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극락 極樂
    土) · 무량청정토(無量淸淨土)’라고도 한다. 극락은 즐거움만이 있는 곳〔樂有〕이며, 이 즐거움은 아미타불의 본원(本願)에 의해서 성취된 깨달음의 즐거움이다. 『아미타경(阿彌陀經)』에 의하면, 극락세계는 서방으로 기천만 기십만의 국토를 지나서 있는 곳이며, 현재 아미타불이 설법하고 있다고 한다. 여기에...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대일여래 마하비로자나여래, 大日如來
    에서는 무량무변구경여래(無量無邊究竟如來)라 하며, 이외에 광박신여래(廣博身如來)·일체법자재모니(一切法自在牟尼)·광명변조(光明遍照)·대일변조(大日遍照)·변일체처(遍一切處)·변조존(遍照尊) 등으로도 불린다. 마하비로자나를 대일이라고 번역한 이는 인도의 승려인 선무외(善無畏, Śubhakarasiṃha: 637-735...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아미타불 阿彌陀佛
    yus:무량한 수명을 가진 자, 無量壽), 아미타브하(amita-bhas:한량없는 광명을 지닌 자, 無量光)라고 하는 두 가지 범어로 표현되었던 것이지만, 그것이 중국으로 전해졌을 때는 모두가 아미타라고 음사(音寫)되었다. 따라서, 아미타는 이 두 가지 원명의 뜻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중국 및 우리 나라에서는 이 아미타...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삼십팔분공덕소경 三十八分功德疏經
    한 승려가 나타나서 이 경의 부처와 보살의 명호를 외우고 널리 권하면 죽어서 지옥에 떨어지지 않고 천상에 태어나며, 지성으로 백일 동안 외우면 현세에 무량한 복을 받고 일체의 병고를 벗어날 수 있다고 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또한 부처를 비롯하여 보살과 신의 이름들을 열거하고 현세와 내세에 복을 비는 법...
    시대 :
    고려
    성격 :
    불교경전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보응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다라니 陀羅尼
    모든 마군과 외도를 항복받고 온갖 고통을 받는 중생을 제도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 다라니를 8,000번 염송하면 무상정(無相定)에 들어가고 무량죄업을 소멸하며 무량공덕을 성취한다고 하였다. 이 「능엄주」는 중국 선종에서도 지송하였던 것으로 『백장청규(百丈淸規)』가 고려 때 우리 나라에 유입되면서 크게...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불교 용어 목록 (무)
    즉, 공덕(功德)도 과실(過失)을 짓는 정신적 행위[意業]를 말한다.sfnsfnsfnsfn 무기의 사는 무기사(無記思)의 다른 말이다. 무대법를 뜻한다. 따라서 무대법 또는 무대는 대애성(對礙性)이 없는 법을 뜻한다.sfnsfnsfnsfn 대애성(對礙性) 또는 줄여서 대애(對礙)는 어떤 사물이 이미 어떤 공간을 점유하고 있을 때 다른...
    도서 위키백과
  • 묘법연화경 권6~7 법화경(法華經), 妙法蓮華經 卷六∼七
    통해 권6은 제18 「수희공덕품(隨喜功德品)」, 권7은 제24 「묘음보살품(妙音菩薩品)」부터 시작됨을 볼 수 있다. 권6은 이 경전을 널리 설하고 전하는 공덕무량하며(제18 「수희공덕품」), 경전을 수지(受持)하고 독송(讀誦)하면 6근(根)이 청정해지고(제19 「법사공덕품(法師功德品)」), 세상의 멸시를 감내하는 상불경보살...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십회향 Transfer of merit, 回向
    일체처회향(至一切處廻向) 무진공덕장회향(無盡功德藏廻向) 수순평등선근회향(隨順平等善根廻向) 수순등관일체중생회향(隨順等觀一切衆生廻向) 여상회향(如相...해탈회향(無縛解脫廻向) 또는 무박무착해탈회향(無縛無著解脫廻向) 법계무량회향(法界無量廻向) 또는 법계무진회향(法界無盡廻向) 회향(廻向, 迴向)은 대비심...
    도서 위키백과
  • 밀교대장 권36 密敎大藏 卷36
    佛說宿命智陀羅尼經), ⑦ 불설자씨보살서원다라니경(佛說慈氏菩薩誓願陀羅尼經), ⑧ 불설멸제오역죄대다라니경(佛說滅除五逆罪大陀羅尼經), ⑨ 불설무량공덕다라니경(佛說無量功德陀羅尼經), ⑩ 불설십팔비다라니경(佛說十八臂陀羅尼經), ⑪ 불설낙차다라니경(佛說洛叉陀羅尼經), ⑫ 불설벽제악다라니경(佛說辟除諸惡...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언론·출판/출판
  • 비로자나불 毘盧遮那佛
    오른손은 가볍게 들고 있다. 불상의 화대(華臺) 주위에 피어 있는 1,000개의 꽃잎 하나하나가 100억의 국토를 표현한 것으로, 이 부처님이 있는 세계의 공덕무량함과 광대장엄함은 헤아릴 길이 없음을 조형화한다. 또, 큰 연화로 이루어져 있는 이 세계 가운데에는 우주의 만물을 모두 간직하고 있다 하여 흔히 연화장...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능엄주 楞嚴呪
    무생법인(無生法忍)을 얻어서 부처를 이룰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 이 다라니를 8,000번 염송하면 무상정(無想定)에 들어가고, 모든 죄업이 소멸되며, 무량공덕을 성취한다고 하였다. 중국 선종에서도 이 주문은 널리 염송되어 당나라 때의 백장(百丈)은 ≪백장청규 百丈淸規≫에서 이 주문을 외울 것을 권하였다...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귀명삼보 歸命三寶
    넓고 크며, 무궁무진한 보배를 감추고 있고 세상의 모든 영상을 나타내는 것처럼, 일심 속의 그와 같은 작용이 곧 법보라고 보았다. 셋째, 승보(僧寶)는 무량공덕을 감추고 한결같은 마음으로 수행하는 구도자라고 보았다. 특히, 원효는 승을 대승의 보살정신을 가진 사람들의 공동체라고 해석하였으며, 그들이 일행...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