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나혜석의 구미 만유 조선의 바깥에서 조선 여성을 바라보다써이엿다. 실상 조선 여성으로서는 누리지 못할 경제상으로나 기분상 아모 장애되난 일이 하나도 업섯다. 1932년 나혜석이 쓴 「아아 자유의 파리가 그리워―구미만유 하고 온 후의 나」 중 한 대목이다. 자신의 파리생활을 요약한 이 구절에서 우리는 나혜석이 느낀 해방감을 엿보게 된다. 나혜석은 이 구미 여행에서...
-
근대 과학과 계몽사상의 물꼬를 튼 위대한 과학자, 만유인력의 법칙Mathematica)》를 출간했다. 일명 《프린키피아(Principia)》로 불리는 책이다. 세계 과학사에서 이보다 영향력이 큰 책은 아직까지 없었다. 이 책에는 ‘만유인력’과 뉴턴의 3대 법칙으로 불리는 ‘운동의 법칙’, ‘작용-반작용의 법칙’, ‘관성의 법칙’이 담겨 있었다. 이 한 권의 책자로 인해 지구와 천체 위...
- 시대 :
- 1687년
-
만유인력의 법칙 萬有引力法則, law of universal gravitat..아래 그림은 달(m)과 지구(M) 사이에 작용하는 만유인력(중력)을 나타낸 것이다. 달(m)이 지구(M)를 당기는 힘과 지구(M)가 달(m)을 당기는 힘은 작용과 반작용으로 두 힘의 크기가 같다.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는 서로 잡아당기는 인력이 작용하고, 이 힘은 두 물체의 곱에 비례하고 두 물체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
송만유고 松灣遺稿편찬/발간 경위 1807년(순조 7) 국침의 7대손 국진백(鞠鎭百)이 편집·간행하였다. 김필태(金必泰)의 서문과 조영승(趙榮升)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3권 1책. 목활자본. 장서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99수, 권2에 서(書) 1편, 기(記) 4편, 서(序) 1편, 발(跋) 1편, 사...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국침
- 창작/발표시기 :
- 1807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1책
- 간행/발행 :
- 국진백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이란?사이의 중력은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두 물체의 질점 사이의 거리(r)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이때 G는 ‘만유인력상수’ 또는 ‘우주상수’라고 하며, 중력이 얼마나 강한지를 나타낸다. 달리 말하면, 물체들이 서로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두 물체 사이에 끌어당기는 힘...
-
-
-
연해포시에트만유적 沿海―灣遺蹟내용 팔라디 카파로프가 처음 발견하였다. 이곳은 발해로부터 일본으로 출발하던 기점이 되는 곳으로, 이곳에서 가까운 곳에 발해 62주(州)의 하나인 염주(鹽州)의 중심지로 추정되는 크라스키노성지가 있다. 이 성의 왼쪽으로 흐르는 쭈까노브까강이 과거 얀치헤강으로 불렸는데, 이는 염주하(鹽州河)에 유래된 발음...
- 시대 :
- 고대/남북국
- 건립시기 :
- 발해시대
- 성격 :
- 항만, 항만유적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러시아 연해주 포시에트만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케플러의 법칙 Kepler's laws일정의 법칙(케플러 제2법칙) : 아래 그림에서 태양과 지구를 연결하는 선분이 같은 시간 동안 그리는 면적은 항상 일정하므로 태양으로 가까울 때(근일점) 만유인력은 최대가 되며 공전 속도가 빠르다. 반면에 태양과 지구가 가장 멀리 있을 때(원일점) 만유인력은 최소가 되며 공전 속도가 느리다. 조화의 법칙(케플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