늘날 ‘이조’가 ‘조선’이라는 정식 국호보다 훨씬 더 널리 쓰이고 있다. ‘이조’라는 명칭의 내력을 알게 된 이상...
    유형 :
    한자어
  • 말랄라스 John Malalas
    의해 씌어졌는데, 콘스탄티노플에서 만들어진 듯하다. 이 연대기는 교육을 받지 못한 그리스도교도들이 사용하던 대중 그리스어로 씌어졌다. 가끔 부정확한데다가 무비판적인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6세기 초반에 관한 상황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일부 학자들은 그를 안티오크에서 법률가로 활동했으며 565...
    출생 :
    491경
    사망 :
    578경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힉스 Granville Hicks
    1939년 나치와 소련 간에 동맹이 체결된 이후 공산당과 인연을 끊었는데, 〈뉴 리퍼블릭 The New Republic〉지에 보낸 편지에 공산당의 소련 정책에 대한 무비판적인 동조에 불만을 토로하기도 했다. 그뒤 그는 정력적으로 글을 써냈다. 1965년 〈진실의 일부 : 자서전 Part of the Truth : An Autobiography〉이 출판...
    출생 :
    1901. 9. 9, 미국 뉴햄프셔 엑서터
    사망 :
    1982. 6. 18, 뉴저지 프랭클린파크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미르흐완드 Mirkhwand
    미르)에 의해 완성된 듯하며, 19세기에 레자 콜리 한 헤다야트가 〈순수함의 정원〉을 증보했다. 미르흐완드는 지나친 수식과 과장, 그리고 사료에 대한 무비판적인 접근 때문에 종종 비판을 받았지만 그의 역사책에는 현존하지 않는 보다 앞선 시대의 기록들이 남아 있다. 제5권과 제6권은 특히 믿을 만한데, 왜냐하면...
    출생 :
    1433, 발흐
    사망 :
    1498. 6. 22, 헤라트
    국적 :
    페르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스티븐 Sir James Fitzjames, 1st Baronet Stephen
    원리를 체계적으로 해석한 최초의 시도였다. 야심작인 〈영국형법사 History of the Criminal Law of England〉(1883)는 그의 독단적인 태도와 사료에 대한 무비판적인 사용에도 불구하고 인상적인 논문이었다. 〈자유·평등·우애 Liberty, Equality, Fraternity〉(1873)에서는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On Liberty...
    출생 :
    1829. 3. 3, 런던
    사망 :
    1894. 3. 11, 잉글랜드 서퍽 입스위치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