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등거리
    등만 덮을만하게 걸쳐 입는 홑옷.|내용 등깃이 없고, 소매는 짧거나 아주 없는 형태로, 주머니를 다는 경우도 있다. 베로 만든 것은 맨살에 그냥 입고, 무명으로 만든 것은 봄·가을에 속옷 위에 덧입는다. 넓은 의미에서 볼 때에는, 반비·답호·쾌자·배자와 개화 이후에 양복을 본떠 만든 조끼도 이에 속한다고 할 ...
    시대 :
    조선
    성격 :
    전통의상, 한복
    유형 :
    물품
    재질 :
    용도 :
    의생활
    분야 :
    생활/의생활
  • 배자 등거리, 背子
    배자는 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이다. 일반적으로 배자는 소매 없는 상의를 의미하지만, 배자 중에는 소매가 달린 옷, 긴 옷에 이르기까지 그 유형이 다양하다. 앞섶을 겹쳐 여미지 않고 앞중심선에서 맞닿게 한 대금형(對襟型)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연원 한국 복식에서 배자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삼국시대로, 고...
    시대 :
    조선
    유형 :
    물품
    분야 :
    생활/의생활
  • 민어 개우치, 民魚
    포획이 금지되어 있다. 구이와 찜의 재료로 이용하며 민어과 어류 가운데서는 대형 어종으로 살이 많으며 내장 등도 국거리로 이용한다. 개우치, 홍치, 불등거리, 보굴치, 가리, 어스래기, 상민어 등으로도 부른다. 남해안 여수 지역에서는 제사상에 꼭 올라가야 할 생선이라 부를 만큼 맛이 좋은 고급 어종이다. 형태...
    분류 :
    척삭동물문 > 조기어강 > 농어목 > 민어과 > Miichthys속
    서식지 :
    수심 15-100m의 바닥이 갯벌지역인 저층부
    학명 :
    Miichthys miiuy (Basilewsky, 1855)
    국내분포 :
    서해와 남해
    해외분포 :
    일본 서남부, 남중국해 등
  • 민어 개우치, 民魚
    고르는 법 1. 물이 새어 나오거나, 살이 노란 빛을 띄는 것은 피함 2. 결빙이 생긴 것은 피함(보관이 부적절하게 이루어져 미생물 오염 가능성이 큼) 적합 - 외관 : 내장이 없는 것 - 색상 : 전체적으로 붉은 빛을 띠는 것 - 냄새 : 해동 후 암모니아취 등 이취가 없을 것 - 조직감 : 살이 단단하고, 탄력이 있을 것...
    분류 :
    수산물 〉 어류
  • 고구려 20대 장수왕 즉위
    장수왕 때 중국에서는 오호십육국 시대가 막을 내리고 남북조 시대가 시작된다. 장수왕은 북위, 남쪽의 한족 왕조들(동진 ・ 송 ・ 남제), 그리고 몽골 초원의 유연이 서로 대립하는 상황을 이용해 등거리 외교를 하며 고구려의 위상을 높인다. 장수왕 때 고구려는 독자적인 세력권을 유지하며 전성기를 누린다. 참조
    시대 :
    413년
    재위 :
    413년~491년
    국가/대륙 :
    한국
  • 남북 관계 North Korea–South Korea relations, 南北関係
    양국관계 정보 남북 관계(南北關係, 문화어(北南關係))는 현재 한반도 내의 분단국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관계를 말한다. 오랫동안 하나의 생활권이었던 한반도가 해방과 미·소 양군의 진주로 남북으로 갑자기 분단되자, 한국국민과 지도자들은 협상이라는 정치적인 방법으로 한국문제의 근본적...
    도서 위키백과
  • 등거리 원칙 Equidistance principle
    등거리 원칙 또는 등거리 중간선 원칙은 해양 경계 주장에서 한 국가의 해양 경계가 이웃 국가의 해안과 등거리인 중앙선을 따라야 한다는 법적 개념이다. 이 개념은 인접 국가의 국경이 인접한 대륙붕에 위치한 분쟁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개발되었다:등거리 원칙은 관습 국제법의 한 측면을 나타내지만, 동시에 역사와...
    도서 위키백과
  • 등거리변환 Isometry, 等長写像
    수학에서 등거리 변환(等距離變換, llang) 또는 등거리 사상(等距離寫像) 또는 등장 사상(等長寫像)은 거리를 보존하는 거리 공간 사이 함수다. (X,d_X)와 (Y,d_Y)가 거리 공간이라고 하자. 이 두 거리 공간 사이의 등거리 변환 f\colon X\to Y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다. 임의의 a,b\in X에 대하여, d_X(a,b)=d_Y...
    도서 위키백과
  • 민어 개우치, 民魚
    형태 D Ⅸ~Ⅹ, 28~31; A Ⅱ, 7~8; LL 50~54 몸과 머리는 측편되었고 긴 방추형이다. 눈은 머리 앞의 등 쪽에 있고, 눈 지름은 주둥이 길이보다 약간 짧다. 주둥이 끝은 둥글고 양턱의 길이는 비슷하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연조부 기저의 약 1/3~1/2은 작은 비늘로 덮여 있다. 뒷지느러미의 제2극조는 눈 지름보다...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농어목(Perciformes) > 민어과(Sciaenidae)
    학명 :
    Miichthys miiuy (Basilewsky)
    북한명칭 :
    민어
    분포지역 :
    서해와 남해, 일본 서남부, 남중국해
    도서 한국어류대도감 | 태그 어류
  • 유클리드 군 Euclidean group, ユークリッドの運動群
    operatorname O(n)\to\operatorname{Aut}(\mathbb R^n)=\operatorname{GL}(n;\mathbb R) R\mapsto(\mathbf x\mapsto R\mathbf x) 이는 유클리드 공간의 등거리 변환 I\colon\mathbb R^n\to\mathbb R^n들의 위상군과 같다. 마찬가지로, 특수 유클리드 군(特殊Euclid群llang) \operatorname{ISO}(n)은 직교군 대신 특수...
    도서 위키백과
  • Euclidean plane isometry 평면의 등거리변환
    In geometry, a Euclidean plane isometry is an isometry of the Euclidean plane, or more informally, a way of transforming the plane that preserves geometrical properties such as length. There are four types: translations, rotations, reflections, and glide reflections (see below under...
  • 도깨비
    것이 아니라 수시로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 일정한 형태로 묘사할 수가 없다. 때로는 투명체가 되어 사람들을 혼란에 빠뜨리기도 하는데, 도깨비감투나 등거리를 얻어 착용하면 사람도 눈에 보이지 않게 된다고 한다. 예컨대, 어떤 사람이 도깨비의 등거리를 얻어 입고 시장에 드나들면서 물건을 집어가고 돈도 가져오는...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민간신앙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베등거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