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마고자저고리 위에 덧입는 덧옷. 내용 마고자는 1887년 흥선대원군이 청나라의 유폐에서 풀려 돌아올 때 입고 온 만주사람의 마괘(馬褂)가 변하여 입게 된 옷으로 1917년 순종의 의대발기에 처음 보인다. ≪청회전 淸會典≫에 의하면 청나라 옷에는 포(袍)와 괘가 있는데, 괘는 포보다 옷길이가 짧은 예복의 일종이었다. 중...
- 시대 :
- 근대
- 성격 :
- 의복, 한복
- 유형 :
- 물품
- 용도 :
- 의생활
- 분야 :
- 생활/의생활
-
조끼·마고자·배자는 어떻게 다른가?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배자는 이미 조선 전기부터 입었던 옷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에 견주어 대원군이 청나라에서 입고 온 마괘(만주족 옷)의 변형인 마고자와 양복의 조끼를 변형하여 입은 조끼는 배자보다 역사가 훨씬 짧습니다. 조끼와 마고자는 단추가 있고 이보다 오랜 세월 입어 온 배자는 저고리 위에...
-
Magoja 마고자The magoja is a type of long jacket worn with hanbok, the traditional clothing of Korea, and is usually worn on top of the jeogori (short jacket). It is also called magwae and while it was originally a male garment, it is now considered a unisex article of clothing. The magoja was originally a Ma...출처 영어 위키백과
-
영친왕 능화문주 마고자興宣大院君, 1820~1898)이 1887년 청나라에서 돌아올 때 입고 온 마괘(馬褂)에서 유래한 옷이라는 설이 있으나 그 형태는 이미 그 이전에도 있었다. 다만 ‘마고자’ 라는 명칭은 ‘마괘’ 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깃과 고름이 없고 2개 내외의 단추로 여미는데 금 · 옥 · 호박 등으로 단추를 장식하기도 한다...
- 분류 :
- 유물 > 의상
- 크기 :
- 뒷 길이: 62cm, 화장: 72cm, 뒤품: 51cm, 고대: 18cm, 진동: 26cm, 수구: 23cm
- 재질 :
- 견
-
영친왕 화접문사 마고자興宣大院君, 1820~1898)이 1887년 청나라에서 돌아올 때 입고 온 마괘(馬褂)에서 유래한 옷이라는 설이 있으나 그 형태는 이미 그 이전에도 있었다. 다만 ‘마고자’ 라는 명칭은 ‘마괘’ 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깃과 고름이 없고 2개 내외의 단추로 여미는데 금 · 옥 · 호박 등으로 단추를 장식하기도 한다...
- 분류 :
- 유물 > 의상
- 크기 :
- 뒷 길이: 60cm, 화장: 71.5cm, 뒤품: 53cm, 고대: 18cm, 진동: 26.5cm, 수구: 22cm
- 재질 :
- 견
-
한복 입는 방법(남자)한복은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한민족 고유의 옷으로 치마, 저고리, 바지 등이 기본 구성이다. 남자 한복은 실내에 있을 경우 바지, 저고리, 마고자를 입으며, 외출할 때나 의례가 있을 경우에는 마고자 대신 조끼와 두루마기를 입는 것이 예의이다. 남자 한복 명칭 저고리 남자 저고리는 동정, 길, 깃, 진동, 배래, 고름...
-
의원군 이혁 일가 묘 출토 유물 義原君 李爀 一家 墓 出土 遺物소창의, 중치막, 심의, 대대, 조대, 홑바지, 겹바지, 허리띠, 대님, 행전, 버선, 습신, 망건, 복건, 멱목 등이 있었다. 단령과 도포 각 2벌, 대창의, 주의, 마고자 2벌, 여자 삼회장저고리 등 6종 9점의 옷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중 마고자는 원삼과 같은 맞깃이 달리고 가장자리에 검은 가는 선을 둘렀다. 의원군의...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의복
- 분야 :
- 생활/의생활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한복 韓服한복이란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사상·관습·행위·형태·기술 등의 양식과 정신이 깃든 한복으로, 우리 고유 의복인 치마·저고리·바지·두루마기에 조끼·마고자가 포함된다. 1600여년간 이어진 고유 한복의 전통성은 세계에서 제일 길며, 그것은 고구려 고분벽화(4∼6세기)와 신라·백제 유물로 확인할 수 있다...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생활/의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