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모래톱이야기보여줌으로써 문단의 주목을 받기도 하였다. 이 작품은 20여 년 전 내가 담임을 맡고 있던 제자 ‘건우’의 가정방문을 계기로, 낙동강 하류의 어떤 외진 모래톱에 얽힌 사연을 술회하는 형식으로 시작된다. 건우의 지각으로 그가 나룻배 통학생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고, 그의 글을 통하여 그가 살고 있는 ‘조마이섬...
- 시대 :
- 현대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모래톱늑대거미 Pardosa lyrifera형태 크기: 몸길이는 암컷이 6.0~8.0mm, 수컷이 4.5~5.0mm이다. 주요 형질: 등딱지는 회갈색이며 T자처럼 생긴 한가운데 부분은 황갈색을 띤다. 다리는 암갈색이며 검은 고리무늬가 있다. 수컷은 첫째다리의 발바닥마디와 발끝마디에 깃털처럼 더부룩한 털 다발이 있다. 배는 달걀모양으로 볼록하고, 암갈색 바탕에...
- 분류 :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거미강(Arachnida) > 거미목(Araneae) > 늑대거미과(Lycosidae)
- 학명 :
- Pardosa lyrifera Schenkel, 1936
- 국내분포 :
-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울산광역시
- 해외분포 :
- 중국, 일본
-
196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정한 민족 문학의 바탕을 다지는데 이바지하다「모래톱 이야기」 일제 때인 1930년대에 등단하나 얼마 뒤 절필하고 문단에서 사라진 김정한(金廷漢, 1908~1996)은 신문이나 잡지에 짧은 시평을 더러 내놓긴 하나, 해방 20년이 넘도록 소설에는 눈길 한 번 주지 않고 완강한 침묵으로 일관한다. 현실의 모순이 4·19혁명에 이어 6·3사태와 월남 파병 등 갖가지 사회...
- 출생 :
- 1908년
- 사망 :
- 1996년
-
「모래톱 이야기」 모래톱 이야기토대로 자신의 정치적 신조를 펼쳤다. 김정한은 1966년에 부산 낙동강변의 가난한 어촌민들의 삶과 역사적 질곡을 리얼리즘적 기법으로 생생하게 그린 「모래톱 이야기」를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을 재개하기 시작하였다. 이후로 「제삼 병동」, 「축생도」, 「인간 단지」 등을 발표하였고, 「수라도」로 제6회 한국...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모래톱늑대거미배갑은 회갈색 타원형으로 T자형 정중무늬는 황갈색이고, 눈 구역과 가장자리는 검다. 가슴홈은 암적갈색이고 목홈과 방사홈은 뚜렷하지 않다. 위턱은 적갈색이며, 앞두덩니와 뒷두덩니는 각 3개씩이다. 가슴판은 황갈색 또는 암갈색이다. 다리는 암갈색으로 넓적다리마디에 4개의 암갈색 고리무늬가 있다. 수컷의 첫째...
- 분류 :
- 새실젖거미아목(Araneomorphae) > 늑대거미과(Lycosidae)
- 크기 :
- 암컷 6~8mm, 수컷 4.5~5.0mm
- 학명 :
- Pardosa lyrifera (Schenkel, 1936)[= Pardosa koreana (Jo et Paik, 1984)]
- 분포지역 :
- 한국, 일본, 중국
- 출현시기 :
- 6~10월
-
대죽도중생대 백악기 유문암 및 유문암질 응회암과 응회암질 사암으로 아원형의 완만한 순상지형(고도 약 20m). 해식대지, 절리, 층리가 발달하고 소죽도와 간조시 모래톱으로 연결. 주변에 양식장과 폐어구와 생활쓰레기 방치. 지형경관은 보통. ㆍ주요 해양생물 - 중부역에는 참굴이 우점. 총 18종의 해안무척추동물이 출현...
- 면적 :
- 13,785m 2
- 좌표 :
- 34° 38′ 45.9″ N, 126° 01′ 38.6″ E
- 해도번호 :
- 332(B)
- 지번 :
- 하의면 후광리 산76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하의면사무소로부터 4.44km
-
소죽도집괴암으로 동-서 방향으로 신장된 타원형의 완만한 순상지형(고도 약 10m). 국지적으로 자갈과 사질 해빈이 발달하고 양식장이 존재하며 대죽도와 간조시 모래톱으로 연결. 지형경관은 보통. ㆍ주요 해양생물 - 중부역에는 참굴이 우점. 총 18종의 해안무척추동물이 출현. 연체동물 14종, 절지동물 4종 출현함...
- 면적 :
- 2,678m 2
- 좌표 :
- 34° 38′ 43.5″ N, 126° 01′ 45.6″ E
- 해도번호 :
- 332(B)
- 지번 :
- 하의면 후광리 산75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하의면사무소로부터 4.34km
-
청도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보전관리지역 ㆍ지목 : 임야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간조시 유인도와 모래톱으로 연결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영해기점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미거주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미거주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 면적 :
- 43,438m 2
- 좌표 :
- 34° 54′ 11.5″ N, 126° 15′ 42.5″ E
- 해도번호 :
- 342
- 지번 :
- 압해면 가룡리 산222
- 소유현황 :
- 사유지
- 육지와의 거리 :
- 압해면사무소로부터 6.22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