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멜대 Carrying pole, 天秤棒
    멜대는 물건을 양쪽 끝에 달아서 어깨에 메는 데 쓰는 긴 나무나 대이다.웹 인용 가마 상여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목도 목도채
    데 쓰는 밧줄을 목도줄, 목도꾼들의 일터를 목도판이라고 한다. 한 사람이 거름통이나 소금 따위를 나르는 방법도 목도의 한 가지이다. 짐을 굵고 긴 멜대(長杠)이라고도 함 양 끝에 달고 한 사람이 가운데에 들어서서 목덜미와 어깨를 이용해서 멘다. 멜대의 중앙부는 조금 굵고 양끝이 이보다 가늘며 짐을 메면...
    시대 :
    현대
    성격 :
    생활용품, 운반도구
    유형 :
    물품
    재질 :
    나무
    용도 :
    운반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머로족의 경제생활
    부업을 하고, 방직 등을 한다. 생산도구는 쟁기, 고무래(耙), 호미, 삽, 도끼, 바이트(钩刀), 충소(虫梳), 벼통(谷桶), 용골수차(龙骨水车), 용드레(戽斗), 멜대 등이 있다. 또한 소 대신 말을 이용하여 밭을 가는 관습이 있다. 머로족은 대체로 대나무를 짜고 나무로 만드는 수공업이 발달되었다. 수공업은 독립적인...
    분류 :
    좡동어족 민족 > 머로족
  • 산청 전주최씨 고령댁 상여
    후손 중 고령군수를 지냈던 사람이 있었으므로 관직이름을 따서 붙인 것이다. 경남 진주에서 사용했던 이 상여는 4층 누각의 기와집 형태로 독특하다. 긴 멜대 위에 4층 기와집 형태의 몸체가 조성되고 맨 위에 햇빛을 가리기 위한 넓은 천이 쳐있다. 1, 2층 아래 부분에는 난간을 두르고 난간 위에 인물조각상을...
    도서 위키백과
  • 호카이 行器
    것이다. 이후 밖에 나갈때 쓰는 그릇「外に居る際の器」이 줄어들어 「外居」라는 한자로도 표기하게 되었다. 들고 이동할 때는 뚜껑을 다리에 잘 묶은 뒤 멜대(天秤棒)로 고정하여 들고다녔다. 호카이는 이미 헤이안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중세 풍속이 기록된 『春日権現験記』에 두 사람이 멜대를 이용해 운반중인...
    도서 위키백과
  • 멍에 Yoke, くびき
    멍에는 한 쌍의 소들이 함께 짐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는 나무 들보이다. 문화에 따라 여러 유형의 멍에가 존재한다. 멍에에 수반될 수 있는 다른 동물들로는 말 (동물), 노새, 당나귀, 물소가 있다. 멜대 사역동물 Information on how a yoke is carved (ISCOWP) Information on how a bow is crafted (ISCOWP)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남은들 상여
    한다. 남은들 마을입구의 상여막에 보관되어 있는데 보통의 상여막에서처럼 상여를 해체하여 보관하지 않고 조립된 그대로 관람하기 좋게 전시되어 있다. 긴 멜대를 중심으로 한 기본틀 위에 관을 싣는 몸체를 조성하고 맨 위에는 햇빛을 가리기 위해 넓은 천을 펼쳤다. 몸체에는 봉황, 용무늬 등이 새겨지고 색색의 띠...
    도서 위키백과
  • 강진 김해김씨가 상여
    광주시립박물관에 기증함으로써 이곳에 보존되고 있다. 크기는 길이 312cm, 너비 132cm, 높이 220cm 로, 2층 목조기와집 형태이다. 36명이 멜 수 있도록 조성된 멜대 위에 2층 기와집 형태의 몸체를 올리고, 맨 위에 햇빛을 가리기 위한 넓은 천을 드리운 후 그 밑에 청사초롱을 달았다. 난간을 두른 몸체의 1...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