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등잔 燈盞
    기름을 담아 불을 밝히는 등화구의 일종.|전등이 널리 쓰이기 전의 등화구 가운데 가장 널리 쓰였던 형식이다. 등잔은 등가·등잔받침·나비형 장식 등으로 구성되며 이를 통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좁은 의미로는 기름을 담는 용기를 지칭한다. 토기·도기·청자·백자·옥석 등 불연소성 소재로 만들며, 종지형이 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등잔 燈盞
    기름을 연료로 하여 불을 켤 수 있도록 만든 그릇.|내용 그 재료에 따라 목제·토제·대리석·백자·사기·놋쇠·철제 따위의 등잔이 있다. 여기에 한지·솜·마사(麻絲) 등으로 심지를 만들어 기름이 배어들게 하여 불을 켠다. 등잔의 기원은 언제부터인지 확실하게 근원을 밝히기는 어려우나, 삼국시대의 발굴품 중...
    성격 :
    생활용품, 공예품
    유형 :
    물품
    재질 :
    목제, 토제, 대리석, 백자, 사기, 놋쇠, 철제
    용도 :
    생활용, 장식용
    관련 의례 :
    무가(巫家), 연등회
    분야 :
    생활/주생활
  • 등잔 燈盞
    유물설명 제상에 놓는 소형의 조명용 등잔으로 제상의 북쪽 좌우 끝에 놓아 신위(神位)의 주변을 밝힐 때 쓰인다. 등잔에 기름을 담고 심지를 세워 불을 밝혔다. 구연부는 넓고 둥글다. 높이에 비해 구연부가 낮고 넓어 안정감을 주며 낮은 굽이 있다. 일반적인 술잔과 비슷하게 생겼다.
    분류 :
    유물 > 제구
    크기 :
    높이: 2.9cm, 지름: 7.3cm
    재질 :
    놋쇠
  • 등잔 燈盞
    유물설명 등잔(燈盞)은 신위(神位) 주변을 밝히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제상의 북쪽 양 끝에 놓인다. 등잔에 식물성 기름을 담고 심지를 꽂아 불을 밝혔다. 종자 형태의 그릇으로 낮은 굽이 있다. 운두가 낮은 접시 형태의 등잔대와 한 쌍을 이룬다.
    분류 :
    유물 > 제구
    크기 :
    높이: 2.9cmcm, 지름: 7.5cmcm
    재질 :
    금속
  • 등잔 燈盞
    유물설명 등잔(燈盞)은 신위(神位) 주변을 밝히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제상의 북쪽 양 끝에 놓인다. 등잔에 식물성 기름을 담고 심지를 꽂아 불을 밝혔다. 종자 형태의 그릇으로 낮은 굽이 있다. 운두가 낮은 접시 형태의 등잔대와 한 쌍을 이룬다.
    분류 :
    유물 > 제구
    크기 :
    높이: 2.6cmcm, 지름: 7.7cmcm
    재질 :
    금속
  • 등잔 燈盞
    등잔은 믿음 또는 성서 말씀을 상징한다. 믿음이 우리의 어두운 인생 행로를 비추는 빛이 되며, 하느님 말씀은 어두운 세상을 비추는 빛과 같기 때문이다.|등잔은 믿음 또는 성서 말씀을 상징한다. 믿음이 우리의 어두운 인생 행로를 비추는 빛이 되며, 하느님 말씀은 어두운 세상을 비추는 빛과 같기 때문이다.
  • 등잔과 칼
    해. 만일 그렇다면 네가 어떻게 인생의 종말을 맞이할 것인지는 익히 짐작할 수 있겠지?” 그녀들은 급기야 이렇게 충고한다. 남편이 곤히 잠들었을 때 등잔을 비춰 그의 정체를 확인하고 숨겨 놓았던 칼로 목을 베어 버리라고. 순진한 프시케는 언니들의 꼬임에 넘어가 시키는 대로 한다. 그러나 프시케가 한 손에는...
  • 기름등잔
    기름등잔(oil lamp) 알려진 선사시대 최초의 등잔은 무스티에 문화기로 소급된다. 그것은 1928년 프랑스의 르무스티에에서 발견되었으며, 움푹 팬 돌조각으로 매우 조잡하다. BC 8000~7000년의 테라코타 등잔은 메소포타미아 평원에서 발견되었으며 BC 2700년경의 이집트와 페르시아의 구리 및 동(銅)등잔은 여러 번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품
  • 한국등잔박물관
    포은 정몽주 묘소 맞은편에 있는 한국등잔박물관은 박물관장 김동휘가 50여 년간 수집한 등잔들이 전시되어 있는 사립박물관이다. 국내 유일의 등기구 박물관으로 선조들의 옛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어 개인뿐 아니라 학생들의 체험학습 공간으로 많이 찾는 곳이다. 수원화성 성곽을 모티브로 지은 원통형의 등대 모양...
    위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곡로56번길 8
    설립자 :
    관장 김동휘
  • 호롱 (관련어 등잔) Oil lamp, オイルランプ
    호롱(oil lamp) 또는 등잔(燈盞)은 기름을 채워 거기 불을 붙임으로써 빛을 밝히는 조명도구이다. 호롱에 밝힌 불을 호롱불 또는 등잔불이라 한다. 최초의 호롱이 언제 어디에서 사용되었는지는 언급하기가 매우 난해하다. 최초의 램프는 자연적으로 발생한 코코넛, 바닷조개, 달걀껍질, 속이 빈 돌로 만들어졌다. 가장 ...
    도서 위키백과
  • 동제등잔접시 유리건판 銅製燈明皿 琉璃乾板
    유물설명 동제등잔접시를 찍은 유리건판이다. 좌측에는 촬영 당시 구번호 4373이 있고, 우측에는 크기 측정을 위한 막대자가 수직으로 놓여 있는 상태이다. 건판 속 접시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덕수 5055)에 소장되어 있다.
    분류 :
    유물 > 근대매체
    크기 :
    가로: 10.8cmcm, 세로: 8.2cmcm
    재질 :
    유리
  • 부산 복천동 고분군 39호 출토 등잔 모양 토기 釜山 福泉洞 古墳群 39號 ..
    [형태] 5세기에 제작된 부산 복천동 고분군 39호 출토 등잔 모양 토기(釜山福泉洞古墳群39號出土燈盞模樣土器)는 아가리가 극히 일부 결실된 완형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소성 상태도 아주 좋은 회청색 도질 토기로 전체적으로 녹황색 자연유가 부착되어 있다. 토기는 전체적으로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심지를...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금정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8건

등잔
등잔
등잔
등잔
등잔
등잔
등잔
등잔
등잔
등잔
등잔
등잔
대리석유개탕기형등잔 / 백자호형등잔
토기등잔
백석등잔
백자등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