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목례마나 마나갑배(麻那甲背), 木刕麻那부흥을 위하여 대책을 논의하는 백제 대신들의 이름 중에 상좌평사택기루(沙宅己婁), 하좌평목윤귀(木尹貴), 덕솔(德率) 비리막고(鼻利莫古) 등과 함께 목례마나가 나타난다. 목례마나는 이처럼 백제 성왕대에 신라의 활발한 가야정복정책에 대응하기 위하여 가야에 파견되었으며, 후에는 백제의 최고 관위인 좌평으로...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장수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목례문차 목협문차(木劦文次), 木刕文次曰佐分屋) 등과 함께 쓰쿠시(筑紫)에 파견되어 왜가 원군을 보내주기를 독촉하였다. 이에 대하여 왜는 원군 1,000명, 말 100필, 배 40척을 보내겠다고 하였다. 목례문차는 그해 3월에 귀국하였다. 왜의 원병은 유지신(有至臣)의 통솔하에 6월 한반도에 건너왔으며 12월 신라를 공격하였다. 이때 백제는 동방령 물부막기...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목례금돈 木刕今敦내용 관등은 덕솔(德率)·한솔(扞率)에 이르렀다. 목례는 백제 대성의 하나인 목씨(木氏)로 ‘목라(木羅)’로도 쓰여졌으며 중부(中部)에 속하였다. 552년(성왕 30) 5월 왜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고구려와 신라가 연합하여 백제와 가야를 멸하고자 한다며 구원병을 요청하였다. 이듬해 1월에 귀국하였는데 이때 관등이...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목윤귀 군윤귀(君尹貴), 木尹貴상좌평(上佐平) 사택기루(沙宅己婁), 중좌평(中佐平) 목리마나(木刕馬那), 하좌평 목윤귀, 덕솔(德率) 비리막고(鼻利莫古), 덕솔 동성도천(東城道天), 덕솔 목례미순(木刕眯淳), 덕솔 국수다(國雖多), 나솔(奈率) 연비선나(燕比善那) 등 백제의 고위 관리 등이 참석하였다. 이 중 목윤귀는 세 번째로 언급이 되고, 관등...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하좌평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임나부흥회의
- 직업 :
- 관리, 대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미마사 기신나솔미마사(紀臣奈率彌麻沙), 彌麻沙내용 ‘기신나솔미마사(紀臣奈率彌麻沙)’·‘미마좌(彌麻佐)’라고도 한다. 541년(성왕 19) 7월에 비리막고(鼻利莫古)·선문(宣文)·목례미순(木刕眯淳)과 함께 안라(安羅)에 파견되어 신라의 가야병합정책에 대한 백제측 입장을 전달하였다. 또한, 그달 왜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가야의 정세를 알리고 543년 4월에 귀국...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사택기루 沙宅己婁, Sataekgiru일본서기』편찬자의 윤색을 감안하면, 당시 가야·왜 관계 등을 고려한 백제의 대외정책 회의였다고 보인다. 이 회의에는 상좌평 사택기루, 중좌평(中佐平) 목례마나(木刕馬那), 하좌평(下佐平) 목윤귀(木尹貴), 덕솔(德率) 비리막고(鼻利莫古), 덕솔 동성도천(東城道天), 덕솔 목례미순(木刕眯淳), 덕솔 국수다(國雖多...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상좌평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임나부흥회의
- 직업 :
- 관리, 대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목협만치 木劦滿致개설 혹은 목례만치(木刕滿致)라고도 표기되어 있다. 개로왕이 간신들을 가까이하여 정사를 그르치고 도성(都城)을 장려하게 재건하여 호사를 극함에 국고는 탕진되고, 백성과 군대는 피폐, 불만과 원성이 높아 국력은 쇠약해졌다. 이때 백제의 근초고왕에게 살해된 고구려 고국원왕의 원수를 갚고 또 고구려의 남진정책...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선문 宣文安羅)와 신라의 통모(通謀) 기미를 간파하고 541년 (성왕 19) 7월에 사신을 안라에 파견하여 견제하려 하였다. 이때 나솔(奈率)로서 비리막고(鼻利莫古)·목례미순(木刕昧淳)·미마사(彌麻沙) 등과 함께 안라에 도착하여 신라와 임나집사(任那執事)를 불러오게 하여 가야의 재건을 상의하였으며, 별도로 신라와 통모하고...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귀족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마나 麻那부흥문제를 논의한 상좌평(上佐平) 사택기루(沙宅己婁), 하좌평(下佐平) 목윤귀(木尹貴), 덕솔(德率) 비리막고(鼻利莫古) 등과 함께 나타나는 중좌평(中佐平) 목례마나(木刕麻那) 등은 모두 마나와 동일인물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인명 중 갑배는 군장(軍將)·성주(城主)와 같은 직위 혹은 직능을 뜻하는 것으로 생각...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장수
- 분야 :
- 역사/고대사
-
비리막고 鼻利莫古안라(安羅)와 신라의 통모(通謀) 소식을 듣자 541년(성왕 19) 7월 사신을 안라에 파견하여 견제하려 하였다. 이 때 비리막고는 나솔(奈率)로서 선문(宣文)·목례매순(木례昧淳)·미마사(彌麻沙) 등과 함께 안라에 도착하여 신라와 임나집사(任那執事)를 불러오게 하여 가야의 재건을 상의하였다. 별도로 신라와 통모하고...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규방다례 閨房茶禮차를 우려낸다. 주인은 우려낸 차를 다반에 옮겨 담아 다담상으로 이동하여 연장자부터 찻잔을 올린다. 다구가 있는 자리로 돌아온 주인은 차를 음미한 후 목례로써 차를 드셔도 좋겠다는 뜻을 표한다. 이때 주인의 여식은 다식을 다반에 담아 손님들에게 이동하여 대접하고 주인은 두 번째 차를 준비한 후 다담상에...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의례·행사/의례·세시풍속
- 분야 :
- 생활/식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