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말코지집 외기둥집세운 것인데, 제주도에서는 이것을 ‘생기기둥’ 또는 기둥 밑둥을 땅에 파묻었다고 하여 ‘백이기둥’이라고도 한다. 방은 통간으로 칸막이 없이 쓰여지며 맨땅에서 기거한다. 지붕은 새(억새풀)의 종류로 이었는데 예전에는 잎이 달린 나뭇가지나 풀로 덮고 그 푸른 빛깔이 노랗게 되면 다시 새 나뭇가지를 덮었기...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주생활
-
-
무덤의 지역적 특성다르다. 한국에서는 동굴이나 바위그늘에서 구석기시대의 사람뼈가 발견되고 있어 이미 오래전부터 무덤이 만들어졌던 것으로 보이며, 신석기시대에 오면 맨땅을 판 다음 주검을 넣고 덮는 널무덤이 유행했다. 그 다음에는 고인돌·돌널무덤·돌덧널무덤·돌무지무덤·독무덤 등이 만들어지다가 고대국가체제가 이룩된...
-
부여신리고분 扶餘新里古墳중턱에 위치해 있다. 내용 고분은 장축을 남북으로 해 능선의 방향과는 직각으로 구축되어 있다. 석비레층을 장방형으로 광을 판 후 벽면을 고르게 정리해 맨땅을 그대로 이용한 전형적인 토광묘이다. 봉토의 흔적은 남아 있지 않다. 토광의 크기는 남북 길이 2.58m, 동서 너비 1.08m이다. 벽면은 현재 동쪽 장벽과 북쪽...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건립시기 :
- 6세기 후반
- 성격 :
- 고분, 토광묘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신리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우물내용 맨땅을 깊거나 얕게 파서 물이 괴게 하는 토정(土井)과 바위틈 사이로 솟거나 흐르는 물을 괴게 하는 석정(石井)이 있다. 석정은 바위를 옴폭하게 파서 만든 것과 그 위에 다시 시설을 첨가하여 완성하는 것이 있다. 솟아서 괴는 물이 높은 자리에 있으면 통나무를 반으로 잘라 물홈을 판 수통[椧]을 설치하는...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주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노랑부리백로 Egretta eulophotes논 등지에서 생활한다. 먹이습성: 작은 어류, 새우 등을 잡아먹는다. 행동습성: 4∼5마리가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쇠백로보다 빠른 동작으로 걸어 다닌다. 맨땅에 명아주나 비쑥 등의 마른 가지를 모아 조잡한 둥지를 만들고 옅은 청록색의 알을 2∼4개 낳는다. 우수리에서 중국 동북 지방, 중국 동부, 홍콩, 한국 등지...
- 분류 :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황새목(Ciconiiformes) > 백로과(Ardeidae)
- 학명 :
- Egretta eulophotes (Swinhoe,1860)
- 멸종위기등급 :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급
- 국내분포 :
- 칠산도, 한강 하구, 낙동강 하구, 속초, 안면도, 충청남도 천수만, 하태도, 진도, 여수, 제주도 등지에 분포하며, 서해안 무인도에서 집단을 이루어 번식한다.
- 해외분포 :
- 중국, 보하이만, 러시아, 필리핀, 베트남, 태국, 말레이반도, 싱가폴, 인도네시아, 보르네오 등지에서 분포한다.
- 특징 :
- 여름철새, 천연기념물 361호
-
검은머리갈매기 소리로 둥지 침입자를 방어하는 새, Saunders' Gull조류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 2급 조류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번식정보 • 강하구, 갯벌 등 기수역 염생식물이 자라는 건조 개활지 및 군락지 맨땅에 식물의 줄기를 쌓아올리거나 바닥을 오목하게 파고 가장자리에 식물의 줄기를 쌓아올려 접시모양으로 둥지를 짓는다. • 둥지간의 간격은 30~50m 정도이며...
- 분류 :
- 도요목>갈매기과
- 서식지 :
- 갯벌, 하구
- 먹이 :
- 소형 어류, 갯지렁이, 갑각류 등
- 크기 :
- 약 32~34cm
- 학명 :
- Larus saundersi
-
-
닻꽃닻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열매는 익으면 저절로 벌어지는 삭과(殼果)인데, 작은 씨가 많이 들어 있다. 다른 식물들과의 경쟁에 강한 편이 아니어서 맨땅이 파헤쳐졌을 때 씨의 발아가 가능하지만, 다른 식물이 가득하게 자라는 초원에서는 싹을 틔우지 못하고 절멸되는 경향이 있다. 한라산 아고산대 초원에서도 방목...
- 분류 :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아강 > 용담목 > 용담과 > 닻꽃속
- 서식지 :
- 숲 가장자리나 산지의 양지바른 풀밭
- 크기 :
- 높이 10~60cm
- 학명 :
- Halenia corniculata
- 멸종위기등급 :
-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
- 국내분포 :
- 경기도 화악산, 강원도 대암산
- 분포지역 :
- 한국, 러시아, 몽골, 유럽, 일본, 중국 등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