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포대교 麻浦大橋
    한강을 가로질러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동과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잇는 다리. 1970년 한강대교에 이어 한강의 5번째 다리로 건설되었으며, 2005년 지금의 교량으로 새로 건설되었다. 처음에는 '서울대교'라고 불렸으나, 1984년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정의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동과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교통
  • 마포대교 麻浦大橋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동과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연결하는 다리.|내용 1970년에 준공되었다. 처음에는 서울대교라 부르다가 마포대교로 이름을 고쳤다. 마포쪽으로는 6차선 폭으로 연결되고 용산·서교동 방면으로는 2차선으로 접속되었으며, 3층 구조의 클로버 잎사귀형 입체교차로가 설치되었다. 하부공은 우물통 ...
    시대 :
    현대
    성격 :
    다리
    유형 :
    지명
    면적 :
    최대경간장 52.5m, 폭 25m, 연장 1,389m
    소재지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동,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분야 :
    경제·산업/교통
  • 마포대교
    서울 마포구 용강동과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잇는 마포대교는 길이 1,400m, 너비 25m의 6차선 도로이며 한남대교에 이어 한강에서는 4번째로 가설된 교량이다. 1968년 2월에 착공하여 1970년 5월에 준공하였으며 준공 당시에는 서울대교라고 부르다가 1984년에 마포대교로 이름을 바꾸었다. 마포대교는 차도 외에도 자전...
    위치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동
  • 마포대교 서울대교, 麻浦大橋
    마포구 마포동과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연결하는 한강에 있는 다리이다. 조선시대 마포나루가 있어 전국의 물산이 모여 들던 곳으로 처음에는 ‘서울대교’로 부르다가 1984 년 11월 7일 지역의 역사성을 살려 마포대교로 바꾸었다. 1968년 3월에 착공하여 1970년 5월에 완공되었다. 총 공사비는 15억 9,800만원이 소요되...
    유형 :
    시설명
  • 마포대교 (관련어 마포 대교) Mapo Bridge, 麻浦大橋
    교량 정보 마포대교(麻浦大橋)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도화동과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잇는 다리이다. 한강에 4번째로 설치되었다. 길이는 1,400m이며 왕복 10차로 다리이다. 마포대교 남쪽에 파크원 타워와 서울국제금융센터가 있다. 또한 수도권 전철 5호선 하저터널이 여의나루역과 마포역 사이에 마포대교 바로 밑을 지...
    도서 위키백과
  • 한강다리 (관련어 마포대교)
    위치순 가나다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교통
  • Mapo Bridge 마포대교, 麻浦大橋
    The Mapo Bridge crosses the Han River in South Korea and connects the Mapo District and the Yeongdeungpo District in the city of Seoul. The bridge was completed in 1970. Until 1984, the bridge was called Seoul Bridge. Suicides Suicide rates are quite high in South Korea and bridge jumping is not ...
  • 마포대교북단입체교차시설
    마포대교북단입체교차시설은 마포구 마포동 309번지 마포로와 대건로의 교차지점에 설치된 교차시설로서 1970 년에 준공되었다. 폭 21m, 연장은 5개의 차로 교량 754m와 옹벽 496m를 합해 1,250m이다.
    유형 :
    시설명
  • 마포 麻浦區
    한강을 끼고 있어 풍경이 뛰어나 이와 관련된 전설이 많이 남아 있다. 풍경과 관련해서는 도화동에 도화낭자와 복사꽃 전설이 전해내려 오고 있다. 마포대교와 원효대교 사이 한강 북단에는 옛날 복사굴이라는 마을 이름이 있었으며, 이것이 오늘날 한자어로 도화동(桃花洞)이 된 것이다.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를...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마포 마포강, 麻浦
    요지로서의 기능은 더욱 강화되었다. 또한, 수산물 재분배 기능을 강화시켰으나 전차의 철거로 마포는 한동안 발전이 둔화되었다. 그 뒤 1970년 마포대교(서울대교)가 설치되고 여의도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마포 지역은 다시 활기를 띠게 되었다. 현황 1970년대의 근대화과정을 통해서 기반시설이 확충되어 동교동에서...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마포 麻浦區
    당시에는 마포나루를 중심으로 상업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한강수운이 쇠퇴한 후에는 주거지역으로 발달했으나 국회의사당이 자리한 여의도를 잇는 마포대교가 완공되고, 마포로·용마로·서강로 등이 정비됨에 따라 공덕동 일대는 새로운 업무지구로 변모했다. 동교동에는 호텔·예식장·고급음식점 등이 많으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원효대교 元曉大橋
    한국종합, 시공은 동아건설이 맡았다. 여의도의 급속한 교통량 증가와 영등포 및 흑석동 방면에서 한강 이북으로의 교통량 증가로 인해 야기되는 한강대교마포대교의 교통량을 분산 처리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국내 최초로 디비닥 공법(Dywidag Method)과 프리 캔틸레버 공법(Free Cantilever Method)을 사용해 시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교통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5건

마포대교
마포대교
마포대교
마포대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