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무노동 무임금 원칙 無勞動 無賃金 原則무노동 무임금 원칙은 파업 기간에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불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말한다. 무노동 무임금 원칙은 근로자는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그 대가로 임금 지급을 주된 권리 ・ 의무로 하는 근로 계약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법으로 강제할 것인가는 노사...
-
일하지 않는 자여, 먹지도 마라 He who does not work, neither s..또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이러한 원칙에서 제외된다. 이러한 점은 1936년 소비에트 연방 헌법의 제 12조에 잘 나타나 있다.대한민국의 민중가요인 〈무노동 무임금을 자본가에게〉에서도 이 구절이 노래의 마지막에 등장한다.대한민국 유일 민간 교도소의 표어가 바로 일하지 않는 자여, 먹지도 마라이다. 공짜 점심...도서 위키백과
-
한국경영자총협회 경총, 韓國經營者總協會이후 노동운동의 폭발적 발전에 대응하기 위해 전경련, 대한상의, 무역협회, 은행연합회 등과 함께 1989년 12월 경제단체협의회를 창립했다. 1990년 3월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발표했고, 같은 해 4월에는 한국노총과 함께 노사문제 협의기구인 국민경제사회협의회를 설립했다. 1991년 ILO 정회원이 되었고, 1997년...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 88(서울특별시 마포구 대흥동 276-1)
- 설립 :
- 1970년 7월 15일
- 성격 :
- 민간종합경제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김용주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파업가 罷業歌이때부터 199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 「노동조합가」, 「단결투쟁가」, 「끝내 살리라」, 「전노협진군가」, 「총파업가」, 「구속동지 구출가」, 「무노동 무임금을 자본가에게」 등 수십 편의 노동가요를 지어 큰 인기를 얻었다. 현황 이 노래는 1988년부터 악보와 구전을 통해 전국으로 전파되었고, 1989년 김호철이...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김호철 작사·작곡
- 창작/발표시기 :
- 1988
- 성격 :
- 민중가요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대중음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