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몽골의사 이태준의 삶과 혁명적 독립운동, 이태준 대암, 李泰俊
    가 자바이칼의 치타에서 철수하여 만주로 도피한 후 운게른군에 가담하여 고륜공략에 참여한 자들이다. 맺음말 이태준의 짧고 극적인 일대기는 일제시기 독립운동가들 사이에 널리 알려진 것 같다. 여운형은 1921년 가을 시베리아의 이르쿠츠크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원동민족혁명단체대표회에 참가하기 위하여 러시아...
    출생 :
    1883년 11월 21일, 경남 함안
    사망 :
    1921년 2월
    수상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독립운동가 独立運動家
    독립운동가(獨立運動家, llang)란 어떤 국가의 지배를 받는 지역에서 독립하기 위한 사회운동에 참여한 사람들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개항 이후 한국을 점령하여 1945년 8.15 광복 때까지 통치한 일본 제국에 대항하여 한민족의 독립을 쟁취하려는 일체의 민족주의적 운동에 참여한 인물들을 뜻한다. 이들은 근대 한국사...
    도서 위키백과
  • 안창호 독립운동가
    일제강점기 애국계몽 활동을 전개하고 독립운동에 일생을 바친 독립운동가로 호는 도산. 가난한 농부의 집안에서 태어나 할아버지 밑에서 성장했으며 공부를 마친 뒤 1897년 독립협회에 가입하고 1907년 신민회를 조직, 191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흥사단을 결성하였다. 1926년 2월 상하이로 돌아와서 만주에 흩어진 군사 ...
    출생 :
    1878(고종 15). 11. 9, 평남 강서
    사망 :
    1938. 3. 10, 서울
    국적 :
    한국
    본관 :
    순흥(順興, 지금의 경북 영주 순흥면)
    호 :
    도산(島山)
  • 독립운동 (관련어 독립 운동가)
    독립운동(獨立運動,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또는 해방운동(解放運動)은 어떤 국가 또는 세력의 직·간접적인 지배를 받는 지역에서 자치권 등의 권한을 얻거나, 스스로의 국가 또는 세력을 세우기 위해 벌이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그러므로 국가의 독립은 기존 국가에 속한 일부 지역이나 타국의 지배하에 있던...
    도서 위키백과
  • 박용만 우성, 朴容萬
    10월에는 손정도(孫貞道)에게 서신을 보내 「만주식민책(滿洲植民策)」에 관해 논의하는 한편 동삼성(東三省)의 이동녕(李東寧), 정영택(鄭永澤) 등 여러 독립운동가와도 서신 교류를 요청하는 등 만주에 둔전병제에 입각한 독립군기지 건설을 모색하였다. 1912년 11월 대한민국민회 중앙총회 제1차 대표원의회가 개최...
    출생 :
    1881년 7월 2일, 강원 철원
    사망 :
    1928년 10월 17일
    관련 사건 :
    상동청년학원, 한인소년병학교, 대한인국민회, 대조선국민군단, 군사통일회, 갈리히연합회, 대조선독립단 하와이지부, 대한민국임시정부, 군사통일촉성회, 군사통일회, 조선공화국, 보합단, 흥화실업은행, 대륙농간공사
    본관 :
    밀성(密城)
    주요활동 :
    1903~1904년 상동청년학원 다정국장 ・ 통신국장, 1908년 7월 애국동지대표회 개최, 1909년 6월 한인소년병학교 창립, 1911년 신한민보 주필, 1912년 대한인국민회 중앙총회 외교원 ・ 헌장수정위원, 1913년 신한국보 주필, 국민보 사장, 1914년 6월 대조선국민군단 ・ 대조선국민군단사관학교 설립, 1917년 대동단결선언 서명, 제1차 소약국동맹회 참석, 1918년 갈리히연합회 조직, 태평양시사 창간, 1919년 대조선독립단 하와이지부 조직, 임시정부 외무총장 선임, 대한국민군 총참모, 1920년 대동단 무정부장, 연합선전부 부부장, 군사통일촉성회 개최, 1921년 군사통일회의 개최, 조선공화국 수립, 제2차 보합단 단장, 1922년 흥화실업은행 설립, 1926년 대륙농간공사 설립
    포상훈격 :
    1995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상동청년학원, 한인소년병학교, 대한인국민회, 대조선국민군단, 군사통일회, 갈리히연합회, 대조선독립단 하와이지부, 대한민국임시정부, 군사통일촉성회, 군사통일회, 조선공화국, 보합단, 흥화실업은행, 대륙농간공사
  • 하와이 한인단체 합성협회 성립의 주역, 안원규 ・ 정원명 安元奎 ・ 鄭元明
    김원용, 총서기 정한경으로 하고, 위원은 한시대 ・ 김호 ・ 이살음 ・ 변준호 ・ 안원규 ・ 송헌주 등 총 9명이었다. 1940년 5월 9일 중국에 있는 우파 독립운동가들은 광복운동을 강화하기 위하여 ‘한국독립당’을 재건하였다. 이에 따라 하와이애국단도 그해 8월 10일 ‘한국독립당 하와이 총지부’라고 개칭하고...
