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목적론 목적인과론, 目的論
    세계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을 목적과 관련지어 설명하는 방식. (그리스어로 '목적'을 뜻하는 telos와 '이성'을 뜻하는 logos에서 유래).|작용인(作用因)만으로 설명하는 방식과 대비하여 목적인과론이라고도 한다. 보통 이성적인 인간행위는 그 행위를 목적에 비추어 이해할 수 있다. 또 인간은 자연에 존재하는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목적론 目的論, teleology
    생명계에 특유의 소급적 인과관계에 의해 합목적성 또는 적응성을 설명하려는 논리의 경향. 구조와 기능의 관계가 밀접해짐에 따라서 논의대상이 기능, 목적, 의도에 관한 것이 될 때 생물학적 논설은 목적론적이 된다.
  • 목적론 (심리학)
    목적론은 오스트리아정신의학자인 알프레드 아들러가 창시한 개인심리학 이론의 핵심이다. 그에 대한 대표적인 예로 사람이 감정이나 기억을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단으로 선택해 이용한다는 것이 있다. 전체주의적 특징에서 개인은 생물학적으로 개체 보존과 종족 보존, 사회학적으로는 소속 심리학으로...
    도서 위키백과
  • 목적론 Teleology, 目的論
    다른 뜻 목적론(目的論, teleology)은 철학상의 세계관 중 하나로서 모든 세계의 사물이나 현상은 일정한 목적을 실현시키기 위해 존재하기도 하고, 나타나기도 한다는 것으로, 예컨대 신이 수립한 세계의 질서를 나타내기 위해 모든 것이 있다는 것 등이다. 목적 방법론 의무론적 윤리 형이상학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Teleology 목적론, 目的論
    Teleology is a reason or explanation for something in function of its end, purpose, or goal. For example, a teleological explanation of why forks have prongs is that this design helps humans eat certain foods; skewering food to allow humans to eat is what forks are for. It is derived from two Gre...
  • 목적론적 윤리학 目的論的倫理學, teleological ethics
    의무론적 윤리학과 상반된다. 의무론적 윤리학은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위를 판단하는 기준은 그 행위로 인해 발생한 선이나 악과 무관하다고 주장한다. 목적론적 이론들은 행위가 추구해야 할 목적의 성격에 관해 의견이 서로 다르다. 행복주의 이론들은 윤리학이란 인간존재에게만 적합한 몇 가지 기능이나 활동을 바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인지 오퍼레이터 8가지 인지 오퍼레이터로 의식이 작동하다
    추론, 예측 그리고 논리는 패턴을 분류하는 능력, 그리고 사물이나 사건을 비교할 수 있는 능력이 다양하게 중첩한 결과일 수 있습니다. 여덟째는 목적론적 오퍼레이터죠. 목적의식은 전두엽에서 생겨납니다. 배외측전전두엽의 작업기억은 현재의 감각입력과 대뇌연합피질의 장기기억을 비교해서 현재 상황을 판단하고...
  • 규범윤리학 規範倫理學, normative ethics
    정식화하는 일도 포함한다. 규범윤리학의 중심문제는 기본적인 도덕기준을 어떻게 찾아내고 정당화할지를 결정하는 일이다. 이 문제에 대한 답은 의무론과 목적론이라는 2개의 광범위한 범주로 나누어진다. 양자의 근본 차이는 윤리기준을 세울 때 의무론적 이론은 가치를 고려하지 않으나, 목적론적 이론은 가치를 고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목적론적 논증 Teleological argument, 目的論論證
    목적론적 논증(teleological, physico-theological argument, argument from design, intelligent design argument)이란 신의 존재, 즉 좀더 일반적으로 자연세계속에서 지적설계로 인식되는 증거로 지적인 창조주를 논증하는 방식이다. 크게 정서론(定序論)과 의장론(意匠論)으로 나뉜다. 이 논증의 초기 기록들은 고대...
    도서 위키백과
  • 과학의 역사
    기계적인 질서가 아니라 유기체적인 질서라는 확신이 생겼다(모든 현상에는 목적이 있었는데 그러한 목적은 자연적으로 그것의 목표에 봉사해야 했다)(→ 목적론). 이런 추측은 지적 폭을 확장시켰고, 이후 대부분의 논의는 근본원소에 대한 그의 이론을 좀더 세련되게 비판하는 것이었다. 여러 종류의 단일한 근본원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 일반 , 학문
  • 합목적성 合目的性, purposefulness
    생명체 또는 생명체의 구조와 행동은 기본적 생존을 유지하면서도 환경조건에 비교적 잘 적응한다는 의미에서 합목적성을 가지고 있다. 이 사실은 예전에는 목적론에 의해 설명되었다. 목적론은 생명체의 구조와 행동이 신이나 초세계적·비물질적 정신이 부여한 목적에 의해 환경조건과 조화를 이룬다고 설명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양철학
  • 왜 인간은 시간을 발명했을까 상상력의 끝없는 욕망, 무한한 시간
    인정할 수 없었다는 점에서 서양인들은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 등장하는 유인원들의 후손이었다. 우리는 이러한 서양의 시간관을 '선형적'이고 '목적론적'이라고 말할 수 있고, 이는 인과율이 시간에 적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 중 하나이다. '선형적'이고 '목적론적'인 시간관은 문명의 탄생부터 현재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이마누엘 칸트(Immanuel Kan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