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어부사시사 漁父四時詞개작한 것이다. 춘하추동에 따라 각 10수씩, 총 40수로 되어 있고, 작품마다 여음(餘音)이 삽입되어 있는데, 이 여음은 출범에서 귀선까지의 과정을 조리정연하게 보여준다. 즉, 먼저 배를 띄우고, 닻을 들고, 돛을 달아놓고 노를 저으며 노래를 읊는다. 그러다가 돛을 내리고 배를 세우고, 배를 매어 놓고, 닻을 내리고...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윤선도
- 창작/발표시기 :
- 1651년(효종 2)
- 성격 :
- 단가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손만웅 적만(敵萬), 孫萬雄왕위를 계승한 경우 그 위치는 장자나 장손의 지위(=體)이나 자연인으로는 장자가 아닌(=不正) 것을 일컬음)’이라고 하여 파직당하였던 죄목을 내세워 조리정연하게 논핵(論劾)하여 취소시켰다. 1677년 사예로 동지사의 서장관이 되어 청나라에 다녀온 뒤 사도시정(司䆃寺正)·사헌부장령·공주목사·나주목사·괴산...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43년(인조 21)
- 사망 :
- 1712년(숙종 38)
- 경력 :
- 공주목사, 나주목사, 괴산군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경주(慶州)
-
치헌문집 癡軒文集저자는 이 서간에서, 남국주가 쓴 『역범통록(易範通錄)』에서 『주역』과 『홍범(洪範)』을 동일범주에 넣고 논한 데 대하여, 여러가지 예시를 들어 조리정연하게 견해차를 밝힌 것이다. 잡저의 「책문(策問)」 등도 태극이나 역학사상을 그 배경으로 깔고 서술하였다. 이 책 외 역학의 태극·역괘(易卦)·경세(經世...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덕오(金德五)
- 창작/발표시기 :
- 1870년(고종 7)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5권 2책
- 간행/발행 :
- 이상정(교감), 권전(편집), 김대연(편집), 남공수(간행), 남갑수(간행), 김대진(교정)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조암집 槽巖集등용할 것, 모든 폐정(弊政)을 혁파할 것 등 15조로 나누어 논하였다. 특히, 재용절감과 민생문제의 현안에 있어서는 탁상공론이 아닌 시의에 맞는 말들을 조리정연하게 적고 있다. 공부(貢賦)의 색목(色目) 다수가 연산군 때 무분별하게 책정된 것이기 때문에 당장 필요한 것 외에는 당연히 혁파되어야 하고, 군정(軍政...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조창기(趙昌期)
- 창작/발표시기 :
- 1713년(숙종 39)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3책
- 간행/발행 :
- 조정례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양정집 養靜集부의 「사주상언(賜酒賞言)」은 문과 시험의 답안지이다. 책의 「문태자(問怠字)」는 태만함이 작게는 개인, 크게는 국가 전체에 끼치는 해독을 주제로 조리정연하게 논지를 전개시킨 글이다. 의는 감시(監試)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였을 때 지은 시권(試券)으로, 인간의 숙명적 과제를 선현들의 교훈을 인용, 천명(天命...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오천민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간행/발행 :
- 오재익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
서계집 西溪集普覺禪師書)』·『전등록(傳燈錄)』 등의 불서에서 ‘심(心)’을 논한 것이 부분적으로 유(儒)와 비슷한 바는 있으나, 실제에 있어 그 귀의하는 바가 다름을 조리정연하게 밝혔다. 잡저 가운데 「동약(洞約)」은 향약의 중요성을 인식한 저자가 『여씨향약』을 토대로 하고 이황(李滉)의 향약과 황종해(黃宗海)의 동약...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박태무(朴泰茂)
- 창작/발표시기 :
- 1812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8권 8책
- 간행/발행 :
- 박지서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연세대학교 도서관
-
2024년 하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North Korea at the 2..종목 남자 여자 전체 육상 1 0 1 복싱 0 2 2 다이빙 1 2 3 체조 0 1 1 유도 0 1 1 탁구 1 2 3 레슬링 1 4 5 전체 4 12 16 2024년 7월 30일, 김금영·리정식 선수가 탁구 혼성 복식에서 은메달을 획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회 첫 메달을 기록하였다. 2024년 7월 31일, 여자 10 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 종목에서...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