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장마 (관련어 마른 장마)장마는 6월 하순에서 7월 하순 사이에 지속적으로 내리는 비이다. 우리나라 장마철의 강수는 주로 동부아시아를 동서로 가로질러 정체하는 장마전선에 의해 나타난다. 이 장마전선은 아열대 기단인 북태평양기단과 고위도의 한대기단 사이에 형성되는 동부아시아 규모의 한대전선의 일부로 남북으로 오르내린다. 장마철 ...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최악의 가뭄, 엘니뇨 때문?!마른장마가 계속 되면서 가뭄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제9호 태풍 ‘찬홈’의 영향으로 제주 등 일부 남부 지역에 누적강수량이 1,200㎜에 달했지만, 제주나 남해안 등 일부 지역에 집중되면서 가뭄 해갈엔 부족했기 때문이다. 실제 가뭄이 심한 중부지방의 강수량은 서울 38.5㎜, 파주 53.4㎜, 춘천 30.2㎜ 등에...
-
가을가을장마가 끝나면, 대륙의 시베리아 고기압에서 분리되어 나온 이동성 고기압이 빈번히 우리 나라를 지나 동쪽으로 이동해 간다. 이 때가 이른바 ‘천고마비의 계절’인 가을로, 맑은 날씨가 계속되며 강수량이 줄어들고 습도도 낮아지며, 산야는 단풍과 황금빛의 오곡으로 뒤덮이게 된다. 늦가을이 되면 낮의 길이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물주기 식물 키우기물이 마른 경우는 흙에서 따다닥 작은 소리를 내며 물을 금방 흡수하지요. 흙이 쏟아지지 않게 화분을 기울여 보아 물이 흘러나오지 않으면 적당히 준 것입니다. 물을 너무 많이 줘서 화분에 찰랑찰랑 찼다면 화분을 기울여 물을 빼 내는 것이 좋아요. 저면 관수가 뭔가요? 식물에 물을 줄 때 위에서만 주게 되면 흙이...
-
-
미역미역보다 장마철에 변질하지 않아서 보장성이 높다. 미역의 이용은 쇠고기 · 홍합 · 광어 등을 넣어서 끓인 국이 가장 보편적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해산을 한 산모에게 미역국을 먹이는 풍습이 있다. 미역에는 칼슘의 함량이 많을 뿐 아니라 흡수율이 높아서 칼슘이 많이 요구되는 산모에게 좋고...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식물
-
고슴도치서식하고 있으며, 야간에 주로 활동하는데 여름 장마철에 비가 내려 먹이를 찾아 먹지 못하였을 때는 낮에도 먹이를 찾아 배회한다. 땅을 파서 굴을 만들지...넘어진 고사목 피해목(被害木) 사이에 화본과(禾本科: 포아풀과·대과의 총칭)와 사초과(莎草科) 식물들의 마른 잎과 바위 이끼로써 보금자리를 둥글게 만들고...
- 분류 :
- 고슴도치과
- 출산시기 :
- 6∼7월
- 성격 :
- 동물, 포유류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몸통 길이 21.2㎝, 꼬리 길이 2.0㎝, 뒷다리 길이 3.8㎝, 귀 길이 2.0㎝
- 학명 :
- Erinaceus europaeus Koreansis MORI.
- 분야 :
- 과학/동물
-
참취2차 김매기는 6월 하순경 잡초가 무성하기 직전에 하고 3차 김매기는 장마가 끝난 후에 한다.파종 후 2년차부터는 여름철 한두번 정도로 충분하다. 가뭄에...좋게 해야 다음해 나물수량이 많아지고 포기 벌어짐이 잘된다.가을철에는 마른 잎과 줄기는 깨끗이 치우고 짚이나 퇴비 등을 10a당 1,000~1,500㎏정도 덮어주면...
- 분류 :
- 초롱꽃목 > 국화과 > 참취속
- 꽃색 :
- 백색
- 학명 :
- Aster scaber Thunb.
- 개화기 :
- 8월, 9월, 10월
-
초목필지 樵牧必知하였다. 장마다 새로 나오는 한자를 추려서 말미에 기재하고 그 아래에 음을 달았다. 권상에 부자지은·사친지절 등 63편, 권하에 황실급국가구별·궁내부 등 66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편의 1∼9장까지는 부자의 관계, 자식의 도리, 부모를 봉양하는 방법, 국민의 의무, 나라에 대한 충성, 일반적인 충효, 스승을...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정윤수(鄭崙秀)
- 창작/발표시기 :
- 1909년
- 성격 :
- 교과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남궁 억(교열)
- 분야 :
- 교육/교육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약용버섯, 복령 재배지 관리 및 수확한다. 장마 또는 홍수에 대비하여 두둑의 양편에 배수로를 만들어 과습을 방지한다. 접종 후 2개월이 지나면 원목의 변재부와 목질부 사이에 균사가 활착되며, 4개월이 경과하면 복령이 맺히기 시작하므로 두둑 표면이 갈라진다. 이때 피복 재료를 임시로 걷어내고 갈라진 틈을 중심으로 3~5cm 두께로 흙을 보충하여...
-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