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구리 장두(粧頭)마구리는 목판을 끼우는 틀, 또는 그릇이나 물건 따위의 테두리를 둘러매거나 끼우는 테이다. 한자로는 장두(粧頭) 또는 장두(裝頭)로, 차자표기로는 막고리(莫古里), 마고리(亇古里), 마고리(麻古里) 등으로 불린다. 마구리는 판면이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해주고, 판을 옮기거나 인출할 때 취급이 용이하도록 해주며, ...
- 시대 :
- 고려, 조선
- 유형 :
- 물품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이음맞춤 Joint대한 이해의 시작이다. 내용 맞춤은 서로 직교하거나 경사지게 연결하므로 목부재의 나이테가 보이는 마구리면과 나뭇결이 보이는 측면이 면하거나, 마구리와 마구리가 면한다. 맞춤은 기본적으로 통장부맞춤(통맞춤), 반턱맞춤, 장부맞춤, 주먹장맞춤, 연귀맞춤, 사개맞춤이 있으며, 이외에 두겁주먹장맞춤, 내림주먹장...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바디장 바디匠여러 종류의 기구가 있지만, 바디는 이 가운데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직기(織機)인 베틀에 들어가는 부속기구를 말한다. 바디의 구성은 바디집과 바디집 마구리(혹은 바디집 비녀), 그리고 바디로 되어 있다. 바디집은 바디틀이라고도 하며, 바디의 테, 즉 홈이 있는 두 짝의 나무로 바디를 끼우고 양편 마구리에...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
남해 용문사 대웅전 南海 龍門寺 大雄殿좌우 퇴칸에 비해 중앙 어칸이 넓고 매 칸마다 2구의 공간포가 놓여 있다. 공포 구성은 외3출목, 내4출목이며, 첨차의 길이가 대체로 짧다. 첨차는 마구리를 직절한 교두형으로 공안(栱眼)은 없다. 주심 소첨차와 대첨차 및 출목 대첨차의 길이가 거의 같고, 소로는 첨차에 비해 폭이 좁고 높이도 낮다. 살미첨차는 앙서...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장군내용 중두리를 뉘어놓은 모양의 것으로 한쪽 마구리는 평평하고 다른 쪽 마구리는 반구형(半球形)이며, 배때기에 좁은 아가리를 붙였다. 오지로 만든 작은 것에는 물이나 술 따위를 넣으나 큰 것에는 오줌을 담아 지게로 운반한다. 이를 오줌장군·오줌추마리(경상남도 창녕)·소매장군(전라남도 보성)·장군(전라남도...
- 성격 :
- 생활용품
- 유형 :
- 물품
- 용도 :
- 식기
- 분야 :
- 생활/식생활
-
은율 관산리 고인돌 운산리(雲山里)고인돌, 殷栗冠山里─있다. 남쪽의 정상부에는 주위보다 약간 도드라지게 사방 3.5m, 높이 65㎝의 토단(土壇)이 이루어지고 그 위에 제1호 고인돌이 자리 잡고 있다. 서쪽의 마구리돌만 밖으로 넘어져 있을 뿐 거의 완전한 모습을 갖추고 있었다. 특이한 것은 동쪽 마구리돌을 긴 벽의 바깥쪽에 덧세워 평면은 위아래로 긴 Ⅱ자모양을 이루고...
- 시대 :
- 선사/청동기
- 건립시기 :
- 청동기시대
- 성격 :
- 고인돌, 지석묘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황해남도 은율군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