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보리타작소리 도리깨질소리해학적(諧謔的)인 노랫말이 불릴 때도 있다. 「보리타작소리」는 도리깨를 사용하므로 「도리깨질소리」, 타작하는 일이 주로 마당에서 이루어지므로 「마당질노래」라고도 한다. 보리타작소리의 지역별 특징 보리타작소리의 지역별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조사된 「옹헤야」이다. 이 소리...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타작 打作내용 예전에는 집 앞의 너른 마당에서 했기 때문에 마당질이라고도 하였다. 마을에 따라서는 타작마당이라 하여 공용 마당을 따로 마련하였으며, 농사가 많은 집에서도 이를 갖추는 경우가 많았다. 마당에서 곡식의 알갱이를 떨어야 하므로 이를 잘 손질해야 할 필요가 있다. 흔히 마당질을 하기 전 논흙을 파다가 마당...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제주농요 濟州農謠개설 '밧 ᄇᆞᆯ리는 소리', 'ᄌᆞ진사대소리', '마당질소리' 등의 3수가 2002년 5월 8일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내용 제주농요는 창법과 음조직, 리듬적인 역동성 등에서 제주적인 특징을 잘 표현하고 있는 농요로, 이에 뛰어난 실력을 갖춘 제주시 거주 이명숙(李明淑, 1931년생)을 찾아서...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추수 秋收콩대를 끊어 거둔 다음 짚으로 세워놓고 말린다. 집으로 옮긴 뒤에는 뿌리가 밖으로 향하도록 둥글게 가리를 쌓아두며 필요한 때마다 내려서 도리깨로 턴다. 마당질을 마치고 갈퀴로 대나 깍지 따위를 따로 긁어 모으며 콩은 거두어 키에 드리운다. 이 때 맞은편에서 부뚜로 바람을 일으켜 먼지 따위의 잡물이...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
명주 농사짓기 소리 타작소리저 마을도 타작일세/에호 에호 에헤 마뎅이야 연포국(2)에 짐(3) 나간다/에호 에호 에헤 마뎅이야 얼른 치고 술을 먹세/에호 에호 에헤 마뎅이야 꾸우위 꾸우위 꾸우위 (1) 마뎅이야 :'타작하다'를 뜻하는 말로서 '마당질하다'라고도 한다. (2)연포국 : 무우, 두부, 북어 따위를 넣어 맑게 끓인 장국 (3) 짐 : '김'의...
-
시절윷놀이불리고/사람노롯 하자꾸나/이 논배미 얼른 심고/장구배미로 넘어가세.” 장구 장단에 어울리는 이 가락에 구경꾼들도 흥에 겨워 어깨춤을 춘다. 가을걷이와 마당질로 넘어가서 낫으로 베고, 도리깨로 떠는 동작을 베풀고, ‘풍년 맞이’로 들어가면서 이 놀이는 절정에 이른다. 머리에 수건을 쓴 가장 여인이 나타나서...
- 성격 :
- 민속놀이
- 유형 :
- 놀이
- 놀이시기 :
- 정월 대보름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 소장/전승 :
- 황해도 장연
-
벼베기30∼40뭇을 실으며 소 길마를 이용하는 발채로는 120∼130뭇을 나를 수 있다. 옮겨온 볏단은 서로 엇걸어 묶어서(이를 장구단이라고 한다) 쌓아 두었다가 마당질을 한다. 벼 농사가 많은 집에서는 한꺼번에 털기 어려우므로 마당 한 귀퉁이에 볏단을 둥글게 쌓아두며(이때에는 이삭이 안쪽으로 들어가게 한다) 위에는 짚...
- 유형 :
- 개념
- 분야 :
- 경제·산업/산업
-
「보리타작 소리」[낙민동] 보리打作 소리[樂民洞]낙민동]는 마당에 추수를 한 보리를 깔아 놓고 도리깨로 여럿이 보리타작을 하면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보리타작을 하는 장소가 마당이라 하여 「마당질 소리」, 보리타작을 하는 도구를 기준으로 「도리깨질 소리」라 하기도 한다. 보리타작은 주로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널리 행해지는데, 이 「보리타작 소리...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