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상주와 맞절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한국의 부모님은 신과 같아요 우리나라에서 살았던 어느 외국인의 이야기입니다. 낯선 전통과 풍습을 가진 나라에서 살다 보면 생전 처음 보는 일도 겪을 것입니다. 지금은 별로 그럴 것 같지 않지만 이런 일도 있었습니다. 미국에 유학 간 어떤 사람이 도서관에서 공부를 하고 나올 때마다 자주 보는 여학생이 있었다고...
-
신동엽, 껍데기는 가라아우성만 살고 껍데기는 가라. 그리하여, 다시 껍데기는 가라. 이곳에선,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논 아사달 아사녀가 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부끄럼 빛내며 맞절할지니 껍데기는 가라. 한라에서 백두까지 향그러운 흙가슴만 남고 그, 모오든 쇠붙이는 가라. 1960년대 문학에는 4·19혁명으로 촉발된 민주화에 대한 열망...
-
저쪽 생으로 넘어가는 축제의 마당, 상례 喪禮축하하는 성격이 상례 속에는 공공연히 숨겨져 있습니다. Q1. 상례와 장례의 의미는 어떻게 다른가요? Q2. 사잣밥을 차려놓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Q3. 상주와 맞절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Q4. 입관은 왜 3일 만에 하나요? Q5. 윤달에 수의를 장만하면 좋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Q6. 칠성판에 북두칠성이 그려져 있는...
-
문상 問喪내용 문상의 형식은 상가(喪家)를 찾아가 영위(靈位)에 두 번 절하고 이어 상주와 맞절을 한 뒤 상주를 위로한다. 옛날에는 영위 앞에서 한참 곡(哭)을 하다가 절을 하고 상주와 마주 대하여서도 곡을 하다가 절을 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곡을 하는 예는 드물다. 상주를 위로하는 말로는 “상고(喪故)말씀은 드릴 말씀이...
- 성격 :
- 상례의식, 문상의식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사회/가족
-
농기 農旗있으면 농기를 앞세우고 풍물을 치면서 동네 어귀까지 나온다. 두 동네 풍물꾼이 서로 만나게 되면 양 동네의 농기는 각각 15°정도로 기를 숙여서 두 번 맞절을 한다. 이러한 절차가 끝나면 적당한 광장으로 옮겨서 풍장의 기량을 겨룬다. 농기를 가지고 행해지는 대표적인 민속놀이로는 정월 대보름날에 아우가되는...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공주 봉현리 상여소리 公州 鳳縣里 喪輿소리것에 비해 가창방법이 단순하다. 하직인사할 때는 에헤소리(에헤-, 에헤-, 에헤-)를 상두꾼들이 다함께 부르는데, 세번째 에헤- 때에 마주 서 있는 상주들과 맞절을 하되, 상주들은 땅에 엎드리며 큰절을 올리고, 상두꾼들은 허리를 굽히며 상여를 앞으로 기울인다. 상여를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는 요령을 잦게 흔들며...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신행 우귀, 新行계셔도 폐백은 시부모에게 먼저 올린다. 시부모 · 시조부모 · 백숙부모 · 고모 · 이모의 순으로 인사를 하고 같은 세대에 속하는 사람들에게는 맞절을 한다. 이것을 현구고례(見舅姑禮)라고도 한다. 이때 친정에서 준비해온 밤 · 대추 · 육포 · 닭 · 술 등을 올린다. 가문에 따라서 사당참례를 먼저 하고 그...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사회/가족
-
결혼식 순서 結婚式 順序, orders for wedding ceremony해당 결혼식에 맞게 구성을 짜거나 멘트를 정리하면 된다. 구성항목 1. 결혼식 개식 선언 2. 양가 모친 화촉 점화 3. 신랑입장 4. 신부입장 5. 신랑신부 맞절 6. 혼인서약 7. 성혼선언문 낭독 8. 주례자 중요 약력 소개 9. 주례 10. 축가 11. 케이크 절단 12. 양가부모님과 내빈께 인사 13. 신랑신부 행진 14. 폐회사...
- 분류 :
- 생활/일반서식 > 서신/예문
- 원문 :
- https://www.yesform.com/dic/yesform_document/view/627
-
결혼식 식순 結婚式 式順, program of wedding ceremony해당 결혼식에 맞게 구성을 짜거나 멘트를 정리하면 된다. 구성항목 1. 결혼식 개식 선언 2. 양가 모친 화촉 점화 3. 신랑입장 4. 신부입장 5. 신랑신부 맞절 6. 혼인서약 7. 성혼선언문 낭독 8. 주례자 중요 약력 소개 9. 주례 10. 축가 11. 케이크 절단 12. 양가부모님과 내빈께 인사 13. 신랑신부 행진 14. 폐회사...
- 분류 :
- 생활/일반서식 > 서신/예문
- 원문 :
- https://www.yesform.com/dic/yesform_document/view/628
-
대례 大禮[개설] 대례(大禮)는 전통 혼례의 중간 과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넓게는 전안례(奠雁禮)로부터 초례(醮禮)까지를 말하며, 좁게는 신랑·신부가 맞절하는 절차인 교배례(交拜禮)와 신랑·신부가 술을 마시는 절차인 합근례(合巹禮)를 말한다. 대례는 집례가 홀기(笏記)를 읽는 대로 진행한다. 교배례에는 신부가 재배(再拜...
- 분야 :
- 생활·민속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