    출생 :
    안원규 1877년 8월 30일, 서울정원명 1881년 11월 20일, 평안남도 평양
    사망 :
    안원규 1947년 5월 22일정원명 1942년 6월 23일
    포상훈격 :
    안원규 1995년 건국훈장 독립장정원명 2014년 건국훈장 애국장
  • 안중근 응칠, 安重根
    講淵孝雄) 검찰관과 벌인 논쟁을 통해 『동양평화론』의 면모를 짐작해 볼 수있다. 미조부치를 앞세운 일본의 주요 논리는 대략 다음과 같은 것이었다. 1. 독립할 능력이 없는 한국이 다른 나라에 점령되면 일본에게 매우 불리해지므로 청일 ・ 러일전쟁을 일으킨 것이며, 청일 ・ 러일전쟁은 한국의 독립을 지키기 위한...
    출생 :
    1879년 9월 2일, 황해 해주(海州)
    사망 :
    1910년 3월 26일
    관련 사건 :
    하얼빈 의거
    본관 :
    순흥(順興)
    주요활동 :
    계몽교육운동, 의병전쟁, 하얼빈의거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삼흥학교, 돈의학교, 단지동맹
  • 김좌진 명여, 金佐鎭
    면소 판정을 받고 풀려났다. 곧바로 위조화폐를 발행하여 군자금 모집에 착수하였다. 일본 경찰이 단서를 잡고 추적하자 만주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계속하였다. 1919년 2월 해외 독립운동가들이 「대한독립서(大韓獨立書)」를 발표할 때, 서일(徐一) ・ 여준(呂準) 등 38명과 함께 서명하는 등 본격적인 항일투쟁에...
    출생 :
    1889년 12월 16일, 충청남도 홍성(洪城)
    사망 :
    1930년 1월 24일
    관련 사건 :
    대한광복회, 성동사관학교, 청산리전투, 경신대학살, 자유시참변, 민족유일당운동
    본관 :
    안동(安東)
    주요활동 :
    청년학우회 한성연회 간부, 기호흥학회 창립, 호명학교 설립, 대한광복회 부회장, 대한독립선언서 서명, 북로군정서(대한군정서) 사령관으로 청산리독립전쟁(청산리전투) 수행, 대한독립단(대한의용군총사령부) 부총재, 신민부(新民府) 군사위원장 겸 총사령관, 성동사관학교 설립, 혁신의회와 한족총연합회 조직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대한광복회, 북로군정서, 대한독립단, 신민부, 한족총연합회
  • 이승만 대한민국 제1·2·3대 대통령, 李承晩
    協成會)를 통하여 서양의 근대 시민사회와 조선왕조의 정치현실에 대하여 눈을 뜨게 되었다. 1897년 7월 8일에 배재학당을 졸업할 때, 졸업생 대표로서 “한국의 독립”이라는 주제로 영어 연설을 했다. 그 후 언론 및 정치 활동을 통하여 민중 계몽과 개혁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협성회회보』 논설위원, 우리나라...
    출생 :
    1875년 3월 26일, 황해 평산(平山)
    사망 :
    1965년 7월 19일
    관련 사건 :
    1905년 러일강화협상, 1919년 파리강화회의, 1921~22년 워싱턴회의, 1945년 샌프란시스코회의
    본관 :
    전주(全州)
    주요활동 :
    1898년 독립협회 및 만민공동회 활동, 1919~2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대통령, 1919년 8월 구미위원부 설립, 1921년 6월 대한인동지회 결성, 1941~45년 주미외교위원부 위원장, 1948~60년 대한민국 대통령
    포상훈격 :
    194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미위원부, 주미외교위원부, 대한인동지회
  • 이한응 李漢應
    영국과 이탈리아의 상주공사로 임명하여 파견하였다. 대한제국정부에서 유럽지역에 상주공사를 파견한 목적은 대한제국이 당당한 독립국가라는 것을 열강들에게 인식시키고, 독립외교를 펼치겠다는 의지를 널리 알리기 위한 조처였다고 할 수가 있다. 대한제국 정부에서 영국에 상주공사를 파견할 때, 이한응도 1901...
    출생 :
    1874년 10월 30일, 경기도 용인
    사망 :
    1905년 5월 12일
    수상 :
    건국훈장 독립장 1962
  • 채원개 중국 곳곳에서 독립전쟁을 치르며 항일 자취를 남긴 광복군 지휘관
    소양을 습득하였겠지만, 외세의 침략 상황 하에서 동족상쟁을 벌이는 군벌들 간의 세력다툼이 갖는 모순을 직시할 수 있었을 것이다. 직봉전쟁 참가는 독립운동가 채원개 개인에게는 군사적 역량을 제고하는 시간이었을 뿐 아니라, 그가 헤쳐 나가야 할 중국근대사에 대한 성찰의 기회가 되기도 하였을 것이다. 임정...
    출생 :
    1895년 3월 24일, 평안남도 영원
    사망 :
    1974년 2월 16일
    포상훈격 :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
  • 한국 독립운동의 숨은 조력자, 임시정부를 후원한 선교사, 조지 애쉬모어 피치 비오생, Geo..
    헌신하였다. 독립운동사에서 ‘피치 목사’는 널리 알려진 인물이었으나 그 일가가 함께 활동했다는 내용은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었다. 따라서 외국인 독립운동가 ‘조지 애쉬모어 피치’를 알기 위해서는 그 일가를 살펴봐야 한다. 출생과 성장 아버지 조지 필드 피치는 1845년 1월 28일 미국 오하이오주 에이번(Avon...
    출생 :
    1883년 1월 23일
    사망 :
    1979년 1월 20일, 미국
    포상훈격 :
    건국훈장 독립장 1968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2건

더보기