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무구 巫具
    무속인이 굿을 하거나 점을 칠 때 사용하는 여러 가지 의례도구.|내용 제의도구로서의 무구는 장구·징·제금 등의 무악기(巫樂器)와 신칼·작두 등의 도검류(刀劍類), 엽전·산통 등의 무점구(巫占具) 및 방울·지전·부채·오색기 등의 소도구가 있다. 무구 자료는 중부·영동·호남·영남·제주도·이북지역으로 구...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 무구 舞具
    궁중무용과 민속무용의 무구로 구분되며 춤을 출 때 갖추어야 할 도구.|내용 정재(呈才:대궐 안의 잔치에서 벌이는 춤과 노래)에서 사용되는 용선(龍扇)·정절(旌節)·봉선(鳳扇)·미선(尾扇)·작선(雀扇)·죽간자(竹竿子)·인인장(引人仗)·개(蓋) 등은 춤을 추는 행위와는 직접 관련이 없는 장식이나 의물(儀物)에 ...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무용
  • 무구 巫具
    무당이 굿을 할 때 사용하는 각종 도구.|이에는 장구·징·제금 등의 무악기와 점통·엽전 등의 무점구, 그외에 칼·작두·부채·방울·오색기 등이 있다. 무구는 지역에 따라 특징이 있으며, 특히 중북부지역과 남부지역은 많은 차이가 있다. 무악기의 경우 북쪽지역으로 올라갈수록 장구·징·꽹과리 등의 타악기가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無垢淨光大陀羅尼經
    대대적인 보수 작업을 하였다. 그 결과 원형의 면모를 되찾고 떨어진 조각을 맞추어 잃어버린 본문 11항 중 4∼10항의 일부를 되찾았다. 구성과 내용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은 도화라국(都貨邏國)의 승려 미타산(彌陀山)이 법장(法藏)과 함께 당나라 무주(武周) 말년인 장안 연간(長安年間, 701...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창림사 무구정광탑원기 창림사무구정탑지(昌林寺無垢淨塔誌), 昌林寺 無垢淨塔願記
    개설 「창림사무구정탑원기」는 문성왕이 855년에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多羅尼經)』의 내용에 따라 무구정탑을 만들며 발원한 내용과 참여자의 명단을 적어 놓은 기록이다. 왕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한 것으로 여겨지는 이 불사활동에는 왕족 여러 명이 참여하였다. 발원문은 문한관인 한림랑(翰林郞...
    유형 :
    유물
    분야 :
    역사/고대사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국보 제126호, 無垢淨光大陀羅尼經
    751년(경덕왕 10)경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되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목판 권자본이다. 이 판본은 1966년 10월 경주 불국사의 3층석탑(석가탑) 보수공사중 2층 탑신부에서 금동제 사리함 등의 여러 유물과 함께 발견되어 이들 유물과 함께 국보 제126호로 지정되었다. 형태를 살펴보면 전체길이 약 650㎝, 종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제물 (관련어 무구) 供物, 祭品
    제물(祭物) 또는 공물(供物)은 제사에 쓰는 음식이나 물건을 말한다. 세폐(歲幣)는 일반적으로 윗사람에게 바치는 물건을 말하지만, 특히 송이 요(遼)에 바친 공물을 말한다. 거란족인 요는 중국이 혼란에 빠져 있던 5대10국시대(五代十國時代)에 침입, 연운 16주(燕雲十六州)를 획득했는데 송이 통일한 후에도 우위(優...
    도서 위키백과
  • 무구칭경소 無垢稱經疏
    개설 『무구칭경소(無垢稱經疏)』 6권은 현재 전하지 않는다. 경흥은 신라 3대 저술가 중 한 사람으로 신라불교를 체계화하는데 심혈을 기울인 고승이다. 『무구칭경소』는 『유마경』 주석을 통해 경흥의 정토사상과 유식사상이 반영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통일신라시대는 불교문화의 극성기를 이룬 시기이다...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저작자 :
    경흥(憬興)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6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가사 소수의, 袈裟
    의 음역으로, 가사(加沙)·가사(迦沙)·가사야(袈裟野)·가라사예(迦邏沙曳)로도 음역된다. 동의어로는 이진복(離塵服)·소수의(消瘦衣)·간색의(間色衣)·무구의(無垢衣)·공덕의(功德衣)·인개(忍鎧)·연화복(蓮華服)·복전의(福田衣)·전문상(田文相) 등이 있다. 본래는 부정색(不正色)·염색(染色)·탁색(濁色...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류
  • 박전지 문광(文匡), 朴全之
    등을 선발하였다. 왕이 원나라에서 돌아오자 정승(政丞)이 되어 벼슬에서 물러나고 추성찬화공신(推誠贊化功臣)에 봉해졌다. 불교 신앙이 깊어서 호를 행산몽촌무구거사(杏山夢村無垢居士)라고 짓고, 항상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을 외우고 ‘무자(無字)’ 화두(話頭)를 탐구하였다. 박전지는 사람됨이 온화하고...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논어 학이편, 군자식무구포 거무구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
    원문 〈학이(學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먹음에 배부름을 구하지 않으며, 거처할 때 편안함을 구하지 않으며, 일을 민첩히 하고 말을 삼가며, 도가 있는 이에게 나아가서 자기를 바로잡는다면 학문을 좋아한다고 이를 만하다.” 해설 배부름을 구하지 않으며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공자는...
  • 논어 위령공편, 지사인인 무구생이해인 유살신이성인 志士仁人 無求生而害人 有殺身而成仁
    원문 〈위령공(衛靈公)〉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뜻있는 선비와 어진 이는 살기를 구하여 사람을 해침이 없지만, 자신을 희생해서 인을 이루는 경우는 있다.” 해설 살신성인 뜻을 추구하는 사람과 사랑을 실천하는 사람은 자기가 살기 위해 남을 해치는 일은 결코 하지 않지만, 자기를 희생하면서 사랑을 이루는 경우...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0건

무구
무구
함남 안변 무구
함남 안변 무구
경남 진주 무구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 무악기(북, 장구, 대영, 설쇠)
농악기 / 타악기들
농악 / 상모놀이
함남 안변 무녀
함남 안변 무녀
방울
궁중무구 보상반
궁중무구 지당판
궁중무구 선도반
궁중무구 대모반
궁중무구 금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