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문체 (관련어 만연체) Writing style, 文体
    문체(文體, writing style)는 문장의 형태로 구어체, 문어체, 논문체, 서한체, 서사체, 간결체, 만연체, 강건체, 우유체, 건조체, 화려체 등으로 사용한다. 또한, 작가가 개성적인 특색을 발휘한 스타일을 가리키기도 한다. 문체론(文體論)은 언어학과 문예학의 중간 영역에 있기 때문에 다의적이어서 정의하기가 곤란하...
    도서 위키백과
  • 박태원 구보, 朴泰遠
    1930년대에 광고 도표를 문장 속에 삽입하고, 콤마를 사용한 만연체 등의 독특한 문체를 시도했다. 주로 소시민의 생활을 소재로 한 심리소설과 세태소설을 썼다. 호는 구보·박태원. 약국을 경영하는 아버지 용환과 어머니 남양홍씨 사이의 4남 2녀 가운데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이야기책을 좋아하고 글...
    출생 :
    1909. 12. 7, 서울 수중박골
    사망 :
    1986. 7. 10, 평양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이문구 李文求
    협회 편집위원장·상임이사, 김동리선생기념사업회 회장, 대산문화재단 자문위원, 경기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대우교수 등을 역임했다. 등단작부터 구어체와 만연체, 토속어와 서민들의 생활언어들을 능숙하게 구사했으며, 기세가 담긴 전통사회의 농촌언어로 늘어지고 휘감기는 문장, 풍요로운 토박이말과 사투리를 비롯...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김진섭 청천, 金晋燮
    수필집 〈생활인의 철학〉을 펴냈다. 그의 수필의 특징은 "숨김없이 자기를 말한다는 것과 생활에 대한 사색과 관찰"로 요약된다. 주관적이고 직관적인 이양하의 수필과 함께 근대수필문학의 쌍봉으로 평가되고 있다. 주로 만연체 문장을 썼다. 평론집으로 〈교양의 문학〉(1950)·〈청천수필평론집〉(1958) 등이 있다...
    출생 :
    1903. 8. 24, 전남 목포
    사망 :
    미상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다니자키 준이치로 谷崎潤一郞, Tanizaki Jun'ichiro
    源氏物語〉를 현대 일본어로 옮기는 작업을 시작했다. 1930년대 내내 〈겐지 모노가타리〉의 배경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의 산문을 그대로 본뜬 만연체의 서정적 작품을 여러 편 썼으며 이러한 점으로 비추어볼 때 〈겐지 모노가타리〉가 그의 문체에 깊은 영향을 미쳤음이 분명하다. 이 작품에 매료되어 그는 여러 해...
    출생 :
    1886. 7. 24, 일본 도쿄
    사망 :
    1965. 7. 30, 유가와라[湯河原]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소통 활동 疏通 活動
    문학은 작가와 독자의 활발한 소통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작품을 쓸 때 과도한 비유와 은유를 사용한 우회적인 표현이라든가, 어려운 단어와 과도하게 긴 만연체의 문장은 작가의 의도를 파악하기 힘들게 하여 작가와 독자 사이의 소통을 힘들게 한다. 문학에서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려면, 문학의 유통 과정 및...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문화 일반
  • 47그룹 Gruppe 47
    무너진 독일 문학의 전통을 재확립시키는 데 관심을 갖고 처음 시작했다. 이들은 나치의 선전문구 등이 독일어를 부패시켰다고 생각하여 과장과 시적 만연체를 배제한, 냉정하다 싶을 정도로 무미건조한 서술적 사실주의를 옹호했다. 이들은 독일로 돌아와 주간지 〈루프 Der Ruf〉를 창간했는데, 1947년 정치적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박태원의 문학세계
    받아서는 안 된다"고 했다. 단편 〈전말 顚末〉(조광, 1935. 12)·〈비량 悲凉〉(중앙, 1936. 3)·〈방란장주인〉(시와 소설, 1936. 3) 등에서 5행에 걸친 만연체를 썼고, 〈피로〉(여명, 1933. 5)·〈딱한 사람들〉(중앙, 1934. 9) 등에서는 신문광고문과 기호를 대담하게 삽입했다. 그러나 초기의 기법에 대한 관심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자랏골의 비가 자랏골의 悲歌
    세계가 추구하는 민중의 생명력과 치열한 역사인식, 그리고 현실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오롯이 반영하고 있다. 더욱이 이 작품에서는 전라도 방언의 능란한 활용과 속담 등의 풍부한 인용, 만연체의 문장과 대화체의 구사를 통해 당대 민중의 현실을 민중의 언어로써 구체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저작자 :
    송기숙
    창작/발표시기 :
    1974년 2월∼1975년 6월
    성격 :
    현대장편소설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청천수필평론집 聽川隨筆評論集
    확립하였다. 생활에 관한 관찰과 사색, 그리고 시종일관 생활을 사랑하여 철학한 서정적·사색적 기록을 볼 수 있다.”, “호흡이 길고 문세가 용장(冗長)한 만연체 문장이 특색이다.”라는 견해가 있다. 한편 윤오영(尹五榮)의 지적과 같이 ‘불성언어(不成言語)의 표현’이 많고, 글의 중점과 골자가 “산만한 설화 속...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진섭
    창작/발표시기 :
    1958년
    성격 :
    수필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간행/발행 :
    신아사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문체 文體
    style)·명사적 문체(nominal style) 등, 또는 ‘이다’체·‘습니다’체 등. ③ 수사에 따라 : 산문체·운문체 등, 또는 문장호흡의 장단에 따른 간결체와 만연체, 문장표현의 강유(剛柔)에 따른 강건체와 우유체, 문장수식의 다과에 따른 화려체와 건조체 등. ④ 기술방식에 따라 : 묘사체·설명체·논증체·서사체 등...
    유형 :
    개념
    분야 :
    언어/언어·문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