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문선 東文選『동문선』은 조선 전기 문신·학자 서거정(徐居正) 등이 왕명으로 우리나라 역대 시문을 모아 1478년에 편찬한 시문 선집이다. 초간본은 조선 성종의 명으로 1478년에 133권 45책으로 간행한 것이다. 당시 대제학이던 서거정을 중심으로 23인의 찬집관이 작업에 참여하였다. 『동문선』의 편찬자들은 조선 전기까지 우...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문학/한문학
-
동문선 신찬 동문선, 東文選조선후기 문신 송상기 등이 삼국시대 이후 숙종 초까지의 시문 중에서 선별하여 1713년에 편찬한 시문선집. 서지적 사항 본문 33권, 목록 2권, 합 35권 15책. 현종실록자본(顯宗實錄字本). ‘신찬 동문선’, ‘별본(別本) 동문선’으로 불리기도 한다. 편찬/발간 경위 1713년 청나라에 갔던 사은사(謝恩使)가 돌아오는...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송상기
- 창작/발표시기 :
- 1713년
- 성격 :
- 시문선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5권 15책
- 분야 :
- 문학/한문학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동문선 삼국 시대 이래 조선 초까지의 문학자료를 모은, 東文選우리 문학을 독자적으로 해석한 책 동해 바다 바로 비단결 같이 고와져 다시 태양을 받아 청명해지며 이무기·용·새우·게 그 생리를 즐기노라 임의 성스러운 덕택 속에 놀아 헤엄치게 할꼬 이는 석재(石齋) 박효수(朴孝修)의 시로 《동문선》 7집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한시 '흥해송라도중관해도(興海松蘿途中觀海濤)'...
-
-
〈동문선〉 편찬신라 때부터 조선 전기에 걸쳐 우리나라의 시와 문장을 모은 『동문선』이 편찬됐다. 성종의 명을 받아 서거정, 강희맹 등 23명이 참여했다. 최치원, 김부식, 이인로, 이규보, 이제현, 이색, 정도전, 권근 등 220여 작가의 작품을 싣고 있으며, 시와 산문의 비율은 1:3이다. 문체도 다양해 중국의 『문선』에 실린 39종...
- 시대 :
- 1478년
- 국가/대륙 :
- 한국
-
죽간집 竹磵集개설 『죽간집(竹磵集)』은 2권 1책의 시문집인데 현재 전하지지 않는다. 다만 『동문선(東文選)』에 굉연의 시 10수가 실려 있어 그 대강을 알 수 있다. 서지적 사항 『용재총화(慵齋叢話)』 권8에 “『죽간집』 한 질은 나옹(懶翁)의 제자인 승려 굉연이 지은 것이다.[竹磵集 一帙 懶翁弟子 僧宏演所著]”라고 기록...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굉연(宏演)
- 성격 :
- 시문집, 불교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정명국사시집 靜明國師詩集개설 천태종 승려인 정명국사(靜明國師) 천인이 말년에 시고를 모아 편찬한 시집으로 추정된다. 『정명국사시집(靜明國師詩集)』은 3권으로 현재 전하지 않지만 『동문선(東文選)』에 18편이 실려 있어 그 대강을 알 수 있다. 서지사항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권250에 “『정명국사시집』 3권은 고려 승려 천인...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속동문선 續東文選서지사항 23권 11책. 목판본. 편찬/발간 경위 1478년(성종 9)에 펴낸 『동문선(東文選)』의 취지를 이어서 『동문선』 편찬에 종사하였던 관료문인의 글과 성종에서 중종 연간의 문학유산을 대상으로 펴낸 시문전집으로, 21권이다. 『동문선』은 성종의 명을 받아, 서거정(徐居正)이 신라로부터 조선 성종조에 이르기...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한문학
-
김거사집 김한림집(金翰林集), 金居士集서지사항 책의 이름은 『동문선(東文選)』을 비롯하여 『역옹패설(櫟翁稗說)』, 『용재총화(慵齋叢話)』 등에서 『김거사집』으로 지칭하고 있다. 『보한집(補閑集)』에서는 『김한림집(金翰林集)』으로 일컫고 있다. 135권의 방대한 양이었으나 일부를 잃어버려 전체 모습을 알 수 없다. 이인로(李仁老)가 쓴 서문이...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문학/한문학
-
서거정 자원(子元), 강중(剛中), 徐居正史節要)』를 공편했으며, 1477년 달성군에 다시 봉해지고 도총관(都摠管)을 겸하였다. 다음 해 대제학을 겸직했고, 곧이어 한성부판윤에 제수되었다. 이 해 『동문선(東文選)』 130권을 신찬하였다. 1479년 이조판서가 되어 송나라 제도에 의거해 문과의 관시(館試)·한성시(漢城試)·향시(鄕試)에서 일곱 번 합격한 자...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20년(세종 2)
- 사망 :
- 1488년(성종 19)
- 경력 :
- 홍문관부수찬, 공조참의, 예조참판, 형조판서, 좌참찬, 좌찬성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오행총괄, 동국통감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대구(大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