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천연기념물 제323-7호, peregrine falcon
    매목 매과 속의 조류. 시베리아, 캄차카, 중국 등 동아시아 일대에 분포하지만 1950~60년대 전 세계적으로 살포된 살충제인 DDT의 영향으로 개체수가 크게 감소했다. 해안가 절벽 바위 틈에 서식한다. 천연기념물 323호이다.|개요 매과에 속하는 조류. 해안 및 도서 지역의 절벽에서 서식하는 텃새이다. 꿩, 오리, ...
    분류 :
    척추동물 > 조강 > 매목 > 매과
    원산지 :
    오세아니아, 유럽, 북아메리카, 아시아
    서식지 :
    암반 절벽, 농경지, 개활지
    먹이 :
    꿩, 비둘기, 들쥐, 개똥지빠귀, 토끼, 오리
    크기 :
    약 33cm ~ 48cm
    무게 :
    약 8kg ~ 8.3kg
    학명 :
    Falco peregrinus japonensis
    식성 :
    육식
    임신기간 :
    약 28~29일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국가적색목록 취약(VU)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조류 , 육식동물
  • Falco peregrinus
    형태 크기: 수컷은 40㎝, 암컷은 49㎝로 암컷이 크다. 채색과 무늬: 몸 윗면은 짙은 청회색이며, 몸 아랫면은 흰색 바탕에 검은 줄무늬가 세밀하게 있다. 수컷은 가슴과 배 중앙 부분에 작고 둥근 반점이 있고, 암컷의 가슴은 세로 줄무늬가 명확하다. 어린새는 등이 어두운 갈색이고, 가슴과 배에는 어두운 갈색 세로줄...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매목(Falconiformes) > 매과(Falconidae)
    학명 :
    Falco peregrinus Tunstall, 1771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급
    국내분포 :
    국내에서는 주로 서남해안 일대의 유무인도서에서 주로 텃새로 살고 있으나, 일부 무리는 봄(3~5월)과 가을(9~11월)에 이동한다.
    해외분포 :
    남극을 제외하고 전 세계에 분포한다.
    특징 :
    여름철새, 천연기념물 제 323-7호
  • 천연기념물 제323-7호, Peregrine Falcon
    서식 남극을 제외하고 전 세계에 분포한다. 국내에서는 해안이나 섬의 절벽에서 번식하는 드문 텃새이며, 겨울철에는 하구, 호수, 농경지에 나타난다. 행동 장애물이 없는 곳에서 사냥하며 급강하 비행이 능숙해 빠르게 이동하는 조류를 공중에서 낚아챈다. 번식철에는 수컷이 사냥하며 암컷은 새끼 기르기와 둥지를 보...
    분류 :
    매과(Falcon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323-7호
    서식지 :
    남극을 제외하고 전 세계에 분포한다.
    크기 :
    수컷 40cm, 암컷 49cm
    학명 :
    Falco peregrinus Peregrine Falcon
  • 카리스마를 가진 사냥의 명수
    특징 • 우리나라에서는 드물게 관찰되는 텃새이고 해안이나 섬 등의 암벽에서 번식하고 겨울철에는 강 하구, 호수, 농경지, 습지 등지에서 생활한다. • 번식기 외에는 단독생활을 하며, 비행능력이 뛰어나 공중에서 먹이를 낚아채 사냥하기도 하고 땅 위의 먹이는 덮쳐 발톱으로 움켜쥐어 잡는다. • 환경부 지정 멸종...
    분류 :
    매목>매과
    서식지 :
    해안의 절벽, 섬
    먹이 :
    잡식성(조류, 소형포유류, 설치류)
    크기 :
    수컷 38∼42cm, 암컷 49∼51cm
    학명 :
    Falco peregrinus
    수명 :
    약 15년
  • 매과에 속하는 중형조류.|내용 학명은 Falco peregrinus japonensis GMELIN이다. 수컷은 몸길이 38㎝, 암컷은 51㎝ 정도이며, 머리꼭대기에서 뒷목까지는 석판(石板) 흑색이고 등·날개·꼬리는 어두운 청회색이다. 뺨에는 수염 모양의 검은 반점이 있으며 꼬리에는 검은 가로띠무늬가 있다. 배는 백색이나 황갈색을 ...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동물
  • 새벽, 동틀 무렵.|매단(昧旦) : 동틀 무렵, 새벽, 매상(昧爽). 무지몽매(無知蒙昧) : 아는 것이 없고 사리(事理)에 어두움. 삼매경(三昧境) : 불교에서, 잡념(雜念)을 버리고 한 가지 일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일. 예) 독서삼매경(讀書三昧境).
    유형 :
    때나 시간에 관련된 한자
  • 매화나무. 매우(梅雨), 장마.|매실(梅實) : 매화나무의 열매. 매우(梅雨) : 매실이 익을 무렵에 내리는 장마. 곧 음력 4, 5월경 양자강 유역에서 일본에 걸쳐 내리는 장마. 매림(梅霖).
    유형 :
    과실(果實)에 관련된
  • 매통 목마(木磨)
    벼의 껍질을 벗기는 데 쓰는 기구.|내용 『해동농서(海東農書)』에는 ‘목마(木磨)’로 표기되었는데 지역에 따라서 ‘나무’(경기도 덕적)·‘’(충청남도 당진)·‘통매’라고도 불린다. 매통은 크기가 같은 굵은 통나무(한짝의 길이는 70㎝ 내외) 두짝으로 구성된다. 위짝의 윗마구리는 우긋하게 파고 가운데에...
    성격 :
    농기구
    유형 :
    물품
    재질 :
    통나무
    용도 :
    농업
    분야 :
    경제·산업/산업
  • 딸기 매, strawberry
    분포지역 전국 각지에서 재배한다. 형태 여러해살이풀 잎 잎은 뿌리에서 나오며 엽병이 길고 3출복엽이며 소엽은 도란상 사각형이고 끝이 둥글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3-6cm, 폭 2-5cm로서 가장자리에 치아모양톱니가 있으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 맥위와 엽병에 꼬불꼬불한 털이 있으며 뒷면은 휜다. 꽃 꽃은 5-6월...
    분류 :
    장미목 > 장미과 > 딸기속
    꽃색 :
    백색
    학명 :
    Fragaria ananassa Duch.
    개화기 :
    6월, 5월
  • Peregrine falcon, ハヤブサ
    다른 뜻 넘어옴생물 분류는 매과에 속하는 중형 맹금류이다. 해청(海靑)이라고도 부른다.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323-7호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이였으나 환경부에 의해 최근 2급으로 하향되었다. 몸길이 34-58cm, 날개편길이 80~120cm, 몸무게는 수컷이 550-750g, 암컷은 700-1,500g 정도이다. 부리가 갈고리모양...
    도서 위키백과
  • (성씨) Mei (surname), 梅 (姓)
    (梅)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梅)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22명으로 조사되었다. 본관은 충주 매씨 와 해주매씨가 있다. 시조 매군서(梅君瑞)는 중국 산둥성 제남(濟南) 출신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관직이 행성제공(行省提控)에 이르렀다. 그의 아들 매원저(梅原渚)가 조선 태종 때 관직이 가선...
    도서 위키백과
  • 흙비
    유형 :
    기상에 관련된 한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11건

매
매
매
매
매
매
매
매
매
매
매
매
매
매
매
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