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민족주의사학 民族主義史學사학을 유심론사학으로 명명하기도 한다. 한말의 계몽주의적 역사서술은 비록 근대적 체재와 서술방식을 갖추었으나,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왜곡된 한국사상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민족적 측면에 많은 한계를 드러내었다. 민족진영에서는 이러한 위기의 시기에 역사학에서 위기 극복의 방책을 찾으려고 하였다...
- 시대 :
- 근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역사/근대사
-
근본주의는 교조주의나 정통주의와 어떻게 다른가?, 근본주의 fundamentalism민주주의 시민으로서 우리가 내릴 그 어떤 정책 결정보다 사상과 문화의 전파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지식에 대한 소유권’ 개념을 워낙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탓에 우리는 지식이 없어 죽어가는 사람들에게 지식을 주기를 거부하는 것이 얼마나 터무니없는 행위인지를 알아차리지도 못한다. 그리고 ‘문화...
-
-
-
이조 李朝한 지방군처럼 격하시키기 위해 ‘조선’을 ‘이씨 왕조’라고 했던 것이다. 바뀐 뜻 일본이 ‘조선’을 비하시키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썼던 이 명칭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 쓰기 시작하면서, 오늘날 ‘이조’가 ‘조선’이라는 정식 국호보다 훨씬 더 널리 쓰이고 있다. ‘이조’라는 명칭의 내력을 알게 된 이상...
- 유형 :
- 한자어
-
스티븐 Sir James Fitzjames, 1st Baronet Stephen원리를 체계적으로 해석한 최초의 시도였다. 야심작인 〈영국형법사 History of the Criminal Law of England〉(1883)는 그의 독단적인 태도와 사료에 대한 무비판적인 사용에도 불구하고 인상적인 논문이었다. 〈자유·평등·우애 Liberty, Equality, Fraternity〉(1873)에서는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On Liberty...
- 출생 :
- 1829. 3. 3, 런던
- 사망 :
- 1894. 3. 11, 잉글랜드 서퍽 입스위치
- 국적 :
- 영